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논술]제22강-독서논술

박종국교육이야기/논술강의원고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8. 7. 24. 09:15

본문

728x90

방과후청소년아카데미-논술강의 :초등용 □


제22강의 주제 : 독서 논술


 ● 일 시 : 2008.7.24.(목) 20시

● 장 소 : 창녕청소년문화의 집

● 대 상 : 창녕군관내 초등학생

● 강 의 : 박종국(교사, 칼럼니스트)

독서 논술


책을 읽고 단순한 느낌 이상의 책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판적 생각, 더 나아가서 색다른 상상을 포함하는 과정입니다.


1. 책을 읽기 전에 이 책과 관련된 배경지식

2. 책을 읽게 된 동기

3. 책을 처음 봤을 때의 생각(표지나 제목, 그리고 책 전체의 모습을 보고)

4. 간단한 줄거리

5. 다 읽고 났을 때의 느낌

6. 책의 내용과 관련된 생활에서 겪은 내 경험

7. 책의 내용에 대한 나의 생각

8. 가장 인상적인 장면과 그 이유

9. 책 내용에서 궁금한 점

11. 책을 읽고 난 뒤 더 알고 싶은 것이나 다음에 읽고 싶은 책의 내용

12. 내가 주인공(또는 다른 등장인물)이라면 어떠했을까?

13. 내가 작가라면.

14. 작가에 대한 소개

15 . 책 내용에 대한 비판적 생각

16. 이 책을 먼저 읽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

17. 이 책을 권하고 싶다면 그 까닭은?



독서논술은 책으로 근거와 주장을 제시하는 주장하는 글입니다.

글의 형식은. 독서논술의 형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자신의 주장을 전체적으로 고루고루 쓰는 것입니다(이 방법은 주장이 너무 약하거나 한쪽에만 강하게 몰린다던지 하면 안 되고, 근거도 적당히 들어가야 합니다).


2. 처음에 주장을 뚜렷이 하고 그 주장에 대한 근거를 써 내려갑니다.(이 방법은 평범한 방법으로 많이 쓰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근거가 무엇보다 중요해서 확실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3. 마지막으로 처음에 주장을 뚜렷이 하고, 마지막에 최종 주장으로 한 번 더 쓰는 방법입니다(이 방법은 중심생각을 강조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 서론

  - 문제점 제시(주장)

□ 본론

  - 문제점의 해결방안 및 논거

□ 결론

  - 마무리 짓기


○ 독서논술은 책을 읽고 인물이나 인물의 처지 등 여러 관점에서 봤을 때의 주장을 쓰면 됩니다. 그렇다고, 내 주장은 이것이다 하는 것보다 왜 그런지에 대해 분명히 합리적인 근거를 써야 됩니다. 하지만 독서논술은 그렇게 딱딱하게 쓰지 않아도 됩니다.


○ 독서논술은 감상문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가령, 어떤 책을 보고, 재미있었다, 비극적이었다. 주인공과 같은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은 순전히 자기 생각일 수 있습니다.



주장하는 글과 독서논술의 차이점


○ 주장하는 글은 자기의 생각이 있으면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그 생각에 동의하기 위해서 쓰는 글입니다. 독서논술은 자신이 책을 읽고 그에 대한 생각과 이유를 나타낸 글입니다


독서논술의 비결


○ 먼저 책을 많이 읽어야합니다. 왜냐하면 한 권의 책을 읽고는 어떡해야 할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책을 많이 읽으면 자기가 쓰고 싶은 글에 대한 책도 찾기가 쉬워집니다. 그리고 독서논술을 잘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글을 잘 쓸 줄 알아야합니다. 독서논술을 여러 가지의 복잡함 속에 이루어지는 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독서논술을 하려면 그만큼 준비도 많이 필요하답니다.


이상에서 독서논술을 종합해 보면


○ 독서논술은 독서를 함으로써 그것에 관하여 의견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글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독후감 같은 것이다. 그러나 독후감은 책을 읽고 난 후의 감상이나 느낌을 쓰는 것으로, 감상문, 편지글 같은 것이 있는데, 하지만 독서논술을 마냥 독후감 같은 감상문으로 본다면 그것은 큰 착오다. 독서논술은 독후감과 달리 일종의 주장하는 글의 성격이 있다.


○ 독서논술은 주장하는 글처럼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뉘어서 쓰되, 서론에는 주장을, 본론에는 근거를, 그리고 다시 결론에서 주장하는 것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독서논술은 제시되는 책을 보고 그 책을 읽고 난 후의 감상을 적는다.


독서논술에 일정한 틀이 있다면


(1) 먼저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결정한다.

  논술에서 나의 관점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는 글은 좋은 글이 아닙니다.

(2)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몇 가지 정리해 본다.

(3) 반대되는 측의 입장에 해당하는 근거를 정리해 본다.

(4) 반대의 근거가 되는 것들을 비판하고, 자신의 주장이 타당한 이유를 들어 본다.

(5) 이제 이것을 바탕으로 3~5단계로 글을 써 본다.

(6) 먼저 문제가 되는 논점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이것을 어떤 방식으로 전개할 것인지 제시한다.

(7) 논점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8)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정리한다.

(9) 상대측이 반박할 내용을 미리 예상하고, 차단한다.

(10) 자신이 내거는 주장이 갖는 한계와 범위를 명확히 한다.

(11) 그 주장이 갖는 의의를 정리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녹서논술을 잘 하는 방법은


1.신문을 자주 읽는다.

 2.독서 게임을 재미있게 한다.

 3.논술을 즐거운 마음으로 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