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원하는 방학
박 종 국
방학을 맞은 아이들 바람은 하나다. 날마다 되풀이되는 공부, 시험, 학원에서 풀러났으면 한다. 하여 실컷 놀아보고, 잠도 푹 잤으면 좋겠단다. 컴퓨터도 자유롭게 만나고, 텔레비전, 만화책도 맘껏 보았으면 한다. 휴대폰 만지작거리는 일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방학 동안 무엇 하겠느냐며 물었더니 그만 기가 죽는다. 방학은 말 그대로 기분 좋게 풀려나야 한다. 한데도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아이들 볼멘소리에 귀가 따갑다. 한껏 기다렸던 방학. 아이들의 기대와는 달리 방학은 힘겹다. 방학 동안 적게는 서너 군데, 많게는 예닐곱 군데의 학원을 다녀야 한다고 한다. 더더구나 벌써부터 중학교 예비수업을 받는단다. 에구, 에구머니나.
방학을 빼앗긴 아이들을 살려낼 수 없을까. 아이들에게 ‘즐겁게 좋았던 때가 언제냐’고 물으면 야영수련이나 견학, 현장체험학습을 꼽는다. 아이들은 판에 박은 교과서, 꿈이 말라버린 학교 울타리가 지겹다.
적어도 방학 동안만이라도 평소 짓눌렸던 학원과외의 족쇄로부터 자유롭게 풀려나야 한다. 노는 시간을 충분히 늘여주고, 제 하고픈 일을 하며 삶의 의미를 부추겨야 한다.
방학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무엇보다도 평소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던 일들을 직접 체험해야한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힘겨운 일들을 견뎌내며, 진취적인 의지를 체득하는 시간을 선물해 주어야 한다.
심성이 메마른 아이들을 살려내는 데는 자연과 친화 교감하는 일 하나면 더 바랄 게 없다. 아무리 무더운 날씨라도 자연에 뒹굴어보고, 살진 흙을 밟아보는 농촌체험도 권할만 하다. 소외된 사람들과 더불어 하는 경험도 필요하다. 독서를 통하여 마음의 살을 찌우고, 등산이나 여행을 통해서 견문을 넓히고, 인내심과 호연지기를 기르는 일도 장차 아이들의 성장에 더할 나위 없이 알찬 일이다.
체험학습을 통해서 여러모로 삶을 느껴보게 하고, 노동의 가치와 고마움을 맛보는 과제들을 실제 삶 속에서 찾아보게 하면 좋다. 그게 방학을 통하여 아이들이 스스로 줏대를 세워 자신을 찾아보는 소중한 선물이다.
아이들이 방학을 방학답게 보내려면 먼저 부모의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내 아이가 남보다 뒤진다는 조급함을 버려야 한다. 당장 눈앞에 드러나는 데만 치우친다면 더 많은 걸 잃는다. 자식을 사랑할수록 스스로 생활하도록 방목해야 한다. 그게 부모가 해야 할 마땅한 도리다.
자연을 통해서 배우는 삶은 아이들의 평생을 안온하게 이끈다. 아이들 보다 눈을 크게 부추겨야겠다.
|박종국에세이칼럼 2017-393편
참, 이런 거 아세요? (0) | 2017.07.14 |
---|---|
아이들, 날개를 달다 (0) | 2017.07.13 |
발우공양의 뜻 (0) | 2017.07.13 |
20만 학교비정규직의 눈물 (0) | 2017.07.13 |
언제쯤 학교에서 시험이 사라질까 (0) | 2017.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