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어릴 적 허기를 달래주던 먹을거리

세상사는얘기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4. 4. 7. 19:45

본문

728x90
참꽃, 삐비, 찔구, 띠뿌리, 칡깽이 무던히 먹었지
[어릴 적 허기를 달래주던 먹을거리 17] 종합 안내판
기사전송  기사프린트 김규환(kgh17) 기자   
▲ 창꽃 혹은 참꽃이라 불렀던 진달래 꽃잎을 따서 한 입 가득 채워서 씹어 먹었습니다.
ⓒ2004 김규환

난 아직도 허기를 참지 못한다. 불혹이 이태 남은 젊은 나이지만 유달리 궁벽한 산간 벽지 마을에서 살아서 젖먹이 시절 못 먹고 자란 탓일까. 불과 20여년 전의 가까운 과거일 뿐인데 배고픈 설움은 이제 먼 옛날의 이야기처럼 되었다.

산업화가 한창이던 때 우리 마을은 세상 물정 모르고 복조리나 만들어 내다 팔고 이모작으로 밀, 보리 농사를 지었지만 꽁보리밥마저 배불리 먹지 못하면서 처절하게 막바지 보릿고개를 넘고 있었다.

▲ 잔디보다 키가 크며 억새와 달리 딱딱한 줄기가 없는 풀 뿌리를 캐서 생으로 씹어 먹으면 둥굴레 맛과 비슷합니다.
ⓒ2004 김규환

'깜밥' 누룽지가 조금이라도 많이 눌게 되면 살림 못한다고 야단을 들었으니 눌은밥으로도 배를 채울 수도 없었다. 아이들은 배불뚝이가 되었고 얼굴은 누렇게 떠 부황이 나기도 했다. 급기야 뒷골엔 줄줄이 죽어간 꼬마 귀신을 거적에 둘둘 말아 지게에 져다 묘동도 없이 묻었던 '아장살이'가 즐비했다.

일제 수탈과 한국전쟁 이후 피폐해진 살림에 왜 그리도 아이들을 많이 낳았는지…. 예닐곱이나 되는 형제들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위해 애어른 할 것 없이 초근목피로 연명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 198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다.

가을걷이를 해 봐야 석달을 넘기지 못하고 쌀이 떨어졌고 그러면 시래기죽이나 쌀을 몇 알 넣고 풀죽을 쒀 먹다가 봄이 되면 옆집으로 보리쌀 빌리러 다니던 어머니 모습이 아련하다.

▲ 삐비는 묘에 가보면 손가락 길이의 풀이 배가 불러 안쪽에 하얀 밥을 머금고 있습니다. 껌으로 맛있게 먹었지요. 이건 너무 피어서 철이 지난 겁니다. 며칠 전 산소에 가봤더니 아직 피지 않았더군요. 이삼일 지나면 한철일 겁니다.
ⓒ2004 김규환

봄에 나는 모든 싹과 꽃은 나물이요, 먹을거리였으니 식물학자 뺨칠 정도로 아이들은 그 분야의 대가가 되어 갔다. 여름엔 앵두, 오둘개(오디), 범(버찌), 때왈(산딸기)을 따먹고 가을로 가면 머루, 다래, 으름, 깨금(개암), 장구밥으로 채우고 고구마, 고욤, 칡뿌리, 초가지붕 위에 올려진 홍시가 긴긴 겨울을 나는 데 일등공신이었다.

겨울 끝자락엔 개밥나무(버들강아지) 열매를 따서 우물우물 껌처럼 씹어댔다. 하루가 다르게 기온이 오르면 꽃이 먼저 나와 아이를 반가이 맞는다. 개꽃도 아닌 참꽃이 그것인데 몽우리가 활짝 피어 산에 불을 질러 놓은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진달래가 활짝 피면 그 쌉싸름한 연분홍 꽃잎을 따먹었다.

한 입 가득 입에 넣고 설움을 씹는다. 사카린과 물을 섞어 단술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몇 장은 조심히 따서 어머니께 갖다드리면 반 되 남은 찹쌀 가루를 절구에 푹푹 찧어서 화전(花煎)을 이쁘게 부쳐 주었다.

▲ 찔레 싹을 찔구라 합니다. 이파리 쭉쭉 훑어버리고 냠냠냠. 센 것은 껍질 벗겨 위쪽만 먹고, 빨간 싹은 무척 씁니다.
ⓒ2004 김규환

찔레꽃 향기는 너무 슬프다고 했다. 하얀 꽃이 피기 전 봄비 한번 맞으면 낭창낭창한 가지나 땅 속에서도 싹이 쏙쏙 솟아올라 한뼘 이상 되는 찔구(찔레 싹)를 선물한다. 잎사귀를 쭉쭉 훑어내고 질겅질겅 씹고, 좀 딱딱하면 껍질을 벗겨 먹으면 상큼한 맛이 입안에 가득했다. 토끼보다 찔레를 더 많이 먹었으리라. 행여 붉은 싹을 멋모르고 먹었다간 소태처럼 쓰디쓴 맛을 감수해야 했다.

▲ 곧 고사리를 꺾는데 어머니께서 산에 다녀오시면 한 뭉치를 선물하셨습니다. 껍질 벗겨 어린 싹을 톡톡톡 끊어 먹는 재미 또한 즐겁습니다. 풋풋한 향기 끝내줬답니다.
ⓒ2004 김규환

꼴 베어 오다 으스스한 묘지를 지나치면 보물 같은 소중한 친구가 기다리고 있다. 평소 눈길도 주지 않던 묏동에 관심이 가는 까닭은 '삐비'라는 '띠뿌리' 싹 때문이다. 마침 배가 불러 곧 터질 것 같은 잔디 모가지를 뽑으면 아직 덜 핀 하얀 풀꽃이 나오는데 혀를 보드랍게 만져준다.

잔디 뿌리 띠뿌리도 캐먹고 칡깽이(칡 어린 순) 뜯고 꿀풀이나 인동꽃 암술을 뽑아 벌 대신 달큼한 꿀을 쏙쏙 빨아대고, 감똘개(감 꽃) 실에 꿰어 곶감 빼 먹듯 빼 먹는 재미도 있었다. 메꽃 뿌리나 마를 캐서 구워 먹다 보면 천하태평이요 행복에 젖는다.

여름으로 가는 길에 개구리 뒷다리 무던히도 먹던 그 시절은 영영 오지 않을 텐가. '서리'를 도둑으로 모는 인심에 지나친 욕심일 수도 있겠다. 그래도 입이 궁금해지는 건 왜인가. 아이들 손목잡고 들로 산으로 나가 봐야겠다.

▲ 버들강아지 열매가 열렸네요. 씹으면 쌉쌀한 맛은 빠지고 거의 껌에 가까운 잔존물이 남습니다. 소가 잘 먹던 것인데 먹어도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이 가지를 꺾어 버들피리 만들었지요.
ⓒ2004 김규환
아이들에게 추억을 찾아 주세요. 이 글은 MBC 라디오 <변창립의 세상속으로>에 '김규환의 고향이야기' 코너에 4월 6일(화) 소개되었고 월간 <해피데이스>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2004/04/07 오전 7:28
ⓒ 2004 Ohmynews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