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인권단체들이 '대한민국 인권상' 거부한 이유 | |||||||
민변 등 45 단체 "현병철, 인권상 수여할 자격 있나"…MB정부 인권 현주소 | |||||||
국내 인권 향상에 기여한 공로로 국가인권위원회가 매년 개인과 단체에 수여하는 '대한민국 인권상'과 관련, 전국 45개의 인권시민단체가 20일 "이명박 정권이 한국의 인권 현실을 외면한 채 '상'을 수여하는 것은 마땅치 않다"며 수상 거부를 전격 결정했다.
다산인권센터와 인권운동사랑방, 민변,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전국 45개 인권시민단체는 이날 "국가인권위의 독립성을 부정하는 무자격자 현병철 위원장이 '인권상'을 수여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며 수상을 거부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용산참사와 표현의 자유 억압 상황 등을 거론, "진보하기는 커녕 역행하고 있는 것이 한국사회가 당면한 인권의 현실"이라며 "이러한 처참한 인권의 현실을 외면한 채 수여되는 '인권상'은 인권을 기만하고 있는 상"이라고 거부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현병철 위원장에 대해선 '인권상'을 수여할 자격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국가보안법 존치는 나의 소신이다', '인권위는 행정부 소속이다', '인권위 조직 축소에는 이유가 있다' 등 인권 자체를 부정한 현 위원장의 발언을 질타하고 나선 것이다. 또 현 위원장이 최근 "인권위원장으로 위원회 독립성에 대한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있으며, 향후에도 실질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으나, 정작 내부 직원을 대기발령조치 하는 등 변화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 이들은 "현병철 씨 본인은 '인권상'을 수여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며 "국가인권위의 독립성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사퇴' 뿐"이라고 촉구했다. 지난해 '인권상' 선정도 온갖 잡음…보수언론에 백기투항 한 MB정부 주요 인권단체로 부터 거부 당한 '대한민국 인권상'은 지난해 후보 선정 과정에서도 끊임없는 논란을 야기시켰다. 2008 인권상 국민훈장에 이정이 부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대표가 최종 추천됐으나, 행정안전부가 심사 대상에서 제외했던 것. 당시 행안부는 이정이 대표의 '국가보안법 폐지 활동'을 겨냥한 일부 보수언론 보도를 감안해 "이정이 대표의 자격을 비판하는 언론보도와 성명이 잇따르는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검증 과정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이유를 밝힌 바 있다.
이들은 "행안부가 인권상 심사에 있어 기본이 되는 최소한의 인권적 기준조차 없이 보수단체들의 색깔론적 반발을 '사회적 물의'로 확대해석하여 이를 수긍한 것"이라며 "오히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은 바로 이명박 정권과 보수언론이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선정 과정에서 잡음을 일으킨 것도 모자라, 올해의 인권상에서 조차 반성과 발전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인권상'이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정권의 코드를 맞추기 위한 상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냐는 게 인권단체의 주장이다. 이들은 "지난해 행안부의 결정은 국가인권위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행위였다"며 "더군다나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지금은 무자격, 반인권, 반민주적 인사인 현병철 씨가 국가인권위원장직에 버티고 있는 실정"이라고 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인권위가 '인권상' 후보를 추천하고 심사하고, 현병철 씨의 이름으로 '인권상'이 수여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현 상황에서의 현병철-이명박 정권의 '인권상'은 그 자체가 인권의 가치를 모독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 |||||||
기사입력: 2009/10/20 [18:35] 최종편집: ⓒ 대자보 |
보이지 않는 손의 공영방송 바보상자 만들기 (0) | 2009.10.24 |
---|---|
농민은 돈 가뭄, 농협은 돈 벼락 (0) | 2009.10.23 |
슬픈 대한민국’의 눈물 (0) | 2009.10.20 |
한나라당 정권 잡아도 멀쩡하다던 그들이 오나? (0) | 2009.10.20 |
우측통행…우왕좌왕…우민정책 (0) | 200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