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견을 찾아서

박종국교육이야기/논술강의원고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9. 4. 30. 14:19

본문

728x90

□ 방과후논술아카데미 □


강의 주제 : 의견을 찾아서

2009년 4월 30일

강의 : 박 종 국


♣ 들어가는 이야기


☞ 눈을 감고 오늘 하루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바를 떠올려 보세요.

☞ 무엇이 가장 인상 깊었나요?

☞ 3분 스피치(나의 이야깃거리 발표하기)


♣ 읽어보고 토의하기


※ 다음을 읽어보고 자기 생각을 밝혀 봅시다.


[읽을거리-하나]

                          자연 보호


                        내가 이학년 때

                        산에 가서 친구들과

                        놀기를 하였다.

                        산에 가니

                        큰 아카시아나무에

                        자연보호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그 나무에는

                        못이 박혀 있었다.


                        <5학년 염명수>


ꋎ 글쓴이의 생각은 무엇일까요? 글쓴이의 생각을 알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ꋏ 읽은 시처럼 일을 하는 방법이 잘못된 경우를 찾아보세요.




[읽을거리-둘]

아파하는 한글


저는 얼마 전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 인터넷 채팅 프로그램에 접속한 적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친구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는데 평소에 접하지 못한 ‘하이루’, ‘하이’, ‘방가방가’ 등과 같은 말들이 자주 사용되고 어떤 친구의 글은 이상한 기호를 써서 알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세종대왕께서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글이 없어 중국의 한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슴 아파 많은 학자들과 밤을 새우며 우리에게 아름다운 한글을 만들었습니다. ‘세종대왕께서 만약 이 사실을 아신다면 얼마나 화가 나고 실망하실까’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인터넷은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면 앞으로 우리 친구들이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채팅을 할 때 한글의 고마움을 생각한다면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서 앞으로 인터넷을 할 때 이렇게 하려고 합니다.

첫째, 채팅을 할 때는 존댓말을 사용하고, 상대방을 존중한다.

둘째,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에는 바른말 고운 말을 사용한다.

셋째, ID를 만들 때 가능하면 순우리말을 이용하여 만든다.

넷째, 인터넷을 사용할 때 친구들에게 용어를 바르게 쓰도록 자주 이야기한다.

이렇게 하면 인터넷에서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는 어린이가 많이 생기게 되어 더 이상 우리 한글이 아파하지 않게 되겠지요?

                                                                <5학년 김선후>


ꋎ 글쓴이의 주장은 무엇인가요?



ꋏ 글쓴이는 어떤 내용으로 주장을 뒷받침하였나요?



ꋐ 인터넷 언어 사용에 대한 나의 경험을 말하여 봅시다.



ꋑ 인터넷 언어 사용에 대한 내 생각을 말하여 봅시다.



♣ 나의 생각 정리하기


                                                 

◉ 자료 출처 : 뿌리깊은 독서논술

 

 

 

'박종국교육이야기 > 논술강의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아는 것에 관해 글쓰기  (0) 2009.05.14
아름다운 우리말  (0) 2009.05.11
한 문장으로 줄이기   (0) 2009.02.23
마음의 지도그리기   (0) 2009.02.23
원고지 교정부호 쓰기  (0) 2009.02.23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