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민간사찰을 복원했다'는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의 발언이 정치권에도 파장을 낳고 있다.
박원순 상임이사는 18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 정부가 시민단체를 깡그리 무시하고 있는데 배제의 정치를 총체적으로 지휘하는 사령부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를 청와대 또는 국정원일 것이라고 언급한 박원순 이사는 "이렇게 민간사찰이 복원되고 정치와 민간에 개입이 노골화되면 이 정권의 국정원장은 다음 정권 때 구속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정원 민간사찰 실태의 근거로 "시민단체, 단체와 관계맺는 기업의 임원들까지 전부 조사해 개별적으로 연락하는 통에 많은 단체들이 재정적으로 힘겨운 상태"라며 "총체적으로 지휘하는 곳이 없으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또 "희망제작소의 경우도 지역 홍보센터 사업을 3년에 걸쳐 하기로 행정안전부와 계약했지만 1년 만에 해약통보를 받았고, 하나은행과 소기업 후원사업을 하기로 합의했지만 어느날 무산됐다"면서 "나중에 알고 보니 국정원에서 개입했다고 한다"고 언급했다.
박 이사는 이어 "명백한 민간사찰이자 국정원법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야만적이고 잔인한 일들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 민주 "이것이야말로 독재…경악할 만한 일"
이에 대해 민주당은 "실로 경악할 만한 일"이라며 "이것이야말로 독재가 아니고 무엇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유정 대변인은 "박원순 상임이사의 폭로가 사실이라면 전직 대통령을 정치보복으로 죽음에 이르게 한데 이어, 이제는 정권차원에서 국민도 시민단체도 정치권도 모두 낱낱이 감시하고 입을 틀어막겠다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와 함께 "국정원의 민간사찰과 시민단체 탄압이 명백한 사실이라면 박원순 이사의 말대로 국정원장은 다음 정권에선 반드시 구속감이고, 어쩌면 지금 당장 구속감"이라면서 "이명박 정권은 국정원의 민간사찰을 즉각 중단하고, 비판세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