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의 잣대
박 종 국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제시한 중산층의 기준을 보면, 페어플레이를 하고,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지며, 나만의 독선을 지니지 말고,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하며, 불의, 불평,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함을 준거로 정했다. 그들은 '약자 두둔 강자에 대응' 하는 정의의 힘을 가진 계층이 중산층이다.
프랑스도 마찬가지다. 프랑스 퐁피두 대통령이‘Qualite de vie(삶의 질)’에서 정한 중산층의 기준은 외국어를 하나 정도 구사하여 폭넓은 세계 경험을 갖추고, 한 가지 분야 이상의 스포츠나 악기를 다루며, 남과 다른 맛을 내는 별미 하나 정도는 만들어 손님 접대할 줄 알고, 사회 봉사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며, 남의 아이를 내 아이처럼 꾸짖는 강직함 등으로 물질적으로 저열한 인간이 아니라 '공분에 의연히 참여함'을 중산층의 처신으로 삼는다.
미국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을 보면 '부정과 불법에 저항' 하는 자가 중산층이다. 즉,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사회적인 약자를 도와야 하며,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고, 그 외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거실에 놓인 가정 등이다.
이에 비하여 한국 사회에서는 중산층은 어떤가? 직장인 대상 설문 결과, 부채 없는 30평대 아파트, 월급 500만 원 이상, 자동차 2000cc급 중형차, 통장잔고 1억 이상, 해외여행 1년에 몇 회 이상 우리나라의 중산층의 가늠 기준이다.
준열한 도덕성을 가진 중산층이 두터워야 안정된 사회다. 그런데 과연 우리에게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 어딜 보나 우리의 중산층 기준은 낯부끄럽다. 그것도 지식인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이 이 정도다. 다분히 물질적이며 세속적이다. 물론 이렇게 답했다고 해서 속물은 아니다. 문제는 중산층의 기준을 왜 그렇게 둘 수밖에 없으며, 왜 그렇게 생각하게 만들었는지 안타깝다.
우리나라와 비교했을 때 영국과 프랑스, 미국의 중산층 기준은 확연한 차이다. 우리는 중산층의 기준과 가치를 물질에 두는 반면, 그들은 ‘삶의 질’, 즉 정신적인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는 다분히 추상적이고, 이상적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은 ‘나 혼자만’ 잘 사는 게 아닌 ‘더불어’ 잘 살자는 인식이 사회 저변에 내포되었다. 거기에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거나, 사회적 불의에 대응하는 신념과 지식까지도 요구한다. 아무리 돈이 많고 권력을 가졌다하더라도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불의에 맞서는 인성이나 신념이 결여되었다면 중산층이라 할 수 없다.
물론 나라마다 민족마다 생각하는 중산층의 개념이 다르다.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외국어를 하나 정도 능하고, 불의와 불평등에 맞설 만한 용기와 신념을 가졌다 해서 그 사람을 ‘중산층’이라고 말 하겠는가? 어려운 문제다. 중산층의 기준이 단지 형식적이라 할지라도 왜 우리는 물질이 기준이 될 수밖에 없는지 안타까울 따름이다.
우리의 중산층 기준은 지금의 현실이 얼마나 막막하고 살벌한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무엇이,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가. 누가 굳이 말하지 않아도 우리는 이미 안다. 이 또한 우리의 사회문제고, 교육의 문제다.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학교와 사회에 이르기까지 성공만을 위한 길을 가르쳐왔음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이제라도 늦지 않다. 무엇보다 우리 사회 정의와 더불어 사는 도리가 무엇인지를 공유해야 한다. 삶의 질은 물질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사람의 됨됨이에, 혼자만 잘 살기보다 더불어 잘 사는 의미를 깨우쳐야 한다. 더불어 잘 살고자 할 때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도 생겨난다.
평생을 아파트 평수 넓히는 데에 전력을 다한 50대 아주머니가 이제야 살만해졌는데, 말기 암으로 고생하며 죽음이 목전에 왔다고 억울해 하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을 때, 과연 무엇이 인생의 가치를 가늠하는가? 사는 게 비감스러워진다.
인생이 사는 집 평수와 화장실 개수나 외제차를 소유하는데 주력하다가 죽음을 맞이함이 얼마나 인생의 삶의 가치와 동떨어지는가!
우리의 중산층 잣대가 얼마나 속물적이고 낯뜨거운가?
|박종국2017-260편
사람의 향기 (0) | 2017.05.10 |
---|---|
성공과 실패의 차이 (0) | 2017.05.10 |
콩깍지 사랑 (0) | 2017.05.08 |
입장 바꿔 생각해보기 (0) | 2017.05.08 |
성공비결 하나, 경청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