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한국작가회의/[문학회스냅]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6. 12. 17. 01:10

본문

728x90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텍스트만보기   김현(dasolsori) 기자   
밤새 눈발이 간간히 흩날리더니 날이 영하의 기온으로 떨어졌습니다. 거리에 나서면 사람들이 옷깃을 목까지 세우고 종종거리며 걸어갑니다. 밖에서 뛰어놀던 어린 꼬맹이들도 발갛게 달아오른 손등을 호호 비비며 이내 엄마 품으로 달려갑니다. 모두가 따스한 온기를 찾아 걸음을 재촉하고 마음을 재촉합니다.

추위가 우리 몸을 움츠리게 할수록 따스한 온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도심의 화려한 불빛 속 이면엔 냉방에서 오들오들 떨며 밤새우는 이들도 있습니다. 7남매를 둔 80대 노인이 냉방에서 자다가 목숨을 잃었다는 기사도 나옵니다. 돈이 죄겠지요.

그러나 우린 돈의 부족함보다 마음이 부족한 것은 아닌지요. 주변을 돌아보면 따스한 시선, 따스한 말 한 마디, 따스한 눈길과 손길을 기다리는 사람이 많음을 볼 수 있습니다. 올 일 년을 보내면서 우리는 그들에게 미소 한 방울이라도 주었는지요. 누군가에게 뜨거운 사랑을 준 적이 있는지요. 우리에게 그런 사랑을 일깨우게 하는 시가 하나 있습니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 안도현의 '너에게 묻는다' 전문


▲ 자신을 태우고 또다른 일을 기다리는 연탄
ⓒ 김현
어릴 때 우리 집은 연탄을 때지 않았습니다. 농촌 마을인 우리 동네는 모두 지푸라기로 불을 때 방구들을 덥혔습니다. 그래서 연탄을 본 적이 없었습니다. 내가 연탄이란 존재를 본 것은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입니다. 시골 촌놈이 지방의 도시로 유학을 간 후에 연탄이란 존재를 처음 보았습니다.

처음 하숙을 했는데 연탄방이었습니다. 어머닌 방을 얻어주면서 어디 가스가 새는지 안 새는지 꼼꼼히 주인아주머니에게 묻고 또 묻고 했습니다. 아들놈이 연탄가스에 중독되어 큰일이라도 당할까 봐서입니다. 그리고 일 년 후 부모 몰래 하숙을 그만두고 친구들과 자취를 하게 됐습니다. 그때부터 연탄과 나의 인연은 질기게 이어졌습니다.

친구들과 돌아가며 때에 맞춰 연탄을 갈아주어야 했습니다. 부주의하여 새벽에 탄이 꺼지면 냉방에서 자야 하는 낭패를 당했지요. 그때 연탄을 갈아주면서 가끔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연탄은 애인과 같다고. 조금만 소홀이 대하면 이내 떼를 쓰고 차갑게 변해버리는 애인. 그러나 늘 가까이 두고 사랑으로 대하면 뜨겁게 활활 타오르며 몸과 마음을 녹여주는 애인.

그런데 그 애인은 자신을 온전히 태우고 나서도 스스로 희생의 불을 태우는 것이었습니다. 눈이 내린 후 언덕배기 골목길에 연탄재를 잘게 부수어 뿌리면 사람들은 그 연탄재를 사뿐히 즈려밟고 골목길을 오고갔습니다. 그 골목길엔 어린아이도 있었고, 나이 드신 어른들도, 장년의 아줌마 아저씨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내 발길도 있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연탄 한 장은 그냥 연탄이 아닙니다. 동장군이 으르렁대는 한겨울 연탄 한 장은 몸과 마음을 녹여주는 천사와 같습니다. 시인은 우리에게 그 연탄과 같은 마음을 가진 적이 있느냐 묻고 있습니다. 그것도 한 번이라도 내가 아닌 타인을 위해 뜨거웠던 적이 있느냐고 묻습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우리는 이웃보다는 나만을 위해 살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온 몸을 떨고 있는 이웃의 추위보다는 내 손등이 시림을 더 아프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내 손의 장갑은 살 생각을 하지만 이웃에게 헌 옷이라도 깨끗하게 빨아 줄 생각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게 우리 현대인의 모습은 아닌지 싶습니다.

한 해의 끄트머리 달에 서 있습니다. 한 해를 갈무리하며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 먼저 연탄이 되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리고 겨울바람에 떨고 있는 나뭇잎 하나에도 눈길을 줘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추울수록 따뜻함이 그리워집니다. 그 따뜻함을 생각하며 조용히 되뇌어 읊어봅니다. ‘너는, 아니 나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던 적이 있었느냐고.’
2006-12-16 12:21
ⓒ 2006 OhmyNews

'한국작가회의 > [문학회스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년 최대의 거짓말  (0) 2006.12.2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손  (0) 2006.12.25
대안교육가 채규철씨 별세  (0) 2006.12.15
한국남자들의 설겆이 지수  (0) 2006.12.10
한국의 가정폭력  (0) 2006.12.0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