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행복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박 종 국
저는 서울의 높은 지대에 위치한 곳에 삽니다. 그래서 택시를 타게 되면 늘 기사아저씨들의 불만의 소리를 듣게 되지요.
오늘도 퇴근길에 택시를 탔습니다.
마침 핸드폰 벨이 울려 전화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기사아저씨가 조용히 라디오 볼륨을 줄였습니다. 저에 대한 배려였지요.
저는 처음으로 남을 배려하는 기사아저씨를 만나 기분이 좋았습니다.
통화를 끝낸 후 이런저린 대화가 오고 갔습니다.
기사 아저씨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종업원이 꽤 많은 회사를 운영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경기가 안 좋아지고 나이도 많아지면서 정리하고, 그냥 집에서 쉬기로 결정하였답니다.
처음에는 마누라와 아이들도 반겼답니다.
그런데 한 달이 지나 두 달이 되면서 마누라와의 마찰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늘 집에 붙어사니까 왜 그렇게 보기 싫은 일들이 많아지는지.
그렇다고 산에 가는 일도 한두 번이지 매일 산에 갈 수는 없었답니다.
친구들을 만나기도 한두 번. 어디 갈 곳이 없었답니다.
그러니 매일 다툼만 일어났다고 합니다.
그래서 몰래 택시 운전을 해야겠다고 결심하고 무작정 택시 회사를 찾아가서 사장님과의 면담을 하였답니다. 사장님은 깜작 놀라면서 잘 하있겠느냐며 결심이 학고하면 열심히 해보라면서 혼쾌히 열쇠를 내 주었답니다.
"지금 생각하니 우리 사장님은 나에게 은인입니다. 돈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행복을 알게 해 주었지요.
그 동안 살면서 모두 나에게 돈을 달라고만 했지 돈을 주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회사 직원들도 그렇고, 가족도 그렇고, 나는 돈을 주는 사람이고, 그들은 돈을 받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모든 사람이 나에게 돈을 주는데 얼마나 기쁜일입니까?
저는 돈을 주는 손님들에게 늘 감사하다는 인사를 합니다.
당신들이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고마운 분들이라고요.
저는 매일 마누라에게 2만원씩 용돈을 줍니다.
손자 손녀에게도 수시로 용돈도 주고, 선물도 사 줍니다.
내가 일을 마치고 새벽 4시경에 들어가면 마누라는 기다리다가 온갖 맛난 음식을 다 대접합니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늘 다툼만 했는데, 지금은 다툼은커녕 행복한 대화만 가득 합니다.
저는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런데 돈만 쓰고 남은 인생을 낭비하기는 너무 아깝지 않습니까?
너무 답답하고 시간 보내기 힘들고 가족과 마찰만 생기고, 그런데 지금은 돈도 벌고, 일도 하고, 수많은 손님들과 대화도 하고, 너무 행복합니다.
저는 운전하면서 철칙을 하나 세웠습니다.
손님들에게 절대로 먼저 말을 걸지 말자.
손님들도 지금 이 순간이 다 중요한 시간인데, 쉬고 싶은 사람, 잠을 자고 싶은 사람, 무언가 골똘히 고민하고 싶은 사람., 대화를 사고 싶은 사람, 그들을 배려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상대방은 생각지도 않고 내가 좋아서 아무 생각 없이 정치가 어떻고, 사회가 어떻고, 대통령이 어떻고. 제가 알면은 얼마나 안다고 그들에게 열변을 토합니까?
저는 손님들이 먼저 말을 해오면 대답을 하면서 대화를 연결해야 할 분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대화를 시작합니다.
저와 대화를 마치고 차에서 내리면서 잔돈을 팁으로 주고 가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나 고마운 일입니까?
진정으로 감사하는 마음으로 주고받는 그런 마음이 너무 행복합니다.
저는 많이 배우고, 권력과 돈을 가져야만 행복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행복은 사소한 곳에서, 자그마한 일에서서도 얼마든지 샘솟는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오히려 손님 중에는 돈도 많고 많이 배운 게 많은 사람이 더 불행하고, 안절부절 못하며, 마음 조급하고, 성질 참지 못했습니다. 저는 지금 이 순간이 제일 행복합니다.
회사를 운영할 때보다 비록 적은 돈이지만,
매일 마누라에게 2만원씩의 용돈을 준다는 기쁨이 얼마나 큰 줄 아십니까?
마누라도 너무 행복해 합니다.
새벽 4시에 일어나서 남편을 기다리는 마누라가 몇 명이나 될까요?
생각하나 바꾸니 세상이 바뀌었고, 행복이 바뀌었습니다.
오늘도 제 차를 타 주신 손님께 감사 드립니다.
많이 행복하세요."
저는 차에서 내리면서 왜 갑자기 내가 행복해졌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내 행복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박종국참살이글2017-90편
북미대륙 원주민 도덕경 (0) | 2017.02.10 |
---|---|
맑은 웃음 하나면 (0) | 2017.02.09 |
사람이 너무 완벽하면 (0) | 2017.02.08 |
화려한 변태는 고통의 결과다 (0) | 2017.02.08 |
세상을 바꾸는 일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