3000불 짜리 청구서
3000불 짜리 청구서
어느 날, 포드 자동차 회사에 갑자기 전기가 중단되었습니다.
갑작스럽게 자동차 생산라인이 중단되니 큰 손실과 혼란이 일어났습니다.
사내의 모든 기술자를 동원해도 해결이 되지 않자 포드사는 에디슨 전기 회사의 일류 기술자를 급히 불렀습니다.
에디슨 전기 회사의 기술자는 기계를 훑어보더니 십분 만에 수리를 해냈습니다.
그 기술자가 나중에 청구서를 보내 왔는데 3,000불이 청구되었습니다.
십분 만에 3,000불, 우리나라 돈으로 약 320만 원이 청구되었습니다.
포드사 쪽에서는 좀 심하다는 생각이 들어 상세 내역을 다시 보내 달라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원인 발견이 2,950불, 수리비 50불이 기재되어 왔습니다.
이것을 보고 포드사에서는 두말 않고 3,000불을 지급했다고 합니다.
진짜 실력은 원인을 발견하는데 투여되었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어느 부분에서 잘못이 일어났는지 그 근원을 파악하려고 애씁니다.
출처 : 김형준 《아름다운 인생을 위한 치유 행전》 중에서
수리비 만 달러
‘자동차의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는 컨베이어벨트를 처음 사용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 인물로 유명하다.
그런 그에게 일이란 시간보다 그 질이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포드가의 자동차 공장에는 거대한 발전기 한 대가 하루는 이 발전기에 원인 모를 고장이 발생했다.
엄청난 자동차 수요를 감당하기에도 벅찼던 터라 한시라도 빨리 고장난 발전기를 수리하고 싶었지만, 포드의 바람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회사의 전기공과 수리공이 모두 매달렸으나, 어느 누구도 발전기가 고장난 이유를 밝히지 못했다.
마음이 다급해진 포드는 고심 끝에 당시 전기 분야에서 최고 기술자로 인정받던 찰리 스타인메츠에게 연락을 취했다.
한달음에 달려온 찰리는 발전기 앞에 서서 한동안 이리저리 살펴보더니 준비해 온 망치로 이곳저곳을 두드렸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잠시 뒤 거대한 발전기는 언제 그랬냐는 듯 돌아 가기 시작했다.
그런데 며칠 뒤 찰리로부터 수리비 청구서를 받은 포드는 깜짝 놀랐다.
찰리는 발전기를 고친 대가로 만 달러를 요구했다.
포드는 아무리 생각해도 찰리의 청구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청구액은 당신이 발전기를 두드리며 한두 시간 일한 데 비해 너무 비싼 금액이 아닙니까?"
라는 이유서와 함께 청구서를 돌려보냈다.
그런데 다시 답장이 왔을 때 포드는 두말 않고 즉시 만 달러를 송금했다.
‘모터를 두드리며 일한 공임 : 10불, 어디를 두르려야 할지를 알아낸 기술 값 : 9990불, 합계 : 10000불’
포드는 노동의 가치가 어디에 있는지를 깨달았.
출처 : 월간 좋은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