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느 마을에 여우가 살았습니다.
여우는 근처 농부의 집에 몰래 들어가 닭을 물어갔습니다.
농부는 ‘오죽 배가 고팠으면 그러랴’ 생각하고 참기로 했습니다.
이튿날 또 여우가 나타나 이번에는 오리를 한 마리 물어갔습니다.
농부는 한 번 더 참기로 했습니다.
며칠 후 여우가 또 닭을 물어가자 화가 난 농부는 덫을 놓았고 마침내 여우를 잡았습니다.
농부는 그냥 죽이면 분이 풀리지 않아 여우 꼬리에 짚을 묶은 후 불을 붙였습니다.
밀밭으로 달아난 여우가 지나갈 때마다 불길이 번졌고, 밀밭은 순식간에 재로 변했습니다.
'쥐 잡으려다 장독 깨고,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을 아시는지요?
자신을 화나게 한 대상에게 평정심을 잃었을 때, 그 화가 결국 자신에게로 돌아옵니다.
사람은 약하고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충동을 억제하지 못할 때도 많습니다.
그러나 노한 감정대로 말하고 행동한다면 그 책임은 결국 나에게 돌아옵니다.
2020 경남 건축 인테리어 전시회 (0) | 2020.06.22 |
---|---|
할머니와 똑같은 안경을 쓸거야 (0) | 2020.06.16 |
상가승무노인곡(喪歌僧舞老人哭) (0) | 2020.05.30 |
[40주년 5·18] 그날의 희생 "덕분에" 오늘의 자유, 민주를 누립니다. (0) | 2020.05.14 |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고용노동학과입니다 (0) | 2020.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