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토론자로는 김규원(<한겨레>), 김익태(KBS), 유희준(SBS), 이성주(MBC), 이영환(<프레시안>) 등 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현직 기자들이 대거 참석했고 이들은 자신의 소속사 보도에 대해서 반성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X파일 보도가 도청 의혹에만 집중되고 도청 테이프에서 드러난 삼성·언론·검찰·정치인의 검은 유착관계에 대해 깊이있는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가장 큰 과오로 인정했다. 또 이날 토론회에서는 MBC가 X파일 보도를 미루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자체 취재를 통해 미림팀의 존재와 도청테이프 내용과 가장 먼저 보도한 <조선일보> 전략에 대해서도 통신비밀보호법을 비켜간 '지혜로운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한겨레> 기자 "<조선> 자체취재 성과, 한겨레는 늦었다" 김규원 <한겨레> 기자는 X파일의 존재를 알면서도 <조선일보>에 첫 보도를 내준 점을 가장 아쉬워했다. 김 기자는 "<한겨레>는 X파일의 존재를 안 뒤 이상호 MBC 기자와 접촉해 테이프와 녹취록을 입수하려고만 했지, 홍석현, 이건희, 이학수가 테이프 내용에 등장한다는 걸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도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취재를 벌이지 않았다"며 "초반 판단과 대응이 늦었다"고 평가했다. 김 기자는 <조선일보> 보도에 대해 "효율적으로 인력을 투입, 한 사안에 집중시켜 일정한 성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이성주 MBC 기자는 MBC가 보도를 머뭇거리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조합이 보도관철을 위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던 점을 자책했다. 이 기자는 "노조가 전위대 노릇을 했어야 했지만, 현실론에 매몰돼 국장에게 항의서신을 전달한다든지 공정보도협의회를 열어 특별취재팀을 구성하라고 하는 정도의 소극적 대처를 했다"며 "보도국이나 노조나 국민의 알 권리가 우선 한다는 것을 지켜내지 못했다"고 반성했다. 이영환 <프레시안> 기자는 "인터넷신문도 반성할 점이 많다"며 "X파일의 실체가 '정-경-언-검'의 검은 커넥션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속보경쟁에 매몰돼다 보니 삼성이 뿌려댄 마타도어를 그대로 받아쓴 것이 가장 반성해야 할 점"이라고 말했다. "각 언론사 녹취록 공유하는 언론노동자 연대를 만들자" 한편, 유희준 SBS 기자는 테이프 속에 드러난 '정-경-언-검'의 유착에 대해 제대로 보도하기 위해서는 도청 테이프가 공개돼야 하며, 공개가 어려울 경우엔 각 언론사들이 입수한 녹취록을 토대로 추가 취재해 검은 유착의 실체를 보도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유 기자는 "각 언론사들이 갖고 있는 녹취록을 공유해서 진실에 접근하는 언론노동자의 연대를 만들자"며 "이렇게 해서 취재가 진전되면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점에 대해 언론이 답을 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외롭고 쓸쓸한 노무현 대통령께 (0) | 2005.08.25 |
---|---|
평택 지킴이, 정태춘 박은옥, 거리로 나서다. (0) | 2005.08.19 |
남북이 함께 '올챙이 송'을 부르다 (0) | 2005.08.16 |
남북축구, 3:0, 그러나 패자는 없었다. (0) | 2005.08.15 |
매향리의 봄, 대한민국 (0) | 200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