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젯밤 아이들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혹시라도 늦게 일어날까 봐 자명종 시계를 5시에 맞추어 놓고 깜박
잠이 들었다. 눈을 뜨니 새벽 5시였다. 부리나케 옷을 갈아입고 고사장으로 나섰다. 아직도 아파트 단지는 어둠에 깔려 있었다. 찬바람이 불기는
했으나 예년에 비하면 포근한 날씨였다. 우리 반 아이들이 시험을 보게 되는 고사장은 2곳이었다. 그래서 아침에는 여학생이 치르는 고사장으로, 저녁에는 시험을 치르고 나오는 남학생에게 가보기로 하였다. 고사장에 도착을 하니 제일 먼저 눈에 띤 것은 선배들을 응원하기 위해 나온 1·2학년 후배들이었다. 아이들은 교문을 중심으로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 새벽 2시부터 이곳에 와 있었다고 하였다. 연례행사처럼 이뤄지는 응원전이 이제는 수능 당일 하나의 볼거리가 되어가고 있다. 여기에 따른 부작용 때문에 응원전을 펼치지 말자는 여론도 있으나 모교와 동문을 사랑하는 아이들의 마음은 수능 추위를 녹일 만큼 뜨겁기만 하다.
선생님들 또한 제자의 어깨를 두들겨 주며 용기와 격려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담임 선생님들은 혹시라도 아이들이 시험을 치르는 데 필요한 준비물(수험표, 신분증, 시계 등)이 빠진 것이 없는지를 챙겨 주기에 여념이 없었다. 자식을 둔 부모의 마음이 오늘만큼은 한결 같았다. 교문 앞에서 고사장으로 들어가는 자식이 못미더운 듯 자식의 뒷모습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서 있기도 하였다.
선배들은 후배들이 준비한 따뜻한 차 한 잔을 마시면서 잠시나마 긴장을 푸는 듯하였다. 잠시 뒤 후배들은 고사장으로 들어가는 선배들을 향해 거수경례를 하며 힘차게 "선배님, 시험 잘 보십시오"라고 외치기도 하였다. 열심히 응원을 한 탓인지 몇 명의 아이들의 이마 위로 하얀 김이 올라오고 있기도 하였다.
8시 10분. 교문을 닫기 위해 몇 명의 학교관계자가 교문을 향해 걸어왔다. 그리고 서서히 교문이 닫히자 수험생들을 격려하기 위해 나온 학부모, 학생, 선생님 모두가 교문 쪽으로 달려갔다. 그리고 아이들은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모교의 교가를 합창하기 시작하였다. 아이들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수능이 대학 결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아이들이 모교를 사랑하고 선후배간의 결속을 다지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8시 20분. 마침내 교문이 굳게 닫혔다. 못내 아쉬운 듯 몇 명의 학부모만 자식이 시험을 치르는 고사장을 향해 기도를 올리는 모습이 보였다. 그 모습을 뒤로 한 채 우리 아이들 모두가 시험을 잘 치르게 되길 간절히 기도하며 고사장을 빠져 나왔다. 그리고 저녁에 시험을 마치고 나오는 아이들 모두가 환하게 웃고 나올 것이라는 생각을 하니 입가에 미소가 지어졌다.
|
|
||||||||
승려들도 고사장을 찾아 수능 수험생들의 고득점을 기원했다. 경남 마산공고에 마련된 고사장 정문 입구에는 승려들이 신도들과 함께 나와 수험생들을 위한 기도를 올렸다. 이들은 "어느 절에서 나왔냐"는 물음에도 소속을 밝히지 않고, 23일 오전 6시 30분부터 수험생들의 입실이 완료된 오전 8시 10분까지 기도를 올렸다. 이들은 '입시생을 위한 마음 나누기-수험생 고득점 기원'이란 펼침막을 내걸었고, 3개씩 찹쌀떡이 든 봉지와 엿을 각각 1천개씩 가져와 수험생들에게 나눠 주었다. 한 승려는 "지난 1주일간 절에서 수험생을 위한 기도를 올렸는데, 한 수험생의 어머니가 얼마나 기도를 간절하게 하든지 모든 불자들이 감복했다"면서 "신도들이 십시일반으로 떡과 엿을 준비해 나왔다"고 말했다. 그 승려는 "올해부터 경남교육청에서 고사장 앞에서 지나친 응원전을 펼치지 않기로 했다는 사실을 알기에 기도와 함께 떡과 엿을 나눠주며 조용하게 진행했다"고 말했다. 일부 수험생들은 기도하는 승려 앞에 와서 인사를 하기도 했으며, 승려들은 격려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이날 고사장 입구에서는 '푸른우리 새물결 봉사단' 소속 학생들이 나와 떡과 엿을 나눠주기도 했다. 이 봉사단을 이끌고 있는 김재하 교사(창신고)는 "떡과 엿을 나눠주고, 더군다나 스님까지 나오셔서 기도를 하고 있어 수험생들에게 많은 힘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지역 고사장에서는 후배들의 응원전이 사라져 조용한 분위기 속에 수험생들이 입실하기도 했다.
|
'방과후 학교는' 사교육이 아닐까 (0) | 2005.12.03 |
---|---|
국정 교과서제, 이대로 괜찮습니까 (0) | 2005.12.02 |
2003년 사교육비 실태조사 결과 (0) | 2005.11.24 |
부모의 罪 정부의 罪 (0) | 2005.11.24 |
농어촌 작은학교, 통폐합 안 된다. (0) | 2005.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