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책 읽기
-말보다는 몸으로 가르쳐야
박 종 국
책 읽는 소리 낭랑하게 들리는 집은 평온하다. 아버지는 너그럽고, 어머니는 포근하다. 아이들 또한 부드럽다. 일마다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며, 인정하고, 배려하는 폭이 커다. 함박웃음을 머금고 생활하기에 서로 얼굴을 붉히지 않는다. 책을 읽으면 저절로 마음이 깨끗하게 다스려지고, 불손한 일들이 좋게 정화된다. 책을 가까이 하는 사람치고 악인이 없으며, 책을 즐겨 읽는 사람은 결코 속된 마음을 갖지 않는다.
저녁에 같은 아파트에 사는 아이가 책을 빌리러 왔다. 지난해까지 일주일에 두어 시간씩 독서토론모임을 가졌는데, 유독 그 아이만큼은 책 읽는 태도가 유달랐다. 아직은 뚜렷한 독서습관을 갖추지 않았으나,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책을 야무지게 잘 읽는다.
그뿐만이 아니다. 책을 대하는 태도가 쏙 맘에 든다. 만날 때마다 담뿍 칭찬한다. 대개의 아이들은 책을 읽으라면 그냥 재미로 읽는 책을 좋아하는데, 책 읽는 데 재미를 붙인 아이는 다소 지루하고 따분한 책도 잘 읽는다. 책을 파고들어 읽는 독서력이 길러진 결과다.
일전에 동창모임에 갔었는데, 한 친구가 자기 아이들은 도무지 책을 읽지 않는다고 조언을 구했다. 난처했다. 명색에 아이들 가르치는 선생인데도 친구들 마음에 쏙 드는 처방전을 함부로 끊어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소 집에서 어떻게 책을 읽도록 권하느냐고 되물었다. 그랬더니 매일처럼 텔레비전 인터넷 하지 말고 그저 책만 읽으라고 다그친단다. 그러면 아이들은 볼멘소리를 하면서 텔레비전을 벗어나 제 방으로 책을 읽으려 간단다.
그런데 문제는 부부는 거실에서 그냥 텔레비전을 본다고 했다. 더 할 말이 없었다.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제지받은 아이가 과연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을 가지겠는가. 십중팔구 책 읽고픈 마음이 싹 가신다. 아이들 그런 방법으로는 결코 책을 읽지 않는다. 오히려 반발감만 키울 뿐이다.
책 읽기는 말로 가르치기 보다 몸으로 가르쳐야한다. 어머니 아버지는 텔레비전을 보면서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는 강요는 그나마 책 읽고 싶은 아이의 마음을 빼앗아버린다. 부모는 책을 읽지 않으면서 아이에게 책 읽기를 바라는 건 바람직하지 못한 처사다. 늘 책을 가까이 하는 부모의 모습이야말로 참다운 책읽기의 본보기다.
평소 책을 읽지 않는 부모일수록 아이들에게 책읽기를 더 강요한다. 때문에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더구나 부모가 일방적으로 고른 책을 읽히는 수고(?)로 아이들은 오히려 책과 더 담을 쌓는다. 아무리 열심히 읽어보려고 해도 재미가 없는데 그런 책은 읽고 싶지 않다.
아이들이 책을 읽지 않은 이유는 많겠지만, 그 중에서도 과열입시경쟁에 얽매인 탓이 가장 크고,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비디오, 만화, 영화 등 감각적인 매체의 발전과 확산에 기인한다. 또한 어른들의 무책임하고 맹목적인 독서지도방법이 한몫한다.
기성세대문화와는 달리 신세대문화는 정적이기보다 동적이며, 이성적인 취향보다는 감각적이고 충동적이다. 감성이 풍부하고 표현이 자유롭다. 요즘 아이들은 책에 얼굴을 들이밀기보다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발산하는 일에 더 관심을 가진다. 아이들 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고, 배려해야한다. 근데도 고리타분하게 책 읽기만을 고집하는 부모의 강요가 되레 아이들을 책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올바른 독서습관이 하루 이틀에 이뤄지지 않는다. 책읽기와 삶은 하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하게 하려면 부모가 먼저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런 바탕이 마련된다면 책을 읽어라 애써 닦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읽는다. 아이가 그런 마음을 가지면 스스로 잘못된 편견과 아집에서 벗어나 책을 통해 공감을 얻고, 스스로 사리를 분별하는 힘을 갖는다. 나 아닌 다른 사람의 삶을 통해서 잘못된 자신의 삶을 반추해보는 비판력을 가지게 되고, 세계를 보는 눈이 달라진다.
더 이상 부모의 강요에 의한 책읽기를 지양하고, 늘 책을 가까이 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야한다. 해서 올바른 책 읽기는 말로 가르칠 게 아니라 몸으로 가르칠 일이다.
l박종국 2016-287편
박종국 세상톱아보기-왜 가을은 독서의 계절인가요? (0) | 2016.10.12 |
---|---|
박종국의 에세이칼럼-책 읽기를 꺼려하는 아이들 (0) | 2016.10.05 |
융통성 있는 책 읽기 (0) | 2016.09.12 |
치우침 없는 책 읽기 (0) | 2016.08.23 |
인서야, 나쁜 책은 없단다, 비벼먹듯 읽으렴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