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원군 뺨을 때린 장수

박종국에세이/단소리쓴소리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17. 1. 9. 20:04

본문

728x90

대원군 뺨을 때린 장수


조선 말기의 왕족인 이하응은 조선왕조 제26대 고종의 아버지다. 이하응의 아들 명복이 12세에 제26대 고종으로 즉위하자 대원군에 봉해지고 어린 고종을 대신해 섭정을 했다.


그런 이하응이 젊었던 시절 이야기다. 몰락한 왕족으로 기생집을 드나들던 어느 날이었다. 술집에서 추태를 부리다 금군별장(종2품 무관) 이장렴이 말렸다.

화가 난 이하응이 소리쳤다.

"그래도 내가 왕족이거늘 일개 군관이 무례하구나!"

그러자 이장렴은 이하응의 뺨을 후려치면서 호통을 쳤다.


"한 나라의 종친이면 체통을 지켜야지. 이렇게 추태를 부리고 외상술이나 마시며 왕실을 더럽혀서야 되겠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뺨을 때렸으니 그리 아시오."


세월이 흘러 이하응이 흥선대원군이 되어 이장렴을 운현궁으로 불렀다. 이장렴은 부름을 받자 죽음을 각오하고 가족에게 유언까지 했다.

이장렴이 방에 들어서자 흥선대원군은 눈을 부릅뜨면서 물었다.

"자네는 이 자리에서도 내 뺨을 때릴 수 있겠는가?"

이에 이장렴은 거침없이 대답했다.

"대감께서 지금도 그때와 같은 못된 술버릇을 가졌다면 이 손을 억제하지 못합니다."

이장렴의 말에 흥선대원군은 호탕하게 웃으며 말했다.

"조만간 그 술집에 다시 가려고 했는데 자네 때문에 안 되겠군."

그리고 자기 오른손으로 자기 무릎을 탁 치면서 말했다.

"내가 오늘 좋은 인재를 하나 얻었다."

흥선대원군은 이장렴을 극진히 대접하고 그가 돌아갈 때는 친히 문밖까지 나와 배웅했다. 그리고 하인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금위대장 나가시니 앞을 물리고, 중문으로 모시도록 하여라."



무장답게 목숨을 걸고 지조를 지킨 이장렴도 대단하지만, 인재를 알아본 흥선대원군 또한 훌륭합니다. 오직 나라를 생각하는 충신과 지혜로운 주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일을 생각하게 합니다.

'박종국에세이 > 단소리쓴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의 나잇살이라면  (0) 2017.02.02
두바이 프로젝트  (0) 2017.01.19
아무리 좋은 사과나무라 할지라도   (0) 2016.12.27
만족과 탐욕  (0) 2016.12.20
경쟁심과 질투심  (0) 2016.12.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