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잇단 '문제 발언'…진짜 의도 무엇인가 | |||||||||||||||||||
최근 발언 세종시-4대강에 집중, 여론 잠재우기?…靑·여당은 '감싸기' 주력 | |||||||||||||||||||
세종시 수정과 4대강 사업 강행, 공공노조 탄압과 심지어 '권총 협박' 발언 까지. 최근 국정 주요 현안과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의 '입'에서 나온 발언들을 보면 '거짓말' 의혹과 법 위반 논란이 제기될 정도로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은 "언론에서는, 또 지방지에서는 지역 사람들이 좀 냉철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보다는 더 선정적으로, 감성적으로 보도하는 것을 보면서 걱정스럽게 생각했다. 과연 이것이 옳은 길인가, 이런 생각을 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발언은 세종시 수정에 따라 지역균형 발전이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두겠느냐는 장지태 <부산일보> 국장의 질의에 따른 것이며, 이 대통령은 이같은 말로 세종시 원안 수정에 대한 지역언론의 보도 태도에 노골적 불만을 드러냈다. 이는 '선정적', '감성적'이란 단어선택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으며, 이 대통령은 나아가 "(세종시 문제에 대해) 냉철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국가백년대계와 관련된 것은 감성적으로 대해서는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명목상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지역언론과의 자리를 가졌을 뿐, 정부의 강행방침을 '전달'하기 위함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8일 브리핑에서 "(간담회에서) 흘러나온 얘기를 종합해보면 세종시 문제에 대한 비판적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언론의 입을 틀어막고, 정치권 내부를 단속하는 데 주력하는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세종시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여론을 전달하는 언론보도가 선정적이라고 낙인을 찍고, 내부에서 건강한 문제제기를 하는 각 시도당직자들을 단속하는 형태로 입과 귀를 막고 있다"고 정부의 '압력'을 강력 성토했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당시 "언론 본연의 자세는 무엇이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을 선도할 책임도 있지 않느냐는 생각을 가끔 해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언론에 우회적 '주문'을 가한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정부 역시 이날 간담회에 맞춰 주요 지역신문 47곳에 세종시 광고를 실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엔 충청권 지방일간지 14곳 뿐 아니라 전국 지방일간지 33곳이 포함됐다. 자유선진당 이상민 정책위의장는 이날 정책성명을 통해 "대통령이 지역언론인 초청 간담회를 빌미로 언론을 통제하고 있다. 사실을 왜곡하고, 가뜩이나 취약한 언론에 정부가 나서서 광고물량공세로 여론을 호도하려는 데 혈안이 돼 있다"고 지적했다. MB '4대강=대운하' 스스로 시인?…'캐나다 쇠고기 수입재개' 발언도 논란 '사실을 왜곡해 비판여론을 잠재운다'는 야권의 지적은 단지 정부의 세종시 원안 수정 방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의 발언이 4대강 사업과 잇단 '노동탄압' 등에 걸쳐 전방위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 지난해 '국민이 반대할 경우 대운하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던 이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대통령과의 대화' 당시 "운하는 다음 대통령 아니면 그 다음 대통령이 하도록 하겠다"고 밝혀 결국 4대강사업이 대운하의 전초전이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왔다. 실제로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지난 1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한 '다기능 보 기본구상' 도면에 따르면, 당초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설치 계획이 없다고 주장한 '갑문'이 가동보 도면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8일 원내대책회의에서 "(4대강 사업은) 이명박 대통령이 얘기한 대로 홍수 예방과 가뭄 대비를 위한 사업이 결코 아니다"며 "명백하게 운하를 만들 목적으로 보를 설치하고, 하도준설을 깊게 해 물그릇을 만드는 사업"이라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7일 캐나다 하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이 대통령의 당시 발언도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WTO에서 논의중' 이라는 전제를 달긴 했으나,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재개가 원칙"이라고 밝혀 제2의 광우병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을 스스로 남겼기 때문.
당장 '국민건강 외면'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진보신당 김종철 대변인은 "과연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 건강이나 안전에 관심이 있는지 모를 일이다. 매번 다른 나라 정상들과 회담을 할 때마다 굴욕적인 자세로 나가는 행태를 알다가도 모를 일"이라고 했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대표도 "이명박 정부가 한미 FTA 미의회 비준을 촉구하기 위해 미국산 쇠고기 개방을 약속했듯이 한-캐나다 FTA 추진을 위해 캐나다 쇠고기 수입조건을 양보하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우리 국민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청와대-한나라당은 '대통령 감싸기' 주력…"측은감 느껴진다" 이처럼 이 대통령의 '문제 발언들'은 세종시와 4대강 등 국정 최대 현안에 집중돼 있는 동시, 이른바 '권총 협박' 발언에서 알 수 있듯 언론으로 부터 '대통령의 말이 이렇게 가벼워서 되겠느냐' (한겨레 5일 자 사설)는 비판 까지 듣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이같은 논란과 관련해 이른바 '대통령 감싸기'에만 주력하고 있다. 지난 3일 강승규 한나라당 의원에 의해 '권총 협박'의 전말이 드러난 이후 김은혜 대변인은 '거짓말'로 규정한 자유선진당을 향해 엄포성 논평 까지 발표했다. 이와 관련, 문화평론가 진중권 씨는 지난 3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이 정도 뻥이라면, 우리 각하가 어렸을 때 동네에서 애들하고 총 싸움 놀이 한 것은 아마도 자기가 한국전쟁에 참전해 무공을 세웠다고 하고도 남으시겠다"고 힐난했다. 비록 '국정 현안'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최근 제2의 종교편향 조짐이 보이고 있는 김진홍 목사의 '청와대 예배'와 관련해서도 박선규 대변인은 이날 "이 대통령이 개인적 신앙활동을 하는 부분은 이해해 달라"고 항변했다. 하지만 당초 청와대는 김 목사의 예배 집도와 관련해, 초반에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부인한 바 있다. 한나라당 역시 세종시 여론조작과 4대강 강행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지난달 30일 당청회동에서의 '쓴소리'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야권으로 부터 "그저 눈치를 보며 정부를 옹호하고 대통령을 칭송하기 바쁘다"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한 이 대통령의 최근 발언과 이에 따른 정부여당의 '감싸기 행태'에 대해 8일 다음과 같은 논평을 통해 강력 성토했다. "중요한 약속을 어긴 상태에서 혁신도시가 예정대로 될 것이라는 자신의 약속을 믿어달라고 얘기하고 있다. 자신은 약속을 지키는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약속을 어길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주장하는 모습에서는 오히려 측은감 마저 느껴진다" 현 정부의 '운명'을 좌우할 국정 최대현안이 반대여론에 직면한 상황에서, '거짓말 논란'으로 까지 확대된 이 대통령의 최근 발언은 국민 여론의 반전은 커녕, 왜곡 논란과 비판여론 억제의 의혹으로 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해 보인다.
| |||||||||||||||||||
| |||||||||||||||||||
기사입력: 2009/12/08 [18:32] 최종편집: ⓒ 대자보 |
스노보드로 재미보더니 이젠 스케이트장인가 (0) | 2009.12.15 |
---|---|
강부자 낙인 벗기위한 '말로만 서민' (0) | 2009.12.11 |
노골적인 너무나 노골적인 (0) | 2009.12.08 |
민주노총 전면전…"추악한 야합 베일벗어" (0) | 2009.12.08 |
대통령 이명박의 거짓말 퍼레이드 (0) | 200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