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재보선의 경기도 안산 상록을 선거가 야권 단일후보 여부를 놓고 민주당과 야3당간의 신경전이 이어지며 '치킨게임'으로 비화하고 있다.
여기에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전략공천 여부를 놓고 지역예비후보들이 벌써부터 반발하고 나선데 이어 한나라당도 야당의 추이를 살피며 공천 시기를 늦춰 결과를 예단하기 힘든 혼전 양상이다.
현재 유력 후보 가운데 공천이 확정된 것은 민주노동당과 창조한국당, 진보신당 등 야3당 공동후보인 임종인 전 열린우리당 의원 1명뿐이다.
민노당 강기갑 대표와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 등은 14일 임 전 의원에 대한 지지 선언에서 "10월 재보선은 야권 대연합이 어떤 내용을 가져야 하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선거"라며 "기득권을 고집하고 양보하지 않는다면 대연합을 이뤄낼 수 없다"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야3당은 안산 선거에서 민주당이 야3당 공동후보에게 대승적으로 양보한다면 경기 수원이나 경남 양산 등 다른 3곳의 선거에서 연대할 수 있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그러나 아직까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전략공천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상황.
민주당은 앞서 임 전 의원 측의 지지 요구에 대해 민주당에 복당한 뒤 당내 경선 절차를 거치면 될 일이란 입장을 밝혔지만 임 전 의원은 이를 거부했다.
민주당은 임 전 의원의 출마로 야권 표가 분산돼 한나라당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을 가능성을 경계하면서도 현재의 지역예비후보로도 승산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난해 총선과는 달리 이번 재보선의 경우는 정권에 대한 심판 성격이 크기 때문에 사표 방지 심리가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안산이 수원과 함께 이번 재보선의 승패를 건 요충지임을 감안, 만약의 가능성에도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투입 여부를 저울질 하고 있다.
민주당은 김 전 의장이 출마할 경우 중량감이나 선명성 등에서 임 전 의원을 압도해 야권 표 분산을 막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김 전 의장의 경우도 다른 지역예비후보들에 비해 결정적 경쟁력을 갖는다고 보기는 힘든데다 지역내 '낙하산 거부심리'도 만만치 않은 게 문제다.
이런 가운데 김영환, 김재목 등 지역예비후보들은 전략공천이란 미명하에 낙하산 공천이 이뤄질 경우 중앙당과의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하고 있어 이래저래 고민인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한나라당도 이날 공천심사 잠정 결과를 통해 안산 지역의 경우는 야당의 상황을 지켜본 뒤 잠정 결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