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하락 현상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 경찰의 과도한 통제 등이 주된 요인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26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23.2%를 기록했다. 이같은 결과는 같은 기관이 지난 1월(22.5%) 실시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8.2% 포인트 상승한 69.4%를 기록했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제기되고 있는 이른바 'MB책임론'과 검찰의 무리한 수사 등이 지지율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23.2%를 기록했다. © 리얼미터 | |
여기에 시민들의 자발적 추모행사에 대한 경찰의 '과도한 통제'와 시청광장 개방 불가 방침 역시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경우, 12.3% 포인트가 내려간 대전/충청의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전남/광주 역시 11.5% 포인트 하락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9.9% 포인트)과 20대(▼13.9% 포인트)에서 지지율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특히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도 이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가 9.6% 포인트 내려갔다. 정당지지율에서는 민주당이 전주 대비 5.3% 포인트 상승한 21%를 기록, 20%를 기록한 지난 1월 7일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오르면서 한나라당(27.8%)과의 격차를 한 자리수로 좁혔다. 민주노동당이 6.9%로 뒤를 이었으며, 자유선진당(4.6%)과 친박연대(4.3%), 진보신당(4.2%), 창조한국당(2.9%)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0.3% "시청광장 개방해야"…62.9% "조문 거부, 자제해야" 한편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서울 덕수궁 대한문을 중심으로 형성된 시민들의 자발적 분향소 설치와 관련, 국민들 10명 중 7명 이상은 서울시청에서의 분향소 설치를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노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민장으로 치러지는 만큼 이를(시청광장 개방)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70.3%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광장조성 목적과 조례에 부합하지 않고 정치시위로 변질될 수 있으므로 개방에 반대한다"는 의견은 25.5%에 그쳤다. 이밖에도 10명 중 7명 가까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 몇몇 지지자들이 일부 정치인과 관료들의 조문을 거부한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응답자의 69%가 노 전 대통령의 유지에도 어긋나는 지나친 행동이라고 답한 반면, 정치적으로 대립각을 세웠던 정치인들에 대한 '조문 거부를 이해한다'는 긍정적 평가는 26.2%에 그쳤다. 특히, 지난 16대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자들도 62.9%가 일부 극렬 지지자들의 조문방해 행위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역별로는 인천/경기 응답자가 75.8%로 잘못된 행동이란 응답률이 높았고 대구/경북 75.5%, 부산/울산/경남 69.1%, 전남/광주 54.1% 순으로 조사됐다. 59.8% "盧 장례 이후, 국론 분열 심화될 것" 노 전 대통령의 장례 이후 국론 분열이 더욱 심화될 것을 우려하는 국민들도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응답자의 59.8%는 노 전 대통령 장례 이후 국론분열이 심화될 거라고 전망했다. © 리얼미터 | |
이념 분열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는 의견이 59.8%로, 노 전 대통령의 염원대로 이념적 대결구도가 줄어들 것으로 보는 의견(21.3%)보다 세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이념 분열이 심화될 것으로 보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특히 전남/광주 응답자가 78.8%(〉8.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산/울산/경남(65.9%〉21.6%), 인천/경기(63.3%〉21.4%) 순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50.9%〉23.7%)보다는 민주당(62.2%〉21.4%) 지지층이 이념적 대결구도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또한 응답자의 이념적 성향과 무관하게 향후 국론 분열이 심화될 것으로 보는 가운데, 보수(62.8%〉20%), 중도(62.2%〉21%), 진보(57.2%〉28.4%) 성향의 응답자간 의견차가 크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5월 26일 휴대전화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 포인트, 응답률은 38.2%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