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녕하세요. 한국작가회의 국제위원회입니다.

한국작가회의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21. 5. 20. 14:10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한국작가회의 국제위원회입니다.

 

20214, 한국작가회의 회원들께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후원금을 모금하자는 내용의 메일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일주일 간 11,663,999원을 모금했습니다. 지난번 1차 모금액인 250만 원에 이은 놀라운 액수입니다. 일을 추진해주신 한국작가회의 이상국 이사장님, 신현수 사무총장님과 상의하여 송금처와 액수(첨부)를 정했습니다. 한국작가회의에서는 지금까지 1300만 원 정도를 송금했습니다. 모두 마음으로 함께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작가의 돈은 재벌의 돈보다 몇 천 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일 노동자로 혹은 아르바이트로, 혹은 원고료 등의 수입을 털어서 보내주셨겠지요. 귀한 줄 알기에, 국제위원회에서 미얀마 민주화를 위해 정확히 전달되도록 송금처와 방법을 파악했고, 사무처에서 전액 송금했습니다.

 

 

시간이 길어진 이유는 314() 대전역 앞에서 미얀마 청년 연대에 기금을 전할 때(https://bit.ly/2SVDgpX)와 사정이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그때는 두 가지가 가능했습니다. 첫째는 은행으로 송금이 가능했고, 둘째는 아직 미얀먀 내에 노동조합 등 운동 조직이 살아 있어, 송금과 수금자가 명확히 가능하여 10만원씩 10가족에게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우리 모금이 끝난 419일 무렵부터 대학살이 시작되어 송금이 금지되고, 수금자와 배급자가 모두 수사되고 체포되는 일이 생겼습니다. 제대로 송금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긴 겁니다. 제일 먼저 찾은 것은 미얀마 작가에게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단체를 찾아 대화를 나눴습니다. 미얀마 현지 예술가들이 모임을 만들어 투쟁하고 있습니다.

 

 

사실 미얀마 내 공무원의 CDM(시민불복종 운동) 참가율은 34% 정도이고, 반면 교육공무원들은 40% 정도가 CDM에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민주화 운동 참여자가 그대로 실직자가 되어가는 상황입니다. 운동에 참여하면 하루살이가 힘든 겁니다. 이번에는 더 확대하여 한 가족에 약20만짯(20만원)씩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제대로만 전달된다면 60가족이 한 달을 견딜 수 있겠습니다. 군부 살인마에 투쟁이 아니더라도, 인간으로 버틸 수 있겠습니다.

 

 

현재, 미얀마에 필요한 송금처는 세 군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시민불복종 운동(CDM·Civil Disobedience Movement)’을 후원하는 방식입니다. 피해 입은 가족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가족들을 지원합니다.

 

 

둘째는 국민통합정부(NUG, National Unity Government)’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미얀마의 반군부 민주진영 임시정부입니다.

 

 

셋째는 지난 55NUG에서 창설한 무장투쟁을 위한 시민방위군(People's Defence Force)’을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부분이 가장 지원이 적습니다.

 

 

아래와 같이 신뢰할 수 있는 구좌에 비밀 방식으로 송금했습니다. 1, 2차에 걸쳐 참여해주신 작가들께 감사합니다. 다음 3차 때는 미얀마 현지에 계신 작가, 시인, 소설가의 글을 받아 우리말로 번역해서 출판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살아있는 문인들과 소통하려 합니다. 미얀마 민주화를 광주민주화운동 41주년 새벽에 응원합니다. 사정이 나아지면 미얀마 현지에서 활동하는 아동문학가, 시인, 소설가, 평론가 등 작가들을 만나러 가겠습니다.

 

 

  송금처 수금대상
1 아시아 인권 문화연대 미얀마 현지
시인작가화가팀
2 시민불복종 운동(CDM) CDM운동
3 미얀마 청년 연대 CDM
NUG
4 사람예술학교 CDM
5 미얀마군부독재타도위원회 버마행동

 

한국작가회의 국제위원장 김응교, 부위원장 곽형덕 드림

 

 

전화 02-313-1486~7

전송 02-2676-1488

주소 (03965)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로 128, 마포중앙도서관 5층 (사)한국작가회의

홈페이지 www.hanjak.or.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