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산 3.1 민속문화제

박종국교육이야기/함께하는교육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6. 2. 28. 00:04

본문

728x90

영산 3.1 민속문화제

 

 영산 3.1 민속문화제가 생겨난 배경

  

    영산 3.1 민속문화제는 진주에서 열리는 '개천예술제'(1949), 밀양의 '아랑제'(1957) 개최에 자극을 받아 영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민족문화운동이다. 1960년 4.19 학생운동으로 참다운 민주주의에 입각한 새 질서가 형성되고 경제부흥, 문예부흥의 기풍이 일어나 창작활동과 집회 결사의 자유가 요구되는 새로운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영산 사람들은 3.1 민속문화제를 창설하게 된다.

처음으로

 

 민속문화제의 정신

    사실 3.1 민속문화제는 「순수한 문화제로 탈바꿈하자」는 주장과 「3.1 정신의 바탕 위에 문화를 창달하자」는 의견이 맞서면서 성장해 왔다. 이것은 3월 1일이 계절적으로 문화제를 개최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또 3.1절  기념행사로 인해 우리 고장의 주요 민속놀이(영산 줄다리기, 영산 쇠머리대기 등)가 빛을 보지 못한다는 주장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하는 의견들은 결국 특색있는 민속문화제를 발전시키고, 지역의 자랑스런 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가운데, 문화발전이 지역발전임을 생각하여 3.1 문화제에 영산인의 자존심을 걸고 발전에 다함께 노력을 기울이자는 쪽으로 모아졌다.    

 

 민속문화제의 발전과정

 제1회 문화제(1961년)는 진주 개천예술제 개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설창수씨와 밀양 문화제 주도자 김도선씨의 조언과 도움을 받아 개최되었다. 제1회 문화제는 주로 문화예술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며, 2회 때부터 영산줄다리기, 씨름, 문호장굿이 등장하고, 제10회(1971) 때부터 5일간의 문화행사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3.1문화제의 중심행사인 쇠머리대기와 줄다리기가 국가 중요무형문화제 제25호와 제26호로 지정받아(1969년) 문화제는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화제 참여에 있어서 같은 창녕 군민이면서도 영산을 중심으로 한 창녕의 남부지방의 문화제로 인식하고 창녕읍을 비롯한 북쪽 7개 면에서는 참여율이 낮았다. 그래서 제27회 문화제 때부터는 부회장, 운영위원을 북부지역에서 선출하게 하고 쇠머리대기의 장군을 또한 북부에서 뽑게 함으로써 군민 모두가 참여하는 문화제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민속문화제의 주요행사

   영산 쇠머리대기, 영산 줄다리기, 문호장굿, 제등 축하 퍼레이드, 불꽃놀이, 봉화놀이, 민속 가장 행렬, 서낭대 싸움, 그네뛰기, 농악대회, 씨름 대회, 널뛰기, 연날리기 대회, 소싸움, 닭싸움, 각종 백일장 등

   

 

 

 

영남지역의 축제와 민속놀이

군.시

향토문화제

민속놀이

부산시

전국연날리기대회, 부산무대예술제, 부산민속예술경연대회, 항구제 동래고무,동래야류,동래학춤, 동래줄다리기,동래지신밟기, 부산달집태우기,부산아미농악,부산진야류,수영농청놀이,수영야류,좌수영어방놀이

거제

한산대첩기념제전, 남망예술제, 옥포대첩기념제, 충무시민의 날, 거제민속예술제 남해안별신굿, 통영사또행차놀이, 두레패와 이무기놀이, 승전무, 거제굴까로가세

거창

아림제, 아랑예술제 삼삼기노래

김해

가락문화재, 진영단감풍년재 삼정동걸립치기, 김해석전놀이

고성

고성광복예술제, 소가야문화재, 가야문화제 고성농요, 고성구지봉놀이,고성오광대놀이

남해

남해종합예술제, 남해군민의 날, 노량문화재, 메나리축제 선구고싸움

밀양

밀양아랑제, 밀양종합예술제, 종합 문화예술제경연대회, 밀양미리벌 민속예술잔치 밀양백중놀이, 밀양새터가을굿, 밀양아리랑, 밀양장치기

사천

사천문화제, 한려문화제, 사천군민 연날리기대회, 수양문화제, 삼천포문화재 마도갈방아요, 삼천포농악, 천룡제, 삼천포풍어제

산청

남명제, 지리산평화제 지리산산신제

의령

의령제전 큰줄다리기

의창

의창군향토민속경연대회, 삼진민속문화재, 창원시민의 날, 창원문창민속제, 경남민속예술경연대회, 경남예총제, 마산시민의 날 경축행사, 만날제, 마산문화제, 군항제, 진해문화예술제 삼진줄다리기, 신방목신굿, 문창제놀이, 마산농청놀이, 성신대제, 연도여자상여놀이

울주

울산예술제, 울산공업축제, 처용제 물당기기놀이, 울산쇠부리놀이, 울산불매노래

양산

삽량문화제 양산농악, 양산농요

진양

개천예술제, 지리산철쭉제, 의암주논개제 진주포구락무, 진주검무, 진주한량무, 진주농악

창녕

3.1민속문화제 영산쇠머리대기, 영산괭이말타기, 영산단오굿

통영

통영예술제 살치기노래, 통영풍어놀이, 통영검무

함안

아라문화제 칠북농악, 화천농악, 함안관등놀이

함양

천령문화제 산성놀이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