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일 꽃 멀미다

박종국에세이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18. 4. 2. 14:00

본문

728x90






연일 꽃 멀미다

 

박 종 국

 

연이틀 꽃 멀미를 했다. 어딜 가든 봄꽃 흐드러지게 폈다. 겨우내 똬리 텄던 한파, 꽃샘추위더러 자리 넘기는가했는데, 뜨악한 집지킴이 마냥 쉬 발품 팔지 않았다.

그랬었는데 요 며칠 새 날씨가 돌변했다. 겨우 꽃눈을 배꼼 드러냈던 벚꽃, 밤새 일제히 꽃 문을 열어 동네방네 꽃 대궐을 만들어놓았다. 이즈음의 꽃들 향기는 강하니 않으나, 따스한 햇살과 부시는 그 자태는 가히 뭇 사람들로 하여금 탄성을 음유하기에 충분했다.

그 동안 바깥출입이 뜸했던 행자 녀석도 몸이 달았다. 발름발름 코끝으로 전해지는 꽃향기에 겨웠던 탓이다. 해서 때늦은 아침 겸 점심을 한술 뜨고, 종잡아 내달았다. 창원교육단지 벚꽃터널, 오후에는 부곡온천 벚꽃 길을 찾았다. 두 곳 다 예년처럼 여린 가지가 힘겨울 정도로 한가득 꽃을 매달았다. 이를 두고 요즘 젊은이들은 팝콘구경 간다고 한단다.

어쨌거나 상춘대열에 한몫했다. 스마트폰이 연방 터졌다. 간혹 커다란 사진기를 연신 눌러대는 전문가들도 보였다. 하지만 왠지 낯설어 보였다. 첨단디지털시대에 덜떨어진 아날로그세대라고 할까? 암튼 봄 마중에도 첨단정보통신기기가 발 빠르다.

일요일 오후에는 밀양초등 꽃새미마을을 찾았다. 여려 봄꽃들로 한 폭의 그림처럼 애애했을 거라는 기대로 찾았지만, 실상은 목련 한 나무로 허탈했다. 게다가 비싼 입장료까지 지불하고, 몇몇 관상식물을 관찰하는 게 고작이었다. 애초 이름값을 하려니 생각했던 게 잘못이었다.

굳이 봄의 완상은 돈을 들지 않아도 좋다. 거저 발품만 팔아도 풀꽃 잔치가 한창인데, 애서 돈 들여가며 좇아갈 까닭이 없다. 세찬 바람이 들이치는 언덕배기는 이제야 노란 개나리 꽃 사태를 맞았다. 남녘 같은 지역에 위치해도 안팎이 너무나 다르다. 이처럼 우리네 삶도 같은 궤를 하지 않을까.

서울에서 공부하는 딸내미, 언제쯤 그곳까지 봄의 화신이 닿을까 문자메시지 넣었다. 봄의 전령은 하루에도 2,30킬로미터는 족히 내달려간다고 했다. 야반도주하듯 칠십 리 길을.

 

-박종국또바기글

 








'박종국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비 단상  (0) 2018.04.04
동네 목욕탕  (0) 2018.04.03
겸양지덕  (0) 2018.04.02
어느 수인의 일상 보고  (0) 2018.04.02
동네구멍가게  (0) 2018.04.0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