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상의 전환
박 종 국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역발상을 도출하려면 먼저 자신의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왜’‘어째서’‘그래도 될까’‘반대되는 관점이나 생각은 없는가?’‘뒤집으면 어떻게 되는가? 를 항상 자신에게 되짚어봐야 합니다.
완벽하게 올바른 것이 없는데도‘맞습니다.’거나,‘이의 없습니다.’하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의견 없이 상대의 이야기를 들어주기만 하는 사람은 스스로 자기성장을 막습니다. 물론 다른 사람의 의견에 일일이 반론할 까닭은 없지만, 매사를 검증을 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책임 있는 사람의 자질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에만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시야가 점점 좁아지게 됩니다. 시간이 없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따지고 보면 그 사람은 자투리 시간을 자기 것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생각해보는 진득한 가지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세상일에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가치부여는 그 사람, 그 목적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시대의 다양성이나 여러 가지 관점의 존재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놓쳐버리게 됩니다.
항상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스스로를 인식할 때 인생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습니다. 쉽게 놓여나는 시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현명한 일입니다. 그렇기에 발상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한 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남의 의견을 구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반론이나 반발의 집중포화를 받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위대한 물리학자로 상대성원리를 확립한 아이슈타인이 동양인은 키가 작으므로 사는 집도 작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발상은 상식적인 것이 아닐까요? 작은 사람에게는 작은 집이라고 아이슈타인 마저도 그렇게 생각했다니 그렇게 말하는 편이 옳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실제로 키가 큰 사람이나 작은 사람 모두 집의 크기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동양을 방문한 아이슈타인은 그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이렇듯 발상은 일반적이지만 어느 한 곳에 몰두하면 자신의 맹점은 깨닫지 못한다는 것을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조금 관점을 바꾸어 볼 까닭이 있을 때도 있습니다. 정원수를 심어 봄에 새잎을 볼 때는 예쁘지만 가을에 그 잎이 다 떨어져 낙엽지면 뒤처리가 곤란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원에 상록수만 심어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낙엽을 어떻게 활용할까 하는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발상을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 낙엽은 비료에 가장 좋습니다. 이것을 비료로 썩히면 부엽토로서 고급유기비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타 일들도 그 본연의 사실을 명확하게 파악한다면 상식을 뒤집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므로 발상의 전환은 사실관계로부터 따져간다면 올바른 이해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자기가 자기에 대해서 몰랐던 점이나, 전혀 다른 잘못된 관점을 깨닫게 됩니다. 생각의 전환을 통해서 지금까지와 다른 발상이 탄생하게 됩니다.
모든 일은 여러 가지 측면이 있으므로 서로 플러스가 되는 면에서부터 보도록 해야겠습니다. 무엇인가 마이너스 측면으로 사물을 보고, 항상 그에 맞는 자세만을 취하면 정나미가 없을뿐더러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 그리 기분 좋은 표정은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자신에게 전혀 플러스가 되지 않습니다. 마음이 가난해질 뿐입니다. 발상의 전환은 인간적인 매력을 더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