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행복하고 싶다
박 종 국
나는 계절 탓하지 않고 산에 오른다. 그렇다고 뭐 특별한 산행 비법을 가지지 않았다. 그저 산길에서 만나는 풀꽃나무들, 자연 그대로의 반김이 좋다. 자연은 늘 그 자리를 지키면서 조화를 이루기에 아름답다. 그런데 우리의 삶은 어떤가. 제자리를 지키키기는커녕 분수 밖의 욕심을 부린다. 그 탓에 단 하루도 편할 날이 없다. 온통 바쁘고 소란스럽다.
우리가 행복해지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는 이유는 뭘까? 그만큼 현재 삶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괜히 마음이 조급해진다. 뿐만 아니라 날마다 쏟아져 나오는 각종 비리를 접하다 보면 상대적 박탈감 마저 든다. 이 땅의 갑질 부패한 집단은 국민이 피땀 흘려 바친 세금으로 살면서도 그 고마움을 모른다. 그뿐만이 아니다. 알게 모르게 부정부패를 저지르고, 각종 비리에도 전혀 책임을 지지 않는다. 때문에 죄 없는 국민은 단지 먹고 사는 일에 매달려 정신을 빼앗겨 행복할 겨를이 없다.
세상이 흙탕구덩이라도 우리가 행복하게 살 조건은 무수히 많다. 하기에 부정부패의 온상인 정치권을 탓할 까닭이 없다. 정녕 내가 행복해지고 싶다면 우선, 어떻게 사는 게 내 몫의 삶인지를 바르게 챙기고, 지금, 여기에 만족해야한다. 행복은 나 아닌 밖에서 오는 게 아니라 내 마음에서 비롯된다.
행복의 비결은 딴 게 아니다. 그것은 소소하게 작은 일에서 묻어난다. 더불어 일을 완벽하게 끝내려 하지 말고, 말을 끝까지 다하지 말며, 복을 끝까지 누리려고 아득바득 애쓰지 않아야 한다. 살아야 할 이유를 알고, 사랑해야할 의미를 알아야 한다.
한데도 지금 이 시간에도 일터를 잃고 실의에 빠져 거리를 헤매는 실업자가 수백만 명이다. 집을 나와 한뎃잠을 자는 노숙자 또한 적지 않다. 그들이 이 늦더위 폭염 탄식을 어떻게 견뎌낼 지 암담하고 우울하다.
무엇 때문에 사는지. 어떻게 사는 게 사람다운 삶인지. 이 시대의 어려움을 함께 이겨낼 방법은 없을까. 어둠 속에서도 새날을 밝히는 빛은 찬란히 떠온다. 어떤 최악의 상황이라 할지라도 우리의 삶에서 살아야할 의미가 또렷해야 한다. 따뜻한 인정과 맑은 눈빛이 그것이다. 그게 우리 삶의 가치 척도다.
더위 먹은 얘기같지만 아직도 이 나라 대통령 중에서 국민으로부터 전적으로 신뢰와 존경을 받은 이가 없다는 데 스스로 불행해진다. 그만큼 을로 살아가는 이 나라 국민은 재미가 없다. 생각하면 스스로 행복하고 싶다는 소박한 생각이 뜬구름 같다.
행복해지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
무엇을 위해 사람냄새를 포기하는가 (0) | 2017.08.31 |
---|---|
방학을 마무리 지으며 (0) | 2017.08.31 |
세상을 깨끗하게 하는 힘/박종국 (0) | 2017.08.29 |
읍내 풍경/박종국 (0) | 2017.08.28 |
함부로 귀농 생각 말게 (0) | 2017.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