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B품'에 안착한 이재오

세상사는얘기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9. 9. 30. 18:43

본문

728x90

'MB품'에 안착한 이재오…"이명박 권익위원회 전락"
MB, 권익위원장 임명-이재오 "'중도실현' 구현"…야권 "뻔히 보이는 의도"
 
취재부

지난해 총선 낙마 이후 '재보선 복귀 시나리오'가 점쳐졌던 이재오 전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예상밖의 국민권익위원장으로 내정되자, 야권이 이명박 대통령의 '코드 인사'로 규정, "대통령이 옛 전우를 불러들여 2기 내각을 통제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 29일 이 전 최고위원을 내정한데 이어, 30일 이에 대한 임명장을 수여하고 나섰다. 이명박 정권 창출의 '1등 공신'인 이 전 최고위원이 여의도가 아닌, 국민권익위원장으로서 제2의 정치적 행보를 시작하게 된 셈이다.
 
"정치만 줄구장창 해온 이재오, 누가 봐도 의도가 뻔히 들여다 보인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30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재오 전 의원이 국민권익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도저히 알 수가 없다"며 "이 전 의원의 국민권익위원장 임명은 '이명박 권익위원회'로 전락시킨 것"이라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국민권익위원회는 국민들의 인권과 관련되어서 활동하신 경력이 있거나, 이 분야에 전문성이 있으신 분들로 임명을 해왔던 오랜 관행이 있었다"고 밝혀, 이 전 의원의 임명이 현 정권의 명백한 '코드 인사'임을 못박았다.
 

▲ 이명박 대통령은 이재오 전 한나라당 최고위원을 국민권익위원장으로 내정하고, 30일 임명장을 수여했다.     © CBS노컷뉴스 (자료사진)


우 대변인은 "자신의 측근을 정부기구의 위상과 역할에 상관없이 아무 자리나 내려보내는 이런 잘못된 인사관행은 바로 잡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백성균 부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졸지에 국민권익위원회가 MB권익위원회로 둔갑해 버리고 만 것"이라며 "전문성도 경험도 없고, 정치생활만 줄구장창 해온 사람을 국민권익위원장에 앉히다니, 누가 봐도 의도가 뻔히 들여다 보인다"고 논평했다.
 
백 부대변인은 "결국 대통령이 옛 전우를 불러들여 2기 내각을 통제하겠다는 것"이라며 "측근정치를 통해 정권의 중후기 레임덕을 차단하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라고 강도높은 비판을 가했다.
 
나아가 "국민권익위원회가 본연의 임무는 뒤로하고 잿밥에만 관심을 보여 정작 국민의 권익이 눈에 들어올지 그것이 걱정"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백 부대변인은 "이번 내정이 이재오 전 의원에 대한 대통령의 추석선물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나마 국민의 권익을 대변할 수 있는 기관을 하나 빼앗기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고 성토했다.
 
백 부대변인은 "앞으로 이재오 전 최고위원이 국민의 권익을 우선에 두는지, 아니면 MB의 권익을 위한 측근정치의 구태를 보여줄지 면밀히 주시하고 이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오매불망 정계복귀를 꿈꾸던 정치인이 은평을 재보선이 무산되자마자 돌변해 권익위원장으로 임명됐다"며 "정부에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요구해야 할 국민권익위원장에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가 들어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재오 취임사 "중도실용 위한 핵심부처로 거듭나는 것이 시대적 소명"
 
한편 이재오 의원장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우리 위원회는 이제 '중도실용' 국정철학구현을 위한 핵심 부처로서 거듭나야 하는 시대적 소명을 부여받고 있다"며 "구태의연한 '이념주의', '관료주의'가 조금이라도 남아있다면 모두 벗어던지고 진정으로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찾아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정 일선에서 사회적 약자를 따뜻하게 보살피는 것은 바로 우리 위원회의 고충처리, 행정심판업무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며 "권력형비리, 토착비리를 근절하는 일은 바로 우리 위원회의 부패방지 업무와 직접 관련된다"고 밝혔다.
 
또 "부패방지는 안정적인 국정운영과 국가 선진화를 위해 우리 위원회가 반드시 이루어내야 할 시대적 과제"라며 "사무실을 떠나 국민 고충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하고 몸을 부딪쳐 해결하는 자세가 바로 중도실용적인 업무태도"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잘못된 제도를 고치고 정부 내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다 보면 다른 부처와 갈등이 있을 수 있다"며 "보신주의나 무사안일주의로 일관한다면 우리에게 맡겨진 국민권익의 보호와 증진이라는 소임을 올바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사입력: 2009/09/30 [15:37]  최종편집: ⓒ 대자보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