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와 설탕
토마토는 무기질과 칼슘, 칼륨이 풍부하고, 비타민 B1도 들어있는 식품이죠. 그러나 다른 과실류보다 당분이 적어 보통은 토마토를 썰고 그 위에 설탕을 듬뿍 뿌립니다. 설탕이 인체 내에서 분해, 이용되려면 비타민 B1은 설탕의 대사에 쓰이다 보니, 귀중한 비타민 B1의 손실이 뒤따르게 되죠. 그러나 고기나 생선 등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을 때 토마토를 곁들이면 위 속에서 소화를 촉진시키고 위의 부담을 가볍게 하며 산성식품을 중화하는 역할도 합니다.
미역과 파 미역은 칼슘과 요오드가 풍부한 저열량 식품으로 미끈미끈한 성분인 알긴산이 풍부합니다. 이 알긴산은 다이어트리 화이버라 불리우는 성분으로 콜레스테롤 침착 예방효과와 농약 등 공해물질과 연합해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도 미역과 마찬가지로 미끈미끈한 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역요리에 파를 넣으면 너무 미끄러워 음식맛이 어울리지 않고 알긴산의 흡착력이 떨어지게 되죠.
당근에는 비타민 A가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당근에는 또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아스코르비나제가 같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비타민 C가 많은 오이를 함께 곁들이면 좋지 않죠. 다만 이 아스코르비나제는 산에 아주 약하기 때문에 생채를 만들 때 당근을 미리 식초에 섞으면 다른 채소의 비타민 C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우유를 먹으면서 비린 맛을 못 느끼게 하기 위해 소금이나 설탕을 넣어 마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유와 소금은 맞지 않습니다. 우유에는 적당히 맞는 정도의 염분이 기본적으로 들어 있기 때문이죠. 또한 설탕도 우유와 맞지 않는데, 비타민 B1의 흡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즈는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고급 식품입니다. 또한 칼슘도 많이 들어 있어서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과 성장기 어린이에게 적극 권장되죠. 콩 역시 고단백, 고지방의 질 좋은 영양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콩은 칼슘보다 인산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치즈와 함께 먹을 경우 치즈에 많은 칼슘을 콩의 인산이 작용해서 인산 칼슘을 만들어 몸 밖으로 빠져나가게 합니다. 따라서 콩과 치즈를 같이 먹을 경우 치즈를 통해 얻고자 하는 칼슘의 섭취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볶은 커피에 설탕이나 크림을 타 마시는 것은 쓴맛을 약화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우유를 타서 마시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우유를 타게 되면 커피가 너무 묽어져 맛이 제대로 나지 않기 때문에 대신 크림을 넣어 마시게 된 것이죠. 그러나 크림에는 지방이 많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 함량이 아주 많아서 건강에 해롭습니다. 따라서 비만을 걱정하는 사람이나 커피의 제 향을 즐기려는 사람은 설탕이나 크림을 넣지 않고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배아 근처에 검은 곰팡이가 피는데, 이 곰팡이가 아풀라톡신이라는 간암의 유발성분이 됩니다. 따라서 맥주를 마실 때 무심코 먹은 땅콩이 건강에 치명적인 작용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맥주를 마실 때는 땅콩보다는 다른 안주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출처 :새벽문학관 (동해로 가는 동행
부위별로 달라지는 돼지고기 레서피 (0) | 2010.02.10 |
---|---|
농촌 밥상 VS 어촌 밥상 (0) | 2010.02.10 |
무 (0) | 2010.01.15 |
참깨 (0) | 2010.01.15 |
유자 (0) | 2010.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