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독서광 빌 게이츠

박종국에세이/독서칼럼모음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14. 9. 26. 16:43

본문

728x90

박종국삶글 2014-256편

 

 

독서광 빌 게이츠

 

 

박 종 국

 

 

 

한 주일에 걸쳐 얼마나 책을 읽으십니까? 짬나는 데 따라 다 다르겠지만 채 한두 권의 책을 읽기에도 버거울 겁니다. 출판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기준으로 월평균 0.8권을 읽는다고 합니다. 이는 거의 책을 읽지 않는다는 증거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 달에 문화비로 지출하는 비용도 너무나 밋밋하다고 합니다.

 

 

또 미국의 다국적 여론조사기관(NOP 월드)이 각국 인쇄매체 접촉시간을 조사 발표해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조사국가 30개국 중 한국은 꼴찌였답니다. 물론 이 조사는 '독서량'이 아닌 '인쇄매체 접촉시간'을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인터넷이나 영상 환경이 발달한 선진국일수록 낮게 나타난다는 한계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한국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화두가 아닙니다. 이는 OECD(경제 협력 개발 기구) 국가별 통계와도 그리 큰 편차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독서 현실은 갈수록 암울합니다. 근래 지하철이나 카페에서 책 보는 사람 찾아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그 대신에 휴대폰을 만지작거리는 사람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은 거의 이어폰을 끼고 있습니다. 이렇듯 외국 명문대학에 진학한 한국 학생들은 좋은 입학성적에도 불구하고 창의성이 부족해 시간이 지날수록 공부하는 데 애를 먹는다고 합니다. 독서를 통한 사고습관과 읽고 쓰기가 바탕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학교에서 만나는 아이들에게 애달아가며 책 읽기를 권장합니다. 하지만 귀담아듣고 책을 열심히 읽는 아이들을 만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평소 책 읽는 습관이 들여지지 않은 까닭입니다. 가끔 아이들 상담으로 학부모를 만나면 자녀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고 볼멘소리가 높습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모습은 나이와 상관없듯이 책을 읽는 것도 나이를 상관할 바가 아닙니다. 오히려 배움의 위치에 있는 학생들보다 어른들이 먼저 책을 가까이 해야 됩니다. 매일처럼 컴퓨터 인터넷 오락에만 매달린다고 목청 돋궈가며 다그칠 것이 아니라 책을 읽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성인이 되어서는 한 권의 책을 읽지 않습니다. 대신에 대중매체를 통해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습니다.

 

 

 

세계가 지식정보화 시대로 이행할수록 독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세상은 언제나 책 읽는 사람들이 움직여왔습니다. 책을 읽는 일이 당장에 이익 되는 게 없다고 책 읽기를 게을리 하는 나라에는 미래가 없습니다. 남의 지식을 읽고 이해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입니다. 어떤 이유로든 책과 만난다는 사실은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책은 지금 당장 눈앞에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신호를 우리에게 항상 보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책 읽는 자만이 승리한다는 진리는 언제나 유효합니다.

 

 

 

'인터넷 제국 건설자' 빌 게이츠는 독서광입니다. 컴퓨터 황제인 그는 공식석상에서 "컴퓨터가 책을 대체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그는 바쁜 일과 중에도 매일 한 시간씩. 주말에는 두세 시간씩 책을 읽고, 출장 갈 때는 꼭 책을 챙긴다고 합니다. 97년 게이츠도서관재단을 설립했고, 연방정부 외에 단일 기부자로는 최고액인 2000만 달러를 도서관에 기부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모든 도서관마다 특별한 분위기를 가지고, 책 읽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고상한 분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기부문화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