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이 보는 19대 한국 대선
박 종 국
외신은 9일 대한민국 제19대 대선 출구조사 집계 결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압승을 보도했다. 미국 일간지 USA투데이와 블룸버그통신, AFP통신 등은 이날 출구조사 발표 직후 문 후보가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중대한 선거에 더 많은 국민들이 참여하도록 투표 시간이 2시간 연장됐다"며 "높은 사전 투표율은 박 전 대통령의 대체자 선출을 위한 이번 대선에 대중의 관심이 크다는 사실을 나타낸다"고 전했다.
일본 NHK는 "한국의 대선 결과는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 정세에 영향을 미친다"며 여론조사 지지율이 가장 높게 조사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경우, 대북 문제와 관련해 대화의 중요성을 내세웠다고 보도했다.
외신은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문 대통령은 올해 부패 혐의 등으로 탄핵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북 노선 차이점을 집중 서술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문 대통령의 대북 노선이 선제 타격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모습과는 상반된다고 전했다.
USA투데이는 '한국이 새 대통령에 표를 던졌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문 대통령이 박 전 대통령과 달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반대하는 등 대북 문제에 미국과 결을 달리한다고 전했다.
또 한국의 신임 대통령에게 사드 설치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줘야한다고 발언한 점에도 주목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 해결에 한국의 주도권을 다시 찾으려 한다고 보도했다.
AFP통신은 문 대통령이 보수정당이 집권했던 지난 10년과 달리 북한과 미국에 대한 한국의 접근법에 변화가 생긴다고 해석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부정부패와 낮은 경제성장률, 실업, 중국에서 비롯되는 대기 오염 문제가 북한보다 더 큰 문제거리가 된다고 전했다.
9일 미국 CNN은 '국민의 공주를 갈아치우다'(Replacing the 'people's princess)라는 기사에서 "한국인들이 경제, 부패, 대북 관계 등 우려 속에 새 대통령을 뽑기 위해 투표소로 향한다"며, 당선 즉시 차기 대통령에게는 한반도를 둘러싼 이슈들에 관한 책임이 주어질 거라고 분석했다. 특히 국민들은 경제와 부패 문제의 우선적 해결을 바라고, 국제사회는 북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대부분의 유권자들은 10년째 이어져 온 보수 정권의 종식을 바란다"며 "유권자들은 보수 정권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부패 스캔들 이전부터 경제 실패와 민주주의의 훼손을 야기했다고 느낀다"고 분석했다.
영국의 BBC방송은 투표소를 찾는 시민들의 모습을 전하며, "경제 불확실성과 대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치러지는 이번 대선을 주목한다"고 전했다. 또 지지율이 가장 높았던 문 대통령의 경우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달리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원하고, 관계개선으로 미국과의 긴장을 불러일으킨다고 내다봤다.
이들 외신은 신임 문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로는 박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분열된 민심 수습과 일자리, 경제 문제를 꼽았다. 탄핵에 이어 치러진 9일 대선에는 전세계 언론의 관심도 컸다. 미국 CNN 방송은 “공주(박근혜 전 대통령)를 갈아치우다(Replacing the ‘people’s princess’)”라는 온라인판 머릿기사를 올리는 등 한국 대선을 주요하게 다뤘다.
CNN은 “문재인은 노무현 정부에서 햇볕정책의 강력한 지지자였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강경책을 취하고자 하는 동료였다. 하지만 문재인은 이를 흔드는 대통령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한국 대선의 최대 이슈는 북한이 아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한국 국내 문제가 이번 선거를 지배하지만, 트럼프가 남북한에 취하는 입장에 크게 기인해 지금은, 평소보다 외교 문제가 훨씬 더 중요한 의제”라며 “문재인은 사드 배치를 다시 검토하고 개성공단을 포함해 북한과 경제 협력을 재개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짚었다.
영국 가디언은 “한국 유권자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와 권력 남용 스캔들에 대한 분노에 자극받았고, 저성장과 일자리 문제가 촉매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언론들은 ‘누가 한국의 새 시대를 열 것인가' 등의 제목으로 이날 하루 종일 한국 선거 소식을 전했다. 특히 관영 CCTV 뉴스채널과 봉황텔레비전 등은 이날 매 시각 한국 대선 소식을 머릿기사로 다루었다. 중국 매체들은 다른 민주주의 국가의 선거 소식을 다루더라도 '민주주의의 꽃'이라 하는 보통선거 투표 과정은 보도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때는 관련 당국이 모든 매체와 뉴스포털사이트에 미국 대선 투표 관련 생중계를 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이같은 관영매체들의 관심의 배경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한국 배치 결정의 철회를 바라는 중국 당국의 속내가 녹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에 주재하는 한 외신기자는 "국내 정치에도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일반 중국인들이, 실제로 한국 정치에 그리 큰 관심을 가지리라 보진 않는다"며 "한국의 이번 대선을 사드 체계 한국배치 문제와 연관지어보는 중국 당국의 태도가 반영됐다고 본다"고 풀이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한국 차기 정부가 사드 문제에서 전향적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뤼차오 랴오닝사회과학원 조선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글로벌타임스에 "한국은 대중국관계 개선을 위해 쓸 카드가 많지 않다"며 "사드가 핵심 협상수단"이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별도로 실린 논평에서, 박근혜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으로 중국이 한국 관광을 ‘자발적’으로 중단했고, 이 때문에 한국이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면서, “새 정부는 중-한 관계를 올바른 궤도로 돌려놓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언론들은 한국 대선에서 주요 후보들의 대북한 정책과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태도를 주로 관심을 집중해서 보도했다. NHK는 문 대통령이 “한일 위안부 합의가 잘못됐다”고 발언한 사실을 주요하게 보도하며, 문 대통령이 지난해 독도를 방문한 사실도 함께 소개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9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의 대선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며 “(위안부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높게 평가된 합의로 일한 양국이 책임을 지고 실행하는 게 무척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문들의 보도도 한국 대선 후보들의 대북 정책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입장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사히신문은 9일 아침 신문에서 “9년 만의 정권교체 초점”, 요미우리신문은 “문(재인)씨 여유 있는 호소”,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문(재인)씨 압도적 정권교체를”이라는 제목으로 한국 대선 기사를 실었다.
헌정 사상 초유의 탄핵에 따른 대통령 보궐로 치진 이번 19대 대통령 선거에 외신도 주목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만큼 후임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에 초점이 모아졌다.
갱생 (0) | 2017.05.12 |
---|---|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0) | 2017.05.12 |
책 읽는 아이가 희망이다 (0) | 2017.05.12 |
역사인식에 대한 올바른 시각 (0) | 2017.05.12 |
코시안,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날이 그리 멀지 않다 (0) | 2017.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