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렁한 <하땅사>, 독한 설정이면 웃기나? | |||||||||||||
[하재근 칼럼] 사회의 단면, 인간의 단면을 통렬하게 묘사하는 프로돼야 | |||||||||||||
MBC의 새 개그프로그램 <하땅사>가 드디어 공개됐다. <개그야>가 참담하게 종영된 이후 비장한 각오로 웃겨주겠다고 해서 관심을 모았던 프로그램이다.
시청자가 각각의 코너에 몰입해야 웃음의 조건이 형성된다. 그런데 코너 사이사이에 스튜디오 대결이 끼어들면 몰입이 끊기게 된다. 두 팀이 자기들 것이 더 웃기다며 코너를 소개하는 것도 문제다. 이러면 보는 사람이 심사위원의 자세가 된다. 몰입이 아니라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평가는 웃음의 적이다. 단판에 결정되는 대결의 구조상 각 코너들이 재치와 자극성 위주로 짜일 가능성이 높은 것도 문제다. 긴 호흡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나올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이다. 아무리 웃긴 사람이라도 재치와 자극성만으로 계속 웃길 수는 없다. 하나의 이야기가 형성되고 그 속에서 캐릭터들이 살아나야 매순간 터지는 웃음이 없이도 몰입이 이어질 수 있다. 짧게 짧게 끊어가는 대결 버라이어티 구도로는 이야기 형성이 힘들다.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는 새로운 시도라며 내레이션을 선보였었다. 그 시도는 처절한 실패로 끝났다. 중간중간에 끼어드는 내레이션이 이야기에 대한 몰입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일요일일요일밤에>의 <대망>도 PD가 직접 끼어들었다가 실패했었다. 역시 몰입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하땅사>의 구도도 이런 식으로 몰입을 방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MBC는 그동안 일요일 예능 재앙을 겪으며 새로운 코너를 계속 선보여 왔다. 대체로 이 코너들에선 대규모라는 것과 독하다는 특징이 나타났었다. 유명 MC들이 대거 투입돼 그야말로 ‘개고생’하는 버라이어티라든가, 처음부터 끝까지 달려대는 <노다지>같은 것을 계속 기획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유명 연예인들이 단체로 나와 극단적인 무언가를 한다고 해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건 아니다. 규모를 키우고 설정을 극단화하는 데에만 매달리는 건 너무 안일하다. 이번에 <하땅사>도 그렇다. 아주 많은 개그맨들을 등장시키고 현장에서 폐지코너를 선정한다는 독한 설정을 승부수로 띄웠지만, 그런 것들은 웃기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거나 심지어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오히려 방해될 가능성까지 있다. 다시 강조하건대 중요한 것은 본질이다. <하땅사>의 경우는 개그 코미디 프로그램이므로 개그 코너가 살아야 한다. 외형적인 설정은 그 다음 문제일 뿐이다. <개그야>가 망한 건 공개코미디라는 설정 때문이 아니었다. 공개코미디라는 설정 자체가 문제라면 <개그콘서트>는 왜 승승장구한다는 말인가? 그러므로 MBC가 지금 고민해야 할 것은 설정이 아니다. <개그야>는 개그 코너의 빈약함 때문에 망했다. <개그콘서트>와 확연히 대비되는 엉성함이었다. 따라서 <하땅사>가 살기 위해선 코너 자체에 집중해야 한다. 대결 구도라든가, 버라이어티적 설정, 현장에서 폐지코너를 결정하는 것 등으론 <하땅사>를 살릴 수 없다. <개그콘서트>는 우리 사회, 우리 삶에서 웃음을 길어 올린다. ‘분장실의 강선생님’도 그렇고, ‘소비자 고발’이라든가 요즘 ‘남보원’도 그렇다. 모두에게 ‘아 맞아 정말 그래’라는 공감을 느끼게 하면서 통렬한 웃음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반면에 <개그야>는 재치나 패러디에만 기댔다가 실패했다. 모습을 드러낸 <하땅사>도 재치 경연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설정만 바뀌었지 코너 자체는 <개그야>와 크게 다를 것이 없는 셈이다. 지금처럼 스튜디오 재치 경연장으로만 이어진다면 <하땅사>의 미래는 어둡다. 보는 이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코너를 짜는 것에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 사회의 단면, 인간의 단면을 통렬하게 묘사하는 코너들만 나온다면, 설정이야 어떻든 <하땅사>는 살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설정을 아무리 바꿔도 불길할 뿐이다. | |||||||||||||
| |||||||||||||
기사입력: 2009/10/12 [17:34] 최종편집: ⓒ 대자보 |
시민사회, '정치참여' 선언 (0) | 2009.10.15 |
---|---|
나경원 "김제동 좌파발언" 논란 (0) | 2009.10.14 |
4대강 광고, 정부는 되고 환경단체는 안 되나?" (0) | 2009.10.12 |
돈많이 뿌리는 신문에 정부광고 더 준다 (0) | 2009.10.11 |
MB정부, 상생의 ‘쌀 대란’ 해결책 찾아야 (0) | 2009.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