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해공원' 간판을 뜯어내버렸다. 경남진보연합과 경남통일선봉대는 12일 오후 2시 30분경 경남 합천 '일해공원(옛 새천년생명의숲)'에서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내고 그 자리에 원래 이름이었던 '생명의숲'을 붙였다. 학생·농민·시민들로 구성된 통일선봉대 200여명은 지난 10일부터 경남 일대를 돌다가 이날 합천을 방문해 공원 입구에서 200m 정도 떨어진 3·1독립운동기념탑 앞까지 "학살자를 기념하는 일해공원 철회하라" "일해공원 결사저지" 등을 외치며 삼보일배를 벌였다. 삼보일배를 하는 동안 비가 계속 내렸는데, 노동자들로 구성된 60여명의 통일선봉대원들은 비옷도 입지 않고 참여했다. 이들이 삼보일배를 하는 동안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나와 지켜보기도 했다. 3·1독립운동기념탑 앞에 도착한 통일선봉대는 대표자들의 인사말에 이어 기자회견문을 낭송한 뒤 망치와 송곳을 이용해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냈다. 이병하 경남진보연합 공동대표가 '일'자를, 김천욱 전 전국금속노동조합 부위원장이 '해'자를 각각 뜯어냈다. 이들은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낸 뒤, 그 자리에 '생명의숲'이라는 간판을 다시 붙였다. 앞서 삼보일배 동안 통일선봉대는 왕복 4차선 가운데 1차선을 이용해 삼보일배를 벌였는데, 경찰이 신고대로 집회를 하지 않는다며 제지하는 바람에 한때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또 합천군청 공무원과 경찰서 직원들은 집회 장면을 촬영해 항의를 받았다. 통일선봉대원들은 "채증 영장을 제시하라"고 요구하며 공무원의 카메라를 뺏거나 경찰이 촬영한 동영상을 삭제하기도 했다. "왜 은근슬쩍 바꾸나"
또 그는 "일해공원은 추진과정에 있어 행정·법·절차가 무시되었다, 은근슬쩍 바꾸었는데 하자가 많다. 왜 당당하게 전국에 알려내지 못하느냐"면서 "경남진보연합이 합천군청에 공문을 보내 11일까지 간판을 철거할 것을 요구했는데 묵묵부답이다, 이는 묵시적 동의라 본다"고 말했다. 김천욱 대장은 "민족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선조들을 기리는 3·1운동기념탑이 있는 곳에 학살자를 기리는 공원을 세우는 게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강선희 민주노동당 합천위원장은 "군민들은 '일해공원'이라 부르지 않는다, 공무원들도 합천읍 앞에 있다고 해서 '읍 앞 공원'이라는 말을 한다"고 말했다. 경남진보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애초 계획했던 대대적인 명명식은 온데간데 없고 합천군민들조차 현판 교체를 모르고 있다"며, "이는 일해공원을 추진하는 자들 스스로가 일해공원에 대한 타당성과 그 어떤 명분도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학살자 이름을 딴 공원을 성역화함으로써 전두환의 영상이 지워질 리는 만무하다"고 덧붙였다. 경남 합천군은 올해 1월 29일 새천년생명의숲을 '일해공원'으로 바꾸었으며, 지난 7월 5일 안내간판을 바꾸었다. '일해공원' 안내간판은 공원 입구와 3·1독립운동기념탑 앞 등 2곳에 있는데, 이날 뜯겨진 간판은 기념탑 앞에 있는 것이다. 이날 경남진보연합이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낸 행위는 공용물손괴에 해당될 수 있어 경찰과 합천군청에서 앞으로 어떻게 나올지 관심을 끈다.
|
|
||||||||
진보단체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아호를 딴 '일해공원'(옛 새천년생명의숲) 안내간판에서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낸 것에 대해 인터넷 카페 '전사모'(전두환 전 대통령을 사랑하는 모임) 회원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전사모' 회원들은 '분노'하고 있다. 회원들은 합천에서 다시 '지지 집회'를 열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경남진보연합과 경남통일선봉대는 지난 12일 오후 '일해공원'에서 삼보일배를 한 뒤 3․1독립운동기념탑 앞에 있는 안내간판에서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냈다. 이날 저녁 '전사모'의 '망치'라는 회원은 자유게시판에 글자를 뜯어내는 장면이 찍힌 <오마이뉴스> 사진을 올려놓은 뒤 감정을 드러내는 글을 올렸으며, 거기에 수십 명의 회원들이 댓글을 달아 놓았다. '망치'는 "각하의 일해공원이 심심하면 가지고 노는 애들 놀이터입니까?"라고 물은 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인사들의 영리 추구 목적과 정치적인 놀음의 희생양이 되고 있는데 어디까지 우리는 참아야 합니까"라고 물었다. 그는 "우리가 왜 뭉쳤습니까? 각하라는 한 인물을 사랑하고 존경하기에 우리의 카페가 존재 하는 것 아닙니까"라며 "각하께 누가 되는 행동은 하지 않는 게 맞습니다, 허나 참는데도 한계가 있지 않습니까?"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의 각하 이름이 저런 빨갱이들한테 짓밟히고 있다, 뭔가를 보여 줘야 할 때라고 생각되지 않습니까? 각하를 존경하고 사랑하는 우리가 아니면 누가 나설 것입니까"라며 일어나자고 호소했다. "말도 안 되는 상업성 오락영화 한 편에 각하의 일해공원이..." '망치'의 글에 수십 명의 회원이 댓글을 달아 놓았다. 한 회원은 "글을 보고 뉴스 확인하고 치밀어 오르는 분노를 어떻게 해야 할지, 우리나라는 엄연히 법치국가라고 알고 있다, 저들의 말도 안 되는 행동을 합천경찰서에는 보고만 있었다고 하니, 회원님들 우리 모두 합천경찰서가 취한 행동을 어찌 해석해야 합니까"라며 경찰을 질타하기도 했다. 또 다른 회원은 "말도 안 되는 상업성 오락 영화(<화려한 휴가>) 한 편의 모든 것이 역사의 진실인양 인식하는 분들의 무지를, 회원님들 이럴 때일수록 한마음으로 뭉치는 우리의 저력을 보여줄 때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또 "합천군을 방문하고 지지 모임이라도 해야 되지 않을까"라거나 "제3의사나이 연쇄살인범보다 더 무서운 놈이 빨갱이다, 김일성 주체사상에 빠지면 좀비가 되는 것과 다름없다, 주위에 살아있는 자들을 감염시키고 세력을 확장에 나가면서 결국엔 모두 파멸하고 만다"라는 글도 올라와 있다. 또 다른 회원은 "이럴 때일수록 더욱더 뭉쳐야 합니다, 합천으로 모이실 분 어디 안 계신가요? 정기모임은 아니더라도 일해공원에서 청소하는 모습이라도, 우리도 기사화해서라도 그분의 마음을 흐뭇하게 해드리는 게 어떨지"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사모'는 오는 19일 '일해공원'에서 여름 정기모임을 열 예정이었으나 연기한 상태다. 한 회원은 "뭐 저런 놈들이 다 있노? 대낮에 공공연히 사람들 앞에서 글자 바꾸다니? 이 나라 법은 다 어디로 갔는가? 명백한 기물파손죄입니다, 상응한 벌을 받아야 합니다, 분노합니다"라며 감정을 드러냈다. 또 게시판에는 "우리도 갑시다, 한번쯤은 앞뒤 가리지 말고 합시다"거나 "망치질하는 아저씨 이마에 망치질을 해야 하는데", "합천군민이 결정한 것을 제3자가 왈가왈부하니", "제가 오늘 합천군청에 강력하게 항의를 했는데 별 소득이 없어서 마음이 상하네요", "대선이 있어 계속 그럴 거 같습니다, 내년에는 잠잠하겠지요"라는 내용의 글도 올라와 있다. '전사모' 카페는 2003년 10월 개설되었으며, 영화 <화려한 휴가>가 개봉할 당시인 지난 7월말에는 회원이 1만4000여명이었는데 14일 현재 1만6400명을 넘어서 영화 개봉 이후 2000명 이상 늘어났다. '전사모'는 지난 1월 합천에서 '일해공원 찬성 집회'를 열기도 했다. 한편 합천군청은 뜯겨나간 '일해'라는 글자를 14일 다시 안내간판에 붙일 예정이다. |
|
||||||||
경남진보연합과 경남통일선봉대가 '일해공원' 안내간판을 뜯어낸 행위는 어떤 실정법 위반에 해당되는가? 합천군청의 고발 여부와 합천경찰서의 입건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남진보연합은 12일 오후 합천에서 삼보일배를 한 뒤 일해공원 간판에서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냈다. 합천군청에서는 2곳에 안내간판을 세워놓았는데, 이날 경남진보연합은 3·1독립운동기념탑 앞에 있는 간판만 '일해' 글자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생명의숲'을 붙여 놓았다. 일단, 합천경찰서와 합천군청 측은 '일해'라는 글자를 뜯어낸 행위가 공공시설 파손이기에 법적으로 '공용물 손괴'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합천군과 경찰서는 이후 이들을 고발·입건할지는 앞으로의 사태를 더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합청군청 관계자는 "현행범이기에 군청에서 고발하기 이전에 경찰에서 실정법 위반에 따라 처리하는 것으로 안다"며 "파손된 간판은 일단 원상 복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의조 합천군수는 이번 '일해' 철거와 관련, 특별한 언급을 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합천경찰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답변하기 곤란하다"며 "이 문제는 어제로 끝난 게 아니라 두고두고 일어날 수 있다, 좀 더 지켜보고 난 뒤에 판단할 문제다"고 말했다. 한편, 2005년 진주지역 시민단체는 친일화가 김은호씨가 그려 진주성 의기사에 걸려 있던 '미인도 논개 복사본(일명 '논개영정')'을 뜯어낸 것과 관련 공용물 손괴 혐의로 기소되어 법원에 의해 벌금형을 선고받은 바 있다. |
|
|
'87년 후 20년 흘렀지만, 노동자의 삶은 오늘도' (0) | 2007.08.27 |
---|---|
'닭장차'가 없는 세종로가 '진짜 세종로'다 (0) | 2007.08.25 |
휴대폰은 생필품이 아니다 (0) | 2007.08.20 |
일본의 장애인 정책 (0) | 2007.08.12 |
KTX 이랜드 여성 비정규직 "우리는 버림받은 국민인가?" (0) | 2007.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