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풀어 읽기
곽 진(상지대학교 명예교수)
많은 사람들은 소설삼국지 작가로 나관중(羅貫中)을 떠올린다. 그리고 책권이나 보아둔 사람은 『삼국지(三國志)』 작가는 진수(陳壽)이고, 삼국지연의<이하 연의>는 나관중이라는 것쯤은 안다. 그러나 나관중은 연의의 창작자라기보다 편찬자라는 표현이 정확하다. 연의가 한 사람의 손에서 완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연의는 진수의 『삼국지』와 배송
지(裵松志)의 주(注)에 수집된 야사(野史)와 잡기(雜記), 화본소설과 평화소설들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연의의 초기 판본은 가정(嘉靖) 원년(1522년)에 출간된 『삼국지통속연의』이다. 이를 명(明)나라 말기 이탁오(李卓吾)가 나관중 본과 통속 연의를 통합·정리하였고, 청(淸)나라 모종강(毛宗崗) 부자(父子)가 앞선 판본들을 모아 손질하자 그 예술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우리가 읽었던 『삼국지연의』는 거의 모종강 본인데 독자들의 폭발적 반응으로 중국의 3대 기서〔奇書: 삼국지, 수호지, 홍루몽〕의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였다. 연의에 등장하는 인물이 줄잡아 400여 명, 중요 인물은 300여 명이며 핵심 인물만도 100여 명이다. 실로 엄청난 인적자원이며 스케일이다.
그리고 인물들의 활약상을 평가하는데 인용한 시편(詩篇)만도 205여 편으로, 어떠한 선택이 역사에 부합하는 올바른 인간형인가를 감동적으로 그려내는 배경 자료로 이용했다. 청대(淸代)의 장학성(章學成)은 연의는, “7할은 사실이고 3할은 허구여서 읽는 사람의 눈을 어지럽힌다.”라고 지적하였듯이 소설적 흥미를 북돋우기 위해 가공된 사실도 끼워 넣었다. 그뿐 아니다. 주자(朱子)의 촉한정통론(蜀漢正統論)을 빌려와 유비(劉備)를 주인공으로 조조(曹操)는 교활하고 잔인한 통치자로 전락시켰다.
정통론의 사상적 함의(含意)
연의와 달리 서진(西晉)의 진수가 쓴 『삼국지』는 후한(後漢) 때 위(魏). 오(吳), 촉(蜀)의 60년 역사를 기술한 정사(正史)이다. 그는 여기서, “하늘에 두 개의 태양이 있을 수 없고, 지상에는 두 임금이 존재할 수 없다(天無二日, 地無二王)”는 정통론(正統論)을 제시하였다. 정통론이란 천하에 임금이 둘일 때, 누구를 적통으로 삼을 것인가 하는 정치적 문제가 걸린다. 사실 정통론은 중국의 역대 사가들에게 일대 논쟁을 일으킨 사관(史觀)으로, 훗날 동아시아 여러 민족에게 적지 않은 정신적 굴종을 강제하게 되는 역사관이다.
천하를 통일한 왕조는 자동으로 정통을 인정받지만 몇 개의 정권이 난립할 때 적통을 정하기가 난감한 게 현실이다. 근대 계몽기 사상가인 양계초(梁啓超)는, “천하에는 하루도 군주가 없을 수 없고, 백성들에게 두 임금이 병존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라는 주장으로 정통론이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고, 이는 특정 나라에 정통을 주려는 데서 빚어진 결과다.”라고 비판적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중세사회에서 왕조 본위의 역사기술상 정통론은 역사기술의 기준, 즉 기년(紀年)을 세우기 위해서도 불가피했겠지만, 그보다는 자기 소속 왕조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하여 그것의 도입이 절실하였다. 그 결과 진수는 조조(曹操)를, 나관중은 유비(劉備)를 정통으로 삼았다.
그런데 우리가 중국 고전 읽기에서 정통론이 중국 중심주의에서 싹튼 세계관임을 새겨야 한다. 그것이 화이사상(華夷思想)으로 고착되어 중국 이외의 민족들을 오랑캐로 멸시하고 중국을 세계의 중심에 넣으려는 이념적 틀로 작동하였다. ‘천하에 두 임금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황제(皇帝)를 주변국들도 받들어 섬겨야 한다는 지배의식으로 탈바꿈하였다. 이것이 중국 역대 사가(史家)들의 머릿속에 숨어있는 정통론의 본얼굴이다. "젊어서는 『수호지』를, 나이 들어서는 『삼국지』를 일지 말라〔少不讀水滸, 老不看三國〕“는 말이 있다. 이는 연의의 엄청난 문학적 흡입력을 설명한 구호인바, 삼국지연의는 그러한 책이다.
글쓴이 / 곽 진
· 상지대학교 명예교수
· (사)다산연구소 이사
· 저서
『김육연구』 (공), 태학사
『장현광연구』 (공), 태학사
『용산일고』 (역주)
『창와집』 (역주) 등외 다수
다산의 목민 정신과 21세기 공직자의 청렴 (0) | 2021.03.23 |
---|---|
학자 다산과 행동가 백기완 (0) | 2021.03.08 |
미얀마의 쿠데타와 한국의 민주주의 (0) | 2021.02.16 |
과잉착취와 노동자의 고통 (0) | 2021.02.02 |
정조와 다산의 죄수 인권 존중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