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이가 책을 읽지 않으려고 할까요
박 종 국
좀처럼 아이가 책을 가까이 하지 않습니다. 부모는 애써 다그치는데, 그럴수록 아이는 인터넷에 매달리고, 텔레비전에 넋이 빠지고, 그저 오락기만 만지작거립니다. 그러니 자연 언성이 높아지고 화딱지가 돋습니다. 급기야 책과의 사투가 시작됩니다. 아이도 빤히 속내를 드러내 보입니다. 핑계는 없는 무덤은 없습니다. 단지 책 읽기만 닦달하는 강요는 어폐입니다. 아이도 자기 하고 싶은 일이 많습니다. 선택여지를 주어야 합니다. '책 읽어라!'는 소리가 대문 밖으로 새어나가면 아이는 더 이상 책을 읽지 않습니다.
왜 아이가 책을 읽지 않으려고 할까요? 무엇 때문에 소똥 닭똥 피하듯 꺼리는 걸까요? 왜 아이들이 책을 읽지 않으려고 하는지 한번쯤 생각해 보았는가요? 집안에 번드르르한 책이 많고 적음은 문제가 아닙니다. 책을 아이의 눈에 닿는 곳곳에 두었는지 챙겨보는 게 먼저입니다. 다음으로 부모가 책 읽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부모는 신문이나 잡지, 텔레비전으로 시간을 때우면서, 아이는 책도 안 본다 쌍심지 켤 일이 아닙니다. 부모가 책 읽으면 아이는 당연히 책을 가까이 합니다.
아이가 책을 멀리하는 까닭은 딴 게 아닙니다. 비싼 전집을 책장 빼곡히 쌓아두거나 정리해놓으면 아이는 그만으로 질려버립니다. 책은 남보이기 위한 장식용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책은 소중(?)하니까, 찢어질까 봐, 때 탈까 봐, 닳을까 봐 제재는 아이가 책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독입니다.
책은 무시로 읽혀야하고, 군데군데 밑줄이 작작 그어져야 하며, 손때가 듬성듬성 묻어야합니다. 혹 아이가 무슨 책을 읽는지. 무엇을 읽었는지 꼬치꼬치 캐묻지 않는가요? 아이가 책을 읽자마자 독서 감상문을 쓰라고 닦달하지는 않는가요? 만화는 무조건 읽지 마라, 고 책망하지는 않는가요? 또 옆집 아이와 비교해서 책을 읽히지 않는지요. 부모의 지나친 보살핌이 되레 아이한테는 책과 멀리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한꺼번에 전집을 왕창 사 주거나, 아이의 수준보다 어려운 책을 골라주고, 아이가 읽고 싶은 책보다 부모가 읽히고 싶은 책을 읽히지 않는가요? 아이가 재밌어 하며 동화책을 읽는데 글자를 가르치려 들지 않는가요? 아니면 아이가 같이 책을 읽자고, 읽어 달라고 하는데 바쁘니까 혼자 읽으라고 손사래 친 적은 없는가요? 별로 마음에 두지 않았던 자잘한 일들이 모여 아이가 책을 멀리합니다.
아이와 시간을 정해 놓고 서점에 가 보세요. 아이가 서점에 가서 여러 가지 책을 구경하면서 새 책을 골라보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 보세요. 평소 신문이나 인터넷을 통해 읽고 싶은 책, 좋아하는 책의 목록을 아이 스스로 만들어 보게 하면 좋아합니다. 서점에 가기 전에 아이랑 어떤 책을 고를지를 미리 얘기해 보기도 책을 가까이 하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고르는 게 좋습니다. 물론 대개의 부모는 동화책만을 좋은 책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이의 상상력은 동화 속에서만 계발되는 게 아닙니다. 동화뿐만 아니라 과학, 역사, 상식 등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접하게 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는 여러 책들을 통하여 미지의 세계, 신비한 자연 현상, 아주 오랜 옛날이야기를 통해서도 무한한 상상력을 키워냅니다. 음식도 편식을 하면 균형 잡힌 영양가를 섭취하기 어렵듯이 책도 편독을 하게 되면 한 쪽 부분의 영양분이 부족하게 됩니다.
아이랑 책을 읽고 난 다음 그 내용을 이야기하거나 토론하기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럴 때 아이는 책 읽는 즐거움을 만끽하게 되고, 책만 봐도 신이 나서 책과 더불어 지내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서점가면 나올 줄을 모르게 아이가 됩니다.
아이에게 책을 사 줄 때는 전집류보다는 낱권이 바람직합니다. 명작동화나 위인전 같은 전집류는 전개방식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너무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책에 대한 흥미가 약해집니다. 책을 몽땅 안기면 아이는 쉽게 싫증을 내고 만다. 아이 스스로 읽고 싶은 책을 고르도록 해 보세요. 제 아무리 교육전문가가 추천하고, 교육적 의미가 야무진 책이라고 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어른의 눈으로 보기에 그렇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합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아이가 서점에 갔다는 경험만으로 만족해야 하고, 아이가 읽고 싶은 책을 고를 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려주어야 합니다. 아이는 아이의 눈으로 책을 봐야 합니다. 서점 못지않게 도서관을 이용하기도 책 읽는 올바른 습관을 들이는데 좋습니다. 대출카드도 만들고 자료 이용도 함께 해 보세요. 아이가 무척 좋아합니다. 책의 보고인 도서관을 이용하면 공짜(?)라는 매력이 아이와 부모에게 책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줍니다.
끝으로, 책을 읽고 나면 따지듯 줄거리를 요약하는 독후감을 강요하지 마세요. 억지 춘향 놀음에 아이는 달가워하지 않습니다. 단지 줄거리만을 요약하는 강요된 독후감은 암기력 측정 외에는 별다른 효과도 없습니다. 그것은 너무나 구태의연한 책읽기입니다. 그러한 타성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올바른 독후감 쓰기 지도는 책을 읽고 머릿속에 남는 장면이나 대화, 또는 인물을 이해한 만큼만 그려내면 그것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방법을 찾자면, 먼저 아이가 읽는 책의 내용을 부모가 대강이라도 읽어보고 알아야 합니다. 어떤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또는 재밌거나 몹시 슬픈 사건 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존중해 주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부모와 이야기를 나눈 내용을 쓰게 합니다. 이때 못 다한 말을 다 써보도록 배려하는 게 중요합니다. 어느 정도 습관이 들 때까지 부모도 독후감을 쓴 후 서로 바꿔보기도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책 읽는 버릇을 들이는 게 그리 쉽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는 부모가 책을 읽는 모습을 보고 자연스레 책 읽기의 중요성을 깨닫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 게 좋습니다. 함께 책을 읽으며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면 식구들이 대화를 나누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서로의 고민을 책 읽기를 통해서 풀어보는 계기가 됩니다. 무엇보다도 집안에 책 읽는 소리 낭랑하게 울려 퍼지면 가족울타리가 안온해집니다.2017.03.08.
/글쓴이 박종국
중리초등학교 교사. 한국작가회의 회원, 에세이칼럼니스트.
엮은 책으로, 『제 빛깔 제 모습으로 함께 나누는 사랑은 아름답다』와 『하심下心』, 『감성지휘자 우리 선생님』, 그 외 공저, 문예지 다수.
왜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를 못하는가 (0) | 2017.03.21 |
---|---|
엄마의 공감지수 (0) | 2017.03.13 |
3.1절 마저 팔아먹는 인간들 (0) | 2017.03.06 |
태극기 함부로 흔들지 마라 (0) | 2017.03.06 |
아이는 작은데 그림자는 크다 (0) | 201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