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국
사회가 발달하면서 물질이 풍요로워졌지만, 자기중심적이고, 인간성이 피폐해졌어요. 동물들, 특히 반려동물은 그 천성 그대로 순수해요. 그래서 요즘은 고슴도치나 달팽이, 라쿤, 우파루파, 기니피그, 왈라비, 장수풍뎅이, 앵무새, 뱀, 도마뱀, 열대어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요. 동물과 함께함으로써 잃어가는 인간본연의 성정을 되찾으려는 노력이에요. 그 대상이 반려동물이에요.
1983년 10월 27~2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이 동물 행동학자로 노벨상을 받은 K. 로렌츠의 80세 탄생일을 기념하여 열렸어요. 이 자리에서 개 ·고양이 ·새 등의 애완동물을 종래의 가치성을 재인식하여 ‘반려동물’로 부르도록 제안하였고, 승마용 말도 여기에 포함했어요.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반려동물은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이라는 뜻이에요.
반려동물을 키우면 건강에 좋다는 말이 사실일까요? 개를 기르는 사람의 경우 한 겨울에도 산책을 거르지 않아요. 반려견의 비만을 막으려면 운동을 시켜야하기 때문이에요. 행자는 토이푸들이라 체중이 4kg을 넘으면 안 된대요. 그래서 보호자가 먹이랑 운동에 무척 신경을 써요. 실제로 반려동물을 키우면 건강해져요. 왜냐하면 평소 운동하기 살은 사람도 반려견을 운동시키기 위해서 억지로라도 산책을 해야 하니까요.
미국 뉴욕주립대 연구진에 의하면,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인 증권사 직원에게 반려동물을 키우도록 했더니, 이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혈압이 상승하는 정도가 예전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고 나타났어요. 반려견을 기르면 ‘코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줄어든다고 해요. 그러니 그보다 좋은 친구가 또 없지요? 소아신경학 분야로 저명한 독일의 복타로이트 치료센터는 일명 '강아지 요법'으로 번개나 마취 사고 등으로 뇌 손상을 입은 아이를 대상으로 치료를 해요.
독일에서 환자 치료에 투입하는 동물로는, 돌고래와 말, 라마 등인데, 환자의 신경이나 심리상태에 따라 동물과 접촉할 때, 화학반응을 일으켜 혈액순환이 활발해지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도 줄어든다고 밝혀졌어요. 그런 점에서 보면 집안에서 행자가 감정순화에 충분한 완충역할을 하나봐요.
언어로 소통하는 인간과는 달리 반려동물은 교감으로 정분을 나눠요. 당장에 반려동물과 장난치며 몸을 부대끼면 치유 효과를 얻어요. 전국이 90%이상 도시화되어 아이가 자연 속에서 뛰놀 장소가 없어요. 또 아이가 흙장난을 하며 놀거나, 강아지와 함께 놀기보다 학원과외가 먼저예요. 그나마 자투리 시간에는 인터넷 게임에 빠져서 혼자 지내요. 그 결과, 감각차단결핍증, TV컴퓨터인터넷 중독증, 정서불안, 스트레스, 히스테리, 초조, 고립, 대인기피증, 쾌락추구 등 기존에 없던 다양한 정신질환이 늘었어요. 이는 시멘트로 뒤덮인 놀이 환경과 아파트 등 주거환경 때문이에요. 자연과 친화 교감하는 심력을 빼앗긴 나쁜 환경으로 그 피해는 심각해요.
행자 생각으로 지금의 물질의 풍요와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도 좋지만, 본연의 인간성 회복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 필연 중의 하나가 빈려동물과 함께 사는 거예요.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는 반려동물을 친구로 기르는 일이에요. 그러면 동물과 사람 모두 정다운 친구로서 사랑하며 행복한 삶이예요.
반려동물이 행복할 때는 친구와 어울릴 때에요. 행자도 산책 나가서 친구와 신나게 놀고 온 날은 편안하게 잠자요. 우리 아파트에는 친구가 많아요. 한울이, 베스, 똘똘이, 초롱이, 하늘이, 칸, 구피, 보리. 근데도 행자는 더 많은 친구를 만나고 싶어요. 왜냐하면 하루 종일 혼자 지내야 한 때가 많거든요.
그런데도 걱정은 아파트에 반려견이 많아지다 보니 이웃 간에 된소리가 나요. 특히 ‘층견소음’ 때문이에요. 특히 분리불안증이 심한 행자가 너무 예민해요. 조그만 소리에도 컹컹 짖어요. 그래서 반려동물로 인해서 이웃 간에 마찰이 심해요. 더군다나 사회성이 부족한 행자에게 반려동물 친구 맺기가 절실해요. 사람만 친구가 필요한 게 아녜요. 행자도 친구와 만나 안정적으로 지내고 싶어요.
박종국칼럼니스트
강아지 행자랑 산책했습니다 (0) | 2023.07.12 |
---|---|
강아지 행동 특성 (0) | 2023.06.27 |
강아지 편식 (0) | 2023.06.21 |
강아지도 꿈을 꿀까요 (0) | 2023.06.15 |
강아지 치아관리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