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매월당 김시습

세상사는얘기/소요유소요유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22. 4. 20. 14:56

본문

728x90

매월당 김시습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신동(神童)으로 태어나, 나이 5세에 이미 세종대왕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나라의 큰 재목으로 쓰이기로 결정 된 인물이었다. 그래서 주변에서는 이름을 부르지 않고, 다만 ‘5세’ 또는 ‘김오세’라고만 불렀다. 설악산의 ‘오세암’은 바로 김시습이 지어 공부했던 암자이다.

김시습은 지금의 서울 명륜동 성균관에서 태어났는데, 그가 태어나던 날 밤 같은 마을에 살던 영해 박씨(부도지를 쓴 박제상의 후손)들은 그 집에서 공자(孔子)가 태어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음날 아침 가보니, 과연 아기가 태어나 있었다고 한다.

 


아이는 총명하여 5세에 [중용中庸][대학大學]에도 통달하였다. 그러자 이름난 정승 허조(許稠)가 찾아와 말을 시켰다. “내 늙었으니, 늙을 노(老)자로 시를 지어 보라.”
그러자 “늙은 나무에 꽃이 피니, 마음은 늙지 않았네.(老木開花心不老)”라는 김시습의 즉각적인 시작(詩作)에 허 정승은 연발 무릎을 치며 ‘신동(神童)’이라고 감탄사를 연발하였다고 한다. 그 다음에는 세종대왕이 대궐로 불러 시험하였다.

 

세종대왕이 “동자의 학문은 마치 백학(白鶴)이 푸른 소나무 끝에서 춤을 추는 것 같구나.”라고 하자
아이는 “어진 임금님의 덕(德)은 마치 황룡(黃龍)이 푸른 바다 가운데서 노는 것 같습니다.”라고 응답했다.

 

이에 세종대왕이 기뻐하며 비단 50필을 하사 하고, 그 집에 일러 아이의 재덕(才德)을 감춰 기르라 하시며, 장차 크게 쓰겠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김시습이 학문에 전념하고 있을 때, 세종대왕과 문종이 잇달아 세상을 뜨시니, 어린 단종이 나이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그러자 숙부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였다. 이때 김시습의 나이는 21세였다.

 

 


삼각산 중흥사에서 과거공부를 하다가 단종의 손위(遜位)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대성통곡하며 모든 책을 불태워 버리고 종적을 감추어 버렸다.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사건은 김시습의 생애에서 숙명적인 분기점이 되었다. 아직 세파에 때가 묻지 않은 21세라는 그의 나이는 불의(不義)에 의해 정도(正道)가 무너지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김시습은 세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육신(死六臣)의 시신을 수습하여 노량진에 묻어 주었다. 이에 후대 사람들은 살벌하고 무서운 시대에 두려움 없이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하여 묻어준 절의(節義)를 높이 사서, 김시습을 생육신(生六臣)으로 추대하였다.

 

김시습은 또 단종이 암살되자 계룡산 동학사에 몇몇이 모여 남몰래 제사를 모시고, 절의(節義)를 지켜 영원히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이때의 일을 그는 이렇게 적었다.


‘갑자기 충격적인 일을 당하자, 나는 생각했다. 대장부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자기 뜻을 실행할 수 있는데도 물러나 자기 몸만을 깨끗히 하여 도덕과 윤리를 저버린다면, 이는 수치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자기 뜻을 실행 할 수 없을 바에는 차라리 제 한 몸이나 깨끗이 하는 것이 나으리라.’ 이렇게 세속을 떠난 김시습은 한동안 영해 박씨들과 행동을 같이 하다가, 나중에 설현(偰賢)을 만나 한계산(寒溪山: 지금의 설악산)에서 신선술인 연단법(煉丹法)을 수련하게 된다.

 

 

설현은 본래 원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권진인(權眞人)으로부터 도(道) 공부를 한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권진인은 김시습의 사조(師祖)가 된다.


권진인: 본명 권청. 고려시대 안동사람. 어린시절 문둥병으로 태백산에 버려졌으나 범의 도움으로 약초를 먹고 병을 고쳤다.

 

마침 당나라에서 수학한 의상대사가 임종 전에 태백산 암자에서 전해준 여동빈의 선도를 이어받아 득도하였다. 함열사람 남궁두가 그의 제자 중 한 명이었고, 남궁두와 허균은 친분이 있었다.

 

최초의 한글 소설인 허균의 홍길동전은 남궁두를 모티브로 썼다고 전한다.


김시습은 설현에게 선도(仙道)를 배운지 1년 만에 단(丹)을 이루었으며, 다시 금강산에 들어가 9년을 수련하여 득도하였으나 천선(天仙)의 마지막 단계에서 실패하였다. 또한 김시습은 10여 년에 걸쳐 신라의 화랑들처럼 전국 국토순례(國土巡禮)를 하였다. 그리고 김씨의 뿌리인 경주의 금오산에서 7년 동안 묻혀 저술에 몰두하였으니, 이때 탄생한 것이 바로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金鰲新話)]였다.


[금오신화]는 부정한 현실체제에 합류할 수 없었던 그의 이상(理想)과 그동안 전국을 순례하면서 얻은 신선사상(神仙思想)의 영감(靈感)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이렇게 7년 동안 [금오신화]를 완성한 김시습은 그것을 석실(石室) 속에 감춰두며 이렇게 말했다.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알아줄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금오신화]를 바로 발표하지 못하고 ‘때’를 기다려야만 했을까?

 

조선시대는 주자학(朱子學)을 숭상하고 유교(儒敎)를 국교(國敎)로 삼은 왕조였다. 그러므로 유교 이외의 사상(思想)은 모두 이단(異端)으로 취급하였다. 그리하여 자칫 잘못하다가는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려 영영 매장당하는 시대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시습은 스스로도 만족할만한 [금오신화]를 집필하였지만, 그 작품 속에 들어있는 선도사상(仙道思想) 때문에 바로 발표하지 못하고 ‘때’를 기다려야만 했던 것이다.

 

선도(仙道)의 특성 자체가 밀의적(密意的) 비전성(秘傳性)을 띠는 데다가, 조선조의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해 김시습은 자신의 진면목을 두꺼운 베일 속에 감추었다. 김시습은 미친 사람처럼 행세하였으며, 와서 배우려는 자가 있으면 나무나 돌로 치려하고, 활을 당겨 쏘려고도 하며 그 성의를 시험하였다. 김시습이 누더기에 패랭이를 쓰고 14세 연상의 대제학 서거정(徐居正)이 타고 가는 가마에 거침없이 다가가 서거정의 호를 부르며 수작을 하였다.

 

“강중(剛中)은 편안한가?” 그러면 대제학 서거정이 가마를 세우고 김시습과 한참 대화를 나누는 모습에, 세상 사람들은 눈을 둥그렇게 뜨고 바라보았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또 40세 연상인 집현전 부제학 조상치(曺尙治)와도 허물없이 친구로 지내는가 하면 김수온(1410~1481), 서거정(1420~1488), 홍윤성(1425~1475) 등 모두 나이 많은 공신 및 고관대작들이 김시습(1435~1493)을 깍듯하게 대접하며 상석(上席)에 앉혔다고 한다.

 

김시습은 운명할 때에도 선도(仙道)의 시해선(尸解仙)으로서 마지막 삶을 끝마무리 하였다. 시해선(尸解仙)은 바로 지상선(地上仙)이었으니, 그로 인해 김시습이 조선시대 선도(仙道)의 비조(鼻祖)로 꼽히고 있는 것이다. 그가 운명할 때 승려의 신분으로 마땅히 불교의식에 따라 화장(火葬)을 해야 했으나, 그는 이렇게 유언하였다.

 

“내가 죽거든 화장(火葬) 하지 말고, 땅에 묻으라.” 그래서 절 옆에 임시로 묻었다가 3년 후에 장사지내려고 그 빈소를 여니, 얼굴이나 몸체가 생시 모습 그대로였다. 바로 선도(仙道)의 시해선(尸解仙)이 된 것이었다. 이를 두고 율곡 이이(李珥)는 “필경 외도(外道=仙道)를 닦은 때문에, 죽었어도 살았을 때처럼 모습이 그런 것이라고” 말하였다.

 

김시습은 유불선을 총합한 조선시대 최초이자 최고의 인물이다. 조선 선도(仙道)에서는 시조되는 인물이다. 왜냐하면 그에게서 비롯되는 제자가 정희량 서경덕 윤군평 홍유손 등이다. 정희량은 연산군에게 충언을 드리다가 유배를 간 인물이자, 퇴계 이황 공부를 도와주었고 퇴계 또한 존경했다는 인물이다. 화담 서경덕은 황진이의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은 당대 유명인사이면서, 소강절의 매화역수에 정통한 상수철학과 기철학의 대가이다.

 

윤군평은 전우치와 함께 도술로 이름을 함께 떨쳤으며, [해동전도록]을 써서 우리나라 선도사(仙道史)의 도맥을 확립한 한무외의 사조(師祖)이다. 홍유손은 조선 사림파의 시조로 불리는 김종직의 문인이자 김시습의 친구이다. 노자와 장자 사상을 좋아했고 연산군때 제주도로 유배되었으며 그의 맥은 남녀를 차별하지 않고 후대로 전해진다. 이런 제자들을 통해 후일 단학의 대가 정북창, 동의보감의 허준, 홍길동전의 허균 등이 김시습의 도맥에서 비롯되어 나온다.

 


김시습은 실로 잘난 사람이었다. 그 자신은 시대를 잘못 만났다. 하지만 그는 유도를 버림으로 충을 지켰고, 승복을 입는 순간 세상의 시비를 버렸으며, 결국 자연으로 돌아와 사사무애의 우주를 얻었다. 이 분이 쓴 책 가운데 [용호결]이 있다. 그 내용 중에 김시습이 얻은 우주1년 ‘129,600년’ 구절이 있어서 올려본다.

 

김시습의 용호결(龍虎訣)에 나오는 우주1년

且人之呼吸猶 天地之呼吸也.
冬至之後爲呼 夏至之後爲吸. 此, 一年 之 呼吸也.

또 사람이 숨쉬는 호흡이란 것은, 천지 운행의 호흡과도, 비슷하다. 동지(冬至) 이후부터는, 날숨이 되고, 하지(夏至) 이후부터는, 들숨이 된다. 이것이 곧 1년의 호흡이 된다.

 

子 以後爲 呼 午 以後爲 吸. 此, 一日 之 呼吸也.
天地一年一日 僅如人之一息. 是以 一元之數 十二萬九千六百年 在大化爲一年.

자시(子時) 이후부터는, 날숨이 되고, 오시(午時) 이후부터는, 들숨이 된다.이것이 곧 하루의 호흡이 된다. 천지간에서의 1년과 하루는, 사람이 한번 숨쉬는 것과도 같다. 이렇기 때문에 일원(一元)에서의 수가 129,600년인 것이며, 큰 변화에 있어서는 1년이 된다.

'세상사는얘기 > 소요유소요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후반이 중요하다  (0) 2022.04.21
학문을 닦으면  (0) 2022.04.20
벽오동 심은 뜻은  (0) 2022.04.05
탈피의 쓰라림  (0) 2022.04.01
큰 나무도 가느다란 가지에서 시작된다  (0) 2022.03.2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