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녕청소년문화의집 논술 강의계획서 □
누구나 글을 잘 쓸 수 있다
Anybody can write
강의자 : 박종국(교사, 수필가)
○ 글쓰기 강의를 시작하며
글쓰기의 일곱 가지 법칙
1. 글쓰기는 행동이다.
생각하는 것은 글쓰기가 아니다.
글쓰기는 머리가 아닌 종이에 낱말을 늘어놓는 것이다.
2. 열정적으로 쓰라.
차분한 사람이라도 좋아하는 일은 열정적으로 추구하게 마련이다.
열정에는 창조성이 따른다.
3. 정직하게 쓰라. 알몸을 드러내라.
독창적인 것에는 진통이 따르게 마련이다.
4. 재미로 쓰라. 자기를 위해!
작가가 그 과정을 즐기지 못한다면, 어떤 독자가 그 결과를 즐기겠는가.
5. 무조건 쓰라
기를 꺾는 내면의, 혹은 외부의 어떤 말도 무시하라.
끈질기면 항상 얻는 게 있다.
6. 다작하라.
모든 것을 이용하라.
글과 씨름을 하다보면 버릴 게 아무것도 없음을 알게 된다.
7. 몰입하라.
자신의 아이디어에, 작가로서의 삶에 몰입해서 글을 쓰도록 하라.
자신을 믿으라.
-로버타 진 브라이언트-
1. 글쓰기 강의 계획
가. 목적
본 강의는 창녕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창녕지역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강의 전반은 아이들의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글쓰기를 지도하며, 나아가 창작교육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을 반추해보고, ‘창작교육(creative writing)-문예교육(literary writing),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현실 과제 해결에 주안점을 두어, 장차 일상적 언어활동으로서 아이들 개개인의 삶을 문학적 언어를 통해 진실 되게 드러내는 능력을 계발하는 데 있다.
나, 강의 방침
1) 본 강의는 매주 2회(화,목요일), 창녕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실시한다.
2) 강의 교재는 강의자가 구안하나, 수강자는 강의 계획 따라 사전 준비한다.
3) 강의는 ‘표현(창작)’과 ‘이해(작품의 이해와 감상)’ 영역으로 대별하여 실시하며, 특히, 아이들의 체험 글쓰기와 문학 영역 중 창작활동에 중점을 둔다.
4) 본 강의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다. 강의 내용
본 강의는, 문학이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문학 능력을 길러, 자아를 실현하고 문학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는 바람직한 인간을 기른다는 취지 아래,
1) 문학 활동의 기본 원리와 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2) 작품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함으로써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기르며,
3)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세계를 이해하며, 문학의 가치를 자신의 삶으로 통합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4) 나아가 문학의 가치와 전통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문화발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계발하는 지도 역량을 진작하는데 있다.
라. 강의 내용
1) 글쓰기의 생활
- 글은 자신의 표현이다.
- 규칙적으로 글을 써라.
- 한글 맞춤법을 제대로 지켜야한다.
- 글은 원고지에 쓰는 것이 좋다.
2)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 글쓰기 중독
- 메모의 기술
- 일기의 마법
- 끈기와 미덕
3) 정확한 단어와 올바른 문장
- 단어는 글의 기본적인 요소이다.
- 구체어와 추상어 활용하기
- 문장의 기본 구조
- 조사, 접속어, 한자어, 외국어의 쓰기
4) 글쓰기의 준비
- 왜 글을 쓰는가.
- 무엇을 쓸 것인가.
- 글쓰기 경험(시간이 없어서 글을 못 쓴다?)
- 나는 왜 글을 쓰는가?
5) 글다듬기(고쳐 쓰기)
- 글을 냉정하게 평가하라
- 글을 어떻게 다듬을 것인가
- 가차 없이 잘라내기
- 다시 읽고 다시 쓰기
6) 편집과 제책(책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 신문, 문집, 인쇄출판)
- 누구나 책을 펴낼 수 있을까?
- 출판기획, 편집결정, 편집, 조판, 교정, 제판, 인쇄, 제책, 배책
- 편집 레이아웃
- 사진 촬영 기법(별도 실습)
2. 글쓰기의 실제
- 글쓰기에도 설계도가 필요하다.
- 자신의 삶을 진솔하게 드러내기
- 번잡스러운 표현을 피하라.
- 문체는 문장의 표현구조이다.
가. 삶의 글쓰기 : 글쓰기의 실제
1) 주제의 발견
2) 글의 구상(글의 개요)
제목 붙이기와 본문 쓰기->글의 단락 만들기->글의 표현과 문체->글다듬기
3) 글쓰기의 방법(관점과 목적)
4) 설명적인 글쓰기①
5) 논증적인 글쓰기②
6) 묘사적인 글쓰기③
7) 서술적인 글쓰기④
편지->기행문->독후감->논설문->수필->동화->시․시조
나. 문인과의 대화
1) 우리 지역 문인 초청 문학회 강연회
2) 독서 토론 : 문인과의 대화
다. 글쓰기 모임 회지 발간(예정)
1) 수강자 전원 참여
2) 개인별 10편(장르 제한 없음), 2010년 12월 20일까지
3) 국판, 200페이지, 출판인쇄
4) 출판기획, 편집결정, 편집, 조판, 교정, 제판, 인쇄, 제책, 배책
■ 강의 참고 문헌 ■
강승숙,김명희,김진문,노미화외5인(2001), 아이들과함께하는갈래별글쓰기, 우리교육
고정기(1991), 잡지 편집의 이론과 실제, 보성사
구인환 외5인(1998), 글읽기에서글쓰기까지, 열린글터
김병규(1996), 쉬운글쓰기-동화로엮어가는, 다섯수레
김선 편저(2004), 맞춤법․띄어쓰기․원고지 사용법, 예문당
김슬옹(1994), 우리말 산책, 미래사
김승종(2000), 올바른 사유와 글쓰기, 전주대학교 출판부
김승종,이동재,이희중(2004), 문학감상과글쓰기, 역락
김정은(2003), 대중문화읽기와비평적글쓰기, 민미디어(구)민
김정섭(1997), 아름다운 우리말 찾아쓰기 사전, 한길사
김진평(1989), 한글의 글자 표현, 미진사
김해식, 글쓰기소프트, 새길
교재편찬위원회(2000), 매체의다변화와열린글쓰기, 세종출판사
국어교육연구회(1992), 글쓰기와 삶, 연세대학교출판부
금창연(1992), 편집 레이아웃 ①②, 독자와함께
권영민(1997), 우리 문장 강의, 신구문화사
권택영(1991),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동서문화사
니탈리 골드버그․김훈 옮김(1991), 당신도 작가가 될 수 있다, 고려원미디어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이언숙 옮김(20010, 청어람미디어
다치하라마사아키, 일본의 명수필, 다락원
도서출판 정보성(1991), 신문 소프트, 정보성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김석희 옮김(2003), 인간동물원, 물병자리
라이너마리아릴케 외(2001), 세계의 명수필, 을유문화사
로버타 진 브라이언트 지음․승영조 옮김(2004), 누구나 그을 잘 쓸 수 있다, 예담
로버트스콜즈외2인(1995), 글쓰기의 길라잡이, 세종출판사
루스 베네딕트 지음․김윤식․오인석 옮김(1991), 을유문화사
린다플라워․원진숙.황정현 옮김(1998), 글쓰기의문제해결전략, 동문선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2001), 창작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문우일(2001), 참 쉬운 글쓰기, 미래엠앤비(구)미래미디어
문순태 외(1991), 열한권의 창작노트, 도서출판 창
문이당 편집부 엮음(1994), 신문 명칼럼 컬렉션, 문이당
BACON외36인, 영국수필선, 신아사
박경선(1999), 열린교실의글쓰기, 지식산업사
박아르마(2004), 글쓰기란무엇인가(끌쓰기의이론과실제), 여름언덕
박숙희(1996), 우리말 속 일본말, 한울림
박종국(2002), 제 빛깔 제 모습으로 함께 나누는 사랑은 아름답다, 두엄
_______(2007), 하심, 에세이출판사.
박제천(1999), 시를 어떻게 완성할 것인가, 문학아카데미
______(1997), 시를 어떻게 완성할 것인가, 문학아카데미
박제천․강우식(1999),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문학아카데미
배원병,손권외2인(2001) 글쓰기와 발표하기, 북스힐
반숙희 외(2000), 갈래별 글쓰기, 나랏말
보리 편집부 엮음(1997),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사카토 켄지 지음․고은진 옮김(2003), 메모의 기술, 해바라기
성래운(1985), 사랑을 위한 반역, 실천문학사
수필문화사 편(2000), 나는 이렇게 수필을 쓴다, 교음사
신형기외7인(2003), 글쓰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스티븐 킹 지음․김진준 옮김(2002), 유혹하는 글쓰기, 김영사
실천문학 편집위원회 엮음(1997), 창작교실, 실천문학사
------------------------------------------------------------------
박종국/ 경남창녕부곡초등학교교사, 자연생태해설가, 수필가, 칼럼니스트, 경남작가회회원이사, 한국작가회의, 창녕문학회원. 수필집 『제 빛깔 제 모습으로 함께 나누는 사랑은 아름답다』(2002, 도서출판 두엄) 『하심下心』(2007,에세이).
나는 이렇게 생각해요 (0) | 2010.01.18 |
---|---|
글쓰기, 어떠한 공부인가? (0) | 2010.01.14 |
내 생각은 이렇습니다 (0) | 2009.12.31 |
근거를 들어 자신의 주장 내세우기 (0) | 2009.12.31 |
동시 한 편 맛보고 생각하기 (0) | 200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