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책은 없다
박 종 국
인서야, 오늘은 네 얼굴이 흐리네. 무슨 고민이 생겼어?
아녜요. 가슴 답답한 일은 없는데 날마다 학습지 풀이하라, 학원 가라고 다그치는 엄마 땜에 골이 났을 뿐이에요. 학교 마치고 집에 가면 놀 시간이 없어요. 오후 4시부터 밤 8시 반까지 공부하는 데만 붙잡혀요. 학원 가고, 체육관도 가야 하고, 학습지도 꼬박꼬박 풀어야 해요. 엄만 그래야 다른 아이들에게 뒤떨어지지 않는대요. 모두 저를 위한 일이라고 하면서….
그랬구나. 많이 힘들겠다. 너 정도면 굳이 학원 다니지 않아도 충분한데, 엄마가 바람이 커서 그래. 부모 마음이란 다 그런 거란다. 네 마음을 다독여주고 싶은데, 어떻게 도와줄까?
괜찮아요. 선생님, 저는 한쪽으로만 얽매기보다 제 스스로 사용하는 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책도 좀 읽고요.
책을 읽고 싶다고? 그거 좋은 생각이다. 그런데 지금으로 봐서 어떻게 하면 너한테 따로 시간이 주어질까?
네, 간단해요. 학원 하나쯤 줄이면 돼요. 근데 엄마는 절대로 안 된대요. 그래서 고민이에요.
녀석, 그렇다고 포기하면 되겠나. 엄마가 충분히 이해하도록 차분하게 말씀드려 봐. 미리 안 된다고 포기하기보다는 한번 이야기해서 안 되면 두번, 그리고도 허락하지 않는다면 또다시 여쭈어보는 게 좋지 않을까. 엄마도 네가 어떤 일을 열심히 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안다면 선뜻 들어주실 거야. 더구나 다른 일도 아니고 애써 책을 읽겠다는 데 마다할 부모는 없어. 그렇지만 이것은 알아야 해. 학원을 그만두고 책을 읽는다면 하루도 빠지지 않고 부지런히 읽어야 해. '작심삼일'이란 말 알지? 어떤 하나의 일을 두고 흐지부지한다면 차라리 아니함만 못한 거야. 네 결심이 충분하다면 엄마도 네 뜻을 저버리지는 않을 거라 확신해. 힘내. 인서야.
책은 왜 읽어야 하는 걸까. 물론 어떤 목적을 갖고, 무엇을 깨우치기 위해서 읽어야 하겠지만, 난 그런 독서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무엇보다 책은 그냥 재미로, 즐겁게 읽으면 그것으로 만족해. 똑 무슨 책을 한정해서 가려 읽는 건 좋은 독서방법이 아냐. 그냥 닥치는 대로 손에 잡히는 책을 읽는 거야.
네, 저도 그러고 싶어요. 읽고 싶은 책이 너무 많아요. 하지만 당장에 그 책들을 읽을 시간이 없다는 게 안타까워요. 그래도 엄마는 내가 책 읽기보다 학원 다니는 걸 더 좋아해요.
그건 네 생각이야. 왜 엄마가 네가 책 읽는 걸 반대한다고 생각하니.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그건 아마 평소 네가 책 읽는 게 못마땅한 모습을 보였던 거야. 생각해 보렴. 그렇지 않아? 네가 진심으로 책 읽으면 엄마도 기꺼이 찬성할 거야. 문제는 네 의지에 달렸어.
인서야, 애써 책을 읽어야 한다는 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아. 특히 네 나이 때는 한 권의 책이 얼마나 소중한지 몰라. 엄마도 그것은 충분히 알아. 오늘 다시 한 번 말씀드려 보렴. 진실한 네 마음이 결국 엄마를 감동시킬 거야. 알겠지?
네, 선생님. 저녁 먹으면서 말씀드려 볼게요. 선생님이 차근차근 말씀해 주시니까 용기가 나요. 그런데 선생님, 그냥 재미로, 닥치는 대로 읽어라 하셨는데, 저는 그게 이해가 안 돼요. 정말 아무 책이나 읽으면 되는 거예요?
그렇다. 배고플 때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비벼먹듯이 그렇게 읽어라. 세상에 좋지 않은 책, 나쁜 책은 없어. 단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하는 문제지.
인서야, J.A 랭포드가 『책을 기림』이란 글에서 현명한 사람은 책을 가려 읽는다고 했어. 모든 책을 친구라는 신성한 이름 아래 등급을 매기고 싶지 않기 때문이지. 그들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 지를 알고, 몇 권의 책은 붕우지기로 받아들이고 가장 소중한 소유물로 아낀다고 했어. 물론 그렇다고 그 밖의 책은 잠깐 동안의 소일거리로 하고는 제쳐놓지만, 결코 잊지는 않지. 선뜻 이해가 안 되지?
하지만 반고가 황금을 상자에 가득 채우는 게 자식에게 경서 한 권을 가르치는 일만 못하고, 자식에게 천금을 주는 게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일만 못하다고 했어. 그 말뜻을 곰곰 새겨봐. 네가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하는지 알게 될 거다.
인서야, 모든 생명 없는 물체 가운데서, 그리고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물체 중에서, 책은 우리와 가장 가까워. 책에는 우리의 사상과, 의욕과, 분노의 환상과, 진리에 대한 애정과 ,우리의 과거로 쏠리는 외고집이 담겼어. 그러나 무엇보다도 책은 인생의 급소를 완전하게는 치유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리 자신과 닮았어.
암튼 책을 읽고 싶다는 너에게 어려운 이야기를 했구나. 괜히 머리 아프지? 그렇지만 난 네 의견을 존중하고, 한껏 부추겨주고 싶구나. 어쨌든 엄마께 말씀 잘 드려서 네가 소망하는 책 읽기가 가능했으면 해.
인서야, 너는 특별해. 너는 너이기 때문에 특별하단다. 특별함에는 어떤 자격도 필요 없어. 단 하나 너라는 이유만으로 충분하단다. 넌 너이기에 행복해야 한단다. 잊지 마렴. 넌 언제나 특별하며, 난 널 사랑한단다. 네 바람이 이뤄지기 바래. 난 널 믿어.
마음을 채우는 그릇 (0) | 2017.06.13 |
---|---|
뒤센 미소 (0) | 2017.06.09 |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0) | 2017.06.09 |
꿈을 이루는 삶의 태도 (0) | 2017.06.08 |
치매와 건망증 (0) | 2017.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