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평을 넓히는 방학
박종국
방학이다. 아이에게 삶의 지평을 넓힐 기회가 주어졌다. 방학은 학교생활에 풀려나 다양한 일을 겪어보는 소중한 시간이다. 그런데 아이들은 방학이면 바쁘다. 학원과외로 한층 더 바쁘다.
남지늘 자그만 소읍인데도 하교때면 학원차량으로 분빈다. 보충수업을 하는 중․고등학생 못지않다. 학교공부를 믿지 못한다는 듯이 여느 아이나 학원 가방을 맨다. 골목에 아이들 목소리가 사라졌다.
아이는 잘 놀아야 잘 큰다. 그런데도 부모는 공부를 잘해야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더 나은 직장을 얻고, 편하게 산다는 생각이 먼저다. 교육의 근본 목적이 바람직한 인간상 구현인데, 과열교육에 몸서리쳤던 부모세대조차 암울한 우리 교육의 병폐를 뜯어 고칠 생각은 하지 않는다.
이번 방학에 우리 학교는 의례적인 방학과제를 내지 않았다. 다만, 책 읽고, 동시 한 편 외우는데 만족한다. 욕심같아서는 캠프활동에 참여하고, 여행을 하며, 친척을 방문하고, 문화유적을 답사했으면 했다. 여름 들판에 지천으로 어우러진 풀꽃, 온 산 가득 싱그러운 이파리를 단 나무 이름을 가려보아도 좋다. 가마솥 불볕더위라도 자연과 친화 교감하는 일만큼 아이의 심성을 도야시키고, 바른 그릇이 되게 하는 깨우침은 또 없다. 그러나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여의치 않아 마다했다.
방학 중 아이가 학원과외로 감당해야하는 공부는 새 학기를 준비하는 선수선행학습이어서 문제다. 방학 동안 새 학기 학습을 준비하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학습상황에서 크게 도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수박 겉핥기식으로 배움이 전체 학습을 그르친다. 그런 아이의 경우, 실제 학습에서 자칫 주의가 산만하거나 학습활동을 등한시하는 한다.
어쨌거나 아이는 잘 놀아야 잘 크고, 생각도 많아진다. 애써 문제 하나 더 풀기보다 자유롭게 풀려나서 제 생각을 밝히는 힘을 기르는 게 낫다. 적어도 이번 방학만큼은 아이가 제 하고 싶은 일 실컷 하도록 배려했으면 좋겠다. 동화책을 가까이하고, 개별체험활동을 권장한다. 홈스테이, 자연생태체험, 도시농산어촌체험, 우리의 전통문화나 악기연주도 좋다.
아이의 올바른 성장의 바탕은 그 존재를 인정하고, 칭찬과 격려, 이해와 배려가 가득한 사랑이다. 더불어 똑같이 대하기보다 다 다른 걸 찾는 힘을 기르도록 해야한다. 그러자면 아이가 공부에만 묻어두어서는 안 된다. 아이 스스로 서는 힘을 키워주어야 한다. 아이가 제 하고픈 대로 풀어놓아야 한다.
그래서 이번 방학만큼은, 잘잘 끓는 가마솥 불볕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아이의 함성소리 당찼으면 좋겠다. 까맣게 그을린 아이의 건강한 얼굴을 만나고 싶다. 다 다른 생각을 가진 아이가 즐겁게 뛰노는 모습을 하늘 가득 그려본다. 아이는 들풀처럼 키워야한다.
하여 방학, 의례적인 생활보다 다 다른 생각으로 보냈으면 좋겠다.
|박종국에세이칼럼
왜 아이가 책을 읽지 않을까 (0) | 2022.08.03 |
---|---|
야심한 밤, 사진 두 장을 다시 챙겨봤습니다 (0) | 2022.07.26 |
동포초병설유치원 물놀이체험 (0) | 2022.07.22 |
참 행복한 일 하나 (0) | 2022.07.22 |
교육열망을 이뤄낼 사람은 교사다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