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측근도 인지 못한 엄기영 '사퇴' 후폭풍 | ||||||||||||
엄 사장 방문진에 7일 사표제출, 노조도 뒤늦게 파악…언론탄압 논란 확산 | ||||||||||||
친여성향의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 구성 이후 직간접적 '사퇴' 압력을 받아온 엄기영 문화방송(MBC) 사장이 결국 지난 7일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9일 오전 확인됐다.
실제로 전국언론노조 MBC본부(본부장 이근행)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지난달 30일 엄 사장을 향해 "뉴 MBC 플랜의 성과가 적다"며 "가시적 성과가 없으면 스스로 그만두겠다고 했으니 엄 사장 스스로 검토하라"고 사실상의 자진사퇴 압력을 가했다. 이후 김세영 부사장을 비롯한 본부장 7명 전원이 지난 4일 엄기영 사장에게 사표를 제출했고, 엄 사장 역시 7일 방문진에 사퇴 의사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것. 엄기영 사장 등 임원 8명의 사표는 오는 10일로 예정된 방문진 이사회에 상정될 예정이며, 이사진은 사표 수리 여부 및 교체범위 등을 공식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MBC 역시 이날 오전 긴급회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방문진은 "10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공식논의할 것"이라며 "이사회에서 논의한 후 MBC가 신뢰받는 공영방송으로 빠른 시일 내에 거듭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MBC본부 및 최측근도 인지 못한 듯…'언론탄압' 논란 확산 이에 앞서 엄 사장은 방문진 업무보고 직후인 지난 8월31일 △방송에서의 공정성 향상 △책임있는 효율경영 △노사관계의 변화 △미래를 위한 경영 틀 변화 등 4개 분야의 대대적 경영 변화를 예고하며, 자진사퇴 압력에 맞선 정면돌파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당시 엄사장은 "어느 정파, 어느 집단에도 흔들리지 않고 정도를 가겠다"고 했으나, 뉴라이트 성향의 최홍재 이사는 평화방송 라디오 방송에 출연, "과연 그것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최근에도 방문진은 이사회를 통해 엄 사장을 비롯한 'MBC경영진의 전원 교체'를 사실상 시정사실화 했으며, 김우룡 이사장 역시 엄기영 사장에게 2주에 한번씩 '뉴MBC플랜'의 이행사항을 보고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전국언론노조 MBC본부에 따르면, 최근 김 이사장은 "앞으로 일부 본부장들은 볼 수 없을 것 같다"는 말로 경질 의사를 사실상 공식화 했다. 때문에 오는 2011년 2월이 임기 만료 시점인 엄 사장의 사표 수리는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MBC 구성원과 언론시민단체, 민주당 등 야권의 강력 반발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국언론노조 MBC본부는 8일 저녁 성명을 통해 "방문진의 MBC 직할 통치 야욕"이라며 "방문진은 취임 이후 줄곧 보도, 제작, 편성에까지 사사건건 간섭하려는 야욕을 드러내더니, 어느 날 갑자기 퇴짜를 놓은 꼴"이라고 강력 성토했다. MBC본부는 엄 사장을 향해서도 "이미 '방문진의 부당한 간섭에 당당히 맞서겠다'고 약속했다"며 "점령군에 팔다리가 모두 잘린 채 이리저리 끌려만 다니는 굴종의 삶을 살고 싶지 않다면 이제야말로 그 말을 실천할 때"라고 정면돌파를 주문했다. MBC본부가 엄 사장을 겨냥해 강도높은 비판을 가한 것은 논평의 발표 시점이 엄 사장의 사표제출 사실이 알려지기 전에 발표됐기 때문이다. MBC본부와 엄 사장의 최측근들 조차 엄기영 사장의 자진사퇴 사실을 사전에 알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조한국당은 9일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방송은 국민의 것이다. 공기(公器)는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며 "정부·여당의 무리한 언론탄압은 결국 정권의 몰락만 초래할 뿐이라는 역사적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고 명백한 방송장악으로 규정했다. 진보신당 이지안 부대변인도 "'뉴mbc플랜' 이행평가 결과가 공영방송 사장의 진퇴를 결정하는 잣대가 될 수 없다"며 "이사회가 또다시 경영진을 흔들고 나선다면 MBC 구성원들뿐 아니라 공영방송의 미래를 염려하는 국민 저항에 부딪칠 것"이라고 비판했다. 방문진이 엄 사장 자진사퇴의 표면적 이유로 '뉴MBC플랜'의 부진에 대한 책임을 내세우고 있으나, KBS와 YTN 등 이명박 정권 이후 지속돼온 일련의 시건들 및 엄 사장에 대한 전방위 압박 등과 맞물리면서, 언론탄압에 대한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 ||||||||||||
기사입력: 2009/12/09 [11:21] 최종편집: ⓒ 대자보 |
오바마와 노벨평화상 "역겨웠다" (0) | 2009.12.12 |
---|---|
"이명박 정부의 정책목표는 노조 와해" (0) | 2009.12.11 |
두바이의 몰락과 '성장친화형 진보' (0) | 2009.12.10 |
현실은 왜 덕만을 지지하지 않을까 (0) | 2009.12.08 |
어떤 정치인이 대권을 꿈꾸지 않을까 (0) | 200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