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부모 되기
박종국에시이칼럼니스트
아이는 하교해서 집에 도착하자마자 게임을 하려든다. 그러면 엄마는 가만 두지 못한다. 공부와 담을 쌓는다는 생각에 부아가 치민다. 그러다가 속이 부글부글 끓어올라 해서는 안 될 말을 내뱉는다. 어깨 너머로 그 말을 듣는 아이의 마음은 어떨까?
“너 지금 게임할 때야!”
“넌 왜 그렇게 엄마 속을 썩이니?”
“네 하는 짓을 보니까 내가 못살겠어!”
어른만 스트레스를 받는 게 아니다. 아이도 고통이 많다. 그런데도 아이의 마음을 읽지 못한다. 아이가 집에서 받는 가장 큰 고통은 무얼까? 자기를 이해하지 못하고, 부모의 입장에서만 이래라 저래라는 다그침이란다. 날마다 거듭되는 엄마의 잔소리가 싫단다. 아이도 엄마의 잔소리가 관심임을 안다. 그렇지만 되풀이되는 잔소리는 싫다고 했다.
즐거우면 자신감이 높아진다. 아이가 공부 잘 하기 바란다면 우선 행복하다고 느끼도록 해주어야 한다. 지독하게 사랑해 본 사람은 안다, 사랑에 빠지면 얼굴빛이 달라지고 웃음이 헤퍼진다는 사실을. 그런데도 오직 내 방식 대로 아이를 키우겠다고 고집한다면 그는 진정한 사랑을 못해 본 사람이다.
어디 공부가 마음대로 되는가. 그렇잖아도 공부를 해야 한다는 중압감에 짓눌린 아이, 부모마저 공부 하나에 매달린다면 불행이다. 부모는 아이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여유를 갖고 기다려줄 줄 알아야한다. 부모가 욕심을 조금 줄이면 공부에 지친 아이의 얼굴이 달라진다. 그게 아이를 더 크게 키우는 사랑법이다. 그렇다고 모두를 다 품어줄 필요는 없다. 아이가 조그만 일 하나를 스스로 해낼 때 칭찬하고, 지지하면 된다. 그게 최상의 부추김이다. 논밭의 알곡도 부지런한 농부의 발자국 소리를 들으며 여문다.
먼저, 어떠한 상황이 연출되더라도 아이의 존재를 믿어주고, 실수하면 위로해준다는 확신좌표를 가져야한다. 단지 아이가 몰라서 그렇게 하는 게 아니라, 아직 잘하지 못할 뿐이라고 격려해주어야 한다. 부모가 무조건 신뢰하고, 느긋하게 기다려줄 때 아이는 자신감을 갖는다.
다음으로, 아이가 어떤 잘못을 해도 화를 내지 않아야 한다. 때론 아이가 하는 짓을 보면 머리끄덩이가 곤두선다. 그래도 부모라면 참아야 한다. 부모가 화를 내면 꾸짖는 내용보다 화를 퍼붓던 상황만 기억에 남아 오히려 아이는 분노를 배우게 된다. 맞고 자란 아이는 폭력성을 잠재한다. 감정을 조절하기 어렵다면 그때는 아이한테 아무 말도 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도 한 마디 해야겠다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난 뒤 스스로 감정을 조절될 때 말해야 한다.
좋은 부모는 거저 만들어지지 않는다. 부단한 자기수양이 필요하다. 그냥 입에 발린 소리로는 아름다운 사랑의 하모니가 일어나지 않는다. 사랑은 변함없는 관심이다. 부모로서 그런 열정을 가졌다면 아이가 지치지 않도록 따뜻하게 품어주어야한다. 특별하게 격려할 일이 없다면 애써 만들어서라도 칭찬해야 한다. 그것은 바로 아이의 무한한 잠재력을 발휘하는 힘으로 나타난다. 아이는 부모가 관심을 쏟은 만큼 자란다.
아이에게 칭찬은 아무리 베풀어도 지나치지 않다. 칭찬은 아이의 성장에 필요한 최고의 보약이다.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면 아이는 자신감도 부족해진다. 칭찬할 때는 아이가 잘한 부분을 찾아내 구체적으로 해야 한다. 칭찬 받은 아이는 더 좋은 강점을 갖는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아이와 터놓고 이야기 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사안에 따른 적절한 소통은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른다. 뿐만 아니라 부모와 더 이상의 불협화음을 만들지 않는다. 그래서 이 때만큼은 아이가 엉뚱한 얘기를 해도 화내거나 윽박지르지 않고 들어주어야한다.
가족 대화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에티켓은 아버지의 말을 어머니가 전하거나, 아이의 말을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전하지 말고 직접 이야기하도록 해야 한다. 그게 아이에게 전폭적인 신뢰를 보이는 표식이고, 아이의 자존감을 드높이는 잣대다. 아이의 행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아이와 함께 놀아주고, 일방통행으로 아이에게 언제 무엇을 하자고 지시하지 않아야 한다.
또 하나, 아이가 부모와 함께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정해야 한다. 어떤 일이든 세 번 이상 같은 말을 되풀이 한다면 그것은 잔소리다. 일주일 중 하루를 정해서 '오늘은 잔소리 하지 않는 날'이라고 아이와 약속해도 좋다. 어떤 경우라도 잔소리를 하지 않을 테니 네가 잘 하는지 보여 달라고. 알아서 할 때까지 기다려주기도 자존감을 가진 아이로 자라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좋은 부모는 아이의 성장을 지켜보고, 은근하게 기다려줄 줄 안다. 아이가 부모의 대리만족 대상이 아니라면 더욱더.
|박종국에세이칼럼2017-176편
슬기로운 부모 (0) | 2017.03.30 |
---|---|
마음그릇 부시기 (0) | 2017.03.30 |
세상이 얼마나 달라질까 (0) | 2017.03.28 |
부모만큼 자식의 소질을 잘 아는 사람은 없다 (0) | 2017.03.23 |
신선한 희망을 주는 대통령을 원한다 (0) | 201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