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침이 있다.
& 대화를 개방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한다.
- 자녀들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도록 따뜻하고 지지하는 태도를 보여야 하며, 친밀감을 형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자녀들을 수용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는 것을 느낄 때 자유롭게 능력을 발휘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수용의 언어는 아이의 마음을 열게 하며 자신의 느낌을 털어놓게 하는 반면 비수용을 나타내는 단어는 아이의 마음을 닫게 한다.
& 미움과 증오를 조성하는 비수용적인 말은 하지 않는다.
- 부모는 아무리 화가 나도 의식적으로 미움과 증오를 조성하는 말이나 비판하는 말투는 삼가야 한다.
비수용적인 방식은
등이 있다.
& 자녀의 얘기에 귀 기울여 듣는다.
- 아이들은 부모가 자기의 감정과 생각에 아무런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때 욕구불만을 갖게 된다.
&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양방적인 대화가 되도록 한다.
- 부모자녀간에 대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은 부모의 일방적인 대화 스타일 때문이다.
& 공통관심사를 갖도록 한다.
<출처: 장애아동 가족지원 이론과 실제, 양천장애인종합복지관, p247-248>
우리아이 사회성을 키우는 노하우 7가지 (0) | 2010.04.23 |
---|---|
좋은 의사소통을 위한 10가지 지침 (0) | 2010.03.03 |
효과적 의사소통이란 (0) | 2010.03.03 |
좋은 아버지가 되는 자녀교육법 20계명 (0) | 2010.03.03 |
어느 조모의 근심 (0) | 200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