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함께 책을 읽고 대화하면 얼굴빛이 좋아집니다.
박종국(다원장르작가)
이제 성인이 된 제 아들은 책벌레입니다. 서너 살 때부터 늘 책 읽는 제 모습을 보고 자란 까닭입니다. 집안 가득 채워진 책에 파묻어 생활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아들은 그렇게 책과 친하게 지냈습니다. 애써 책 읽으라고 다그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활이 되고, 습관이 되었습니다. 해서 지금은 학교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며, 시(詩)를 쓰는 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저는 집에서나 학교에서 아이에게 애써 책 읽으라고 닦달하지 않습니다. 책 읽으라는 된소리가 다른 사람의 귀에 들리면 이미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달아나버립니다. 책은 강요로 읽히지 않습니다. 저절로 다가서야 합니다. 누구나 경험하였을 겁니다. 마음에도 없는 일을 할 때 얼마나 지루하고 답답합니까. 하고 싶지 않은 일을 강요받았을 때 얼마나 화가 나고, 원망의 눈빛으로 안타까웠습니까. 아이는 그렇게 책을 권해서는 안 됩니다. 자연스럽게 다가서도록 따뜻하게 배려해야 합니다.
여태껏 아이를 키우고, 또한 아이를 가르치면서 느꼈던 경험이지만, 아이 스스로 책을 읽게 하려면 우선 책과 친하게 지내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 집안 곳곳에 책을 두어야 합니다. 언제나 손 잡히는 곳에 책이 놓여야 합니다. 좋은 장식장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침대 머리맡에도 좋고, 소파나 거실 탁자 위에도 좋습니다. 주방 식탁 위에도, 베란다 창틀에도, 신발장 위에도, 화장실에도 어디든 좋습니다. 쉽게 손닿는 자리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아이가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배려해야 합니다. 부모가 아무리 소원해도 요즘 아이는 인터넷이나 오락, 핸드폰이 먼저입니다. 그게 분명한 세대입니다. 그렇지만 대부분 부모는 아이의 그러한 여가문화를 이해하려 들지 않습니다. 무조건 텔레비전 끄고, 인터넷으로부터 멀어지기만을 고집합니다. 더욱 안타까운 일은 부모는 인터넷 오락을 하면서도 아이한테만은 관대하지 못합니다. 그러니 아이가 기를 쓰고 조금이라도 컴퓨터에 매달리려고 바동댑니다. 그 결과는 뻔합니다. 아이를 닦달하는 소리가 높아집니다. 아이는 그렇게 해서 책을 읽지 않습니다. 먼저, 부모가 일정 시간 책을 읽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부모가 즐겨 책을 읽으면 아이는 저절로 읽습니다.
한 주일 잡다한 일상사에 소진하고 나면 공휴일만큼은 그저 편안하게 쉬고 싶다는 맘은 누구나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텔레비전을 보거나 낮잠을 잡니다. 쉰다고 해서 별다른 놀이문화를 갖지 못하는 게 대부분인 만큼 어느 집이나 휴일 풍경은 비슷합니다. 그러니 아이가 조금 소란을 떨거나 컴퓨터에, 인터넷에 빠진 걸 보면 공연히 화가 치밀어 오릅니다. 마침내는 까닭 없는 하소연이 풀어헤쳐지고, 아이에게 불똥이 떨어집니다. 그것으로 집안 분위기는 마치 찬물을 끼얹은 듯이 냉랭해집니다. 대화가 단절됩니다. 좋게 보내려는 휴일이 망쳐집니다. 우울한 분위기가 집안 가득해집니다.
그러나 생각을 바꾸면 즐거운 일이 많아집니다. 휴일 가족 나들이를 하거나 쇼핑도 좋지만, 온 가족이 함께 가까운 서점이나 도서관을 찾아보세요. 한결 나들이가 즐거워집니다. 아이에게 책을 골라주고, 그것을 통해서 대화를 나눠보세요. 책은 그 무엇보다도 좋은 선물이 되고, 뜻깊은 시간이 됩니다. 가족 구성원의 마음을 서로 나누고, 공감하는 여력이 커집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눈에 뵈진 부모의 모습이 얼마나 존경스럽겠습니까? 그것만으로 건강한 나들이가 됩니다.
바빠서, 겨를이 없어서 그러지 못한다는 건 일종의 핑곗거립니다. 가족을 위하는 마음이 없어서 그런 겁니다.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서점 가고, 도서관을 찾을 시간은 언제나 생겨납니다. 책은 크게 마음먹고 읽어야 하는 게 아닙니다. 그런 독서법을 고집한다면 차라리 아니함만 못합니다. 그러한 일은 오히려 정신 건강에 해롭습니다. 집안 곳곳에 책을 놓아둬 보세요. 자녀와 날마다 일정 시간 책을 읽어보세요.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는 잠시 꺼 두어도 좋습니다. 짬이 날 때마다 한 줄씩 읽는 자투리 독서가 소중한 생각을 일깨우고, 사람 사는 향기와 교양을 늘려줍니다.
저는 잠깐이라도 바깥나들이를 할 때면 반드시 한두 권 책을 들고 다닙니다. 책 읽기는 꾸준함이 바탕으로 삼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한결같아야 합니다. 인생에서 가장 화려한 시절을 쓸데없는 데 낭비하지 말고, 남다른 지식과 교양을 쌓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합니다. 젊은 시절에는 다른 건 몰라도 책 읽는 시간만큼은 늘여야 합니다. 그게 자녀에게도 좋은 본보기입니다.
이제 성인이 된 제 아들은 책벌레입니다. 서너 살 때부터 늘 책 읽는 제 모습을 보고 자란 까닭입니다. 집안 가득 채워진 책에 파묻어 생활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아들은 그렇게 책과 친하게 지냈습니다. 애써 책 읽으라고 다그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활이 되고, 습관이 되었습니다. 해서 지금은 학교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며, 시(詩)를 쓰는 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박종국에세이칼럼
그침 없는 책 읽기 (0) | 2023.07.12 |
---|---|
책은 무시로 읽혀져야 (0) | 2023.05.23 |
책을 가까이 하는 부모 (0) | 2023.05.02 |
책을 읽지 않는 어른 (1) | 2023.05.02 |
나쁜 책은 없단다, 비벼먹듯 읽으렴 (0)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