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의 윗사람 된 자는 그 한 번 움직이고 한 번 정지하며 한 마디 말하고 한 번 침묵하는 것을 아랫사람이 모두 살피어 의심쩍게 탐색하는 법이니, 방에서 문으로, 문에서 고을로, 고을로부터는 사방으로 새어나가서 온 나라에 다 퍼지게 된다. 군자는 집안에 거처할 때에도 응당 말을 삼가야 하거늘, 하물며 벼슬살이할 때이랴.”(爲民上者, 一動一靜一語一, 在下者, 皆伺察猜摸, 由房而門, 由門而邑, 由邑而達於四境 布於一路. 君子居家, 尙當愼言, 況居官乎.)”
우리는 심심풀이로 연못에 조약돌을 던지지만 그 돌이 내일 결혼식을 올릴 “신랑 개구리의 소중한 고추를 정통으로 맞춰 성불구자로 만들 수도 있으며, 신부 개구리의 눈을 멀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무심코 던진 조약돌만 그런 것이 아니라 내가 한 말 한 마디가 남의 가슴에 대못을 박을 수도 있고 혀 때문에 자신이 죽을 수도 있는 만큼, 좁은 입으로 말하고 넓은 치맛자락으로 못 막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죽하면 옛 어른들이 입을 지키기를 병과 같이 하라(守口如甁)고 가르쳤겠는가?
사람은 혀 때문에 죽는다. 칼에 찔린 상처는 쉽게 나아도 말(言)에 찔린 상처는 낫기가 어렵다. “좁은 입으로 말하고 넓은 치맛자락으로 못 막는다”, “곰은 쓸개 때문에 죽고 사람은 혀 때문에 죽는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말이 많은 세상이다. 갑론을박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장삼이사(張三李四)와 필부필부(匹夫匹婦)도 언행을 신중히 한다. 하물며 높은 벼슬에 있는 분들의 현란한 언어의 유희가 춤을 추어 국민들을 짜쯩나게 해서는 안 된다.
다산은 『목민심서』에서, 백성들은 고위층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언젠가는 모두 알게 된다고 했다. 비밀이 존재하지 않는 만큼 언감생심 속일 생각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궤변이나 유치한 언어의 유희로 순박한 국민들을 속여서는 안 된다.
높은 분들의 언행은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어야지 상처를 줘서는 안 된다. 지도층은 일언일동을 신중히 하라는 다산의 가르침이 오늘따라 가슴에 와 닿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