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디수첩’, 이젠 학계에 맡기라 | |
사설 | |
![]() |
|
<문화방송> ‘피디수첩’이 환자용 배아 줄기세포의 위조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제기한 근거는 두 가지였다. 첫째는 연구원들의 ‘중대 증언’이고, 둘째는 배양된 줄기세포와 환자의 디엔에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에 해당 연구원들은 어제 인터뷰를 통해 ‘증언이 조작됐다’고 반박했으며, 취재 당시 피디수첩에서 논문 취소 및 사법처리
가능성과 함께 신원보장 등의 협박과 회유로 억지답변을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줄기세포 진위 논란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이젠 충돌과 파국만 남은 형국이다. 윤리 위반 및 연구 조작 의혹에 이어 증언 조작, 공갈 협박 의혹까지 제기됐다. 그러니 한때 난치병 환자에게 희망의 진원지였던 이 나라를 이제 누가 신뢰할까. 국민에게 자부심을 줬던 연구원들에게선 이 나라를 떠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유력한 방송이 세계가 인정하는 과학자를 거짓말쟁이로, 연구 결과를 조작으로 몰아간다고 느끼니 무리한 일도 아니다.
이런 상황이 오기에 앞서 우리는 방송의 의혹 재생산식 보도 자제, 여론의 마녀사냥식 비난 자제, 제3자의 엄격하고 정중한 검증을 촉구했다. 그러나 피디수첩은 조작 의혹을 공론화하는 기자회견을 강행해 이런 신중함을 버렸다. 과학자들의 자존심, 검증의 보편적인 관행도 외면했다. 언론의 검증 요구에 일일이 응하는 것은 연구팀으로서나, 연구 결과를 검증한 뒤 게재하는 학술지로서나 받아들이기에 무리다. 섣불리 응할 경우 국제적인 학술지들은 한국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외면할 것이다.
게다가 피디수첩의 검증은 완벽하지 않았다.
실수도 드러나고 있다. 충돌을 피하기 위해선 피디수첩이 우선 냉정을 되찾아야 한다. 생명과학계가 인정하는 기관이 공인된 방법으로 재검증하도록
지원하고, 그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
----------------------------------------------------------------------------- 숲속 토끼 내쫓는 공원조성 웬말 | |
독자기자석 | |
![]() |
|
'줄기세포 검증' 차분히 지켜보자 (0) | 2005.12.10 |
---|---|
인권은 진실규명에 선행한다 (0) | 2005.12.06 |
짐승 혹은 짐승같은 사회 (0) | 2005.11.24 |
[사설] 청학동 자연휴양림 타당한가 (0) | 2005.11.20 |
식품안전 일원화, 또 밥그릇 싸움인가 (0) | 200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