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또 하나의 일제잔재

박종국에세이/단소리쓴소리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19. 4. 29. 13:02

본문

728x90






또 하나의 일제잔재


“고참이 혼자 남아 야근하면서 노가다 뛰는데 넌 퇴근하냐? 야식으로 오뎅이라도 사와.”

“이 옷 땡땡이무늬 하고 줄무늬 중에 뭘 사야 할지 정말 모르겠어. 뭐가 좋을지 애매하네.”

“이걸 지금 시말서라고 쓴 거야? 뻔한 변명이 이제는 식상하다.”

“모처럼 망년회에 참가하는 데 이게 뭐야. 그리고 음식이 싱거워. 다데기 좀 줘봐.”

위의 말 중에서 아직도 청산하지 못한 일본어의 잔재가 9개나 됩니다.

찾아보세요. 다 찾으셨나요? 두세 개는 눈에 확 보이지만, 잘 모르는 게 더 많을 겁니다.
왜냐? 이미 우리의 언어생활에 워낙 깊게 파고들어었기 때문입니다.

고참 -> 선임
노가다 -> 노동
오뎅 -> 어묵
땡땡이무늬 -> 물방울무늬
애매하다 -> 모호하다
시말서 -> 경위서
식상하다 -> 싫증 나다 

망년회 -> 송년회
다대기 -> 다진 양념


말은 사용할수록 생명력을 얻습니다.
그런 저 저급한 일본어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는 뭘까요? 그것은 우리가 그 말들을 평소에 자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올해로 광복 74주년, 3.1운동 100주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남은 일본의 잔재들을 청산해야 하는 숙제가 남았습니다.


  






'박종국에세이 > 단소리쓴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항공사 화물 수송 규정  (0) 2019.05.29
나쁜 여자가 성공한다  (0) 2019.05.02
친구  (0) 2019.04.29
아들아, 이런 여자를 만나거라  (0) 2019.04.01
인생 레시피  (0) 2019.03.2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