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을 하는 천성
어느 심리학자의 통계에 따르면, 보통 사람이 생활하는 데 말을 듣는 일이 45퍼센트, 말을 하는 일이 30퍼센트, 읽는 일이 16퍼센트, 쓰는 일이 18퍼센트라고 한다. 통계 수치가 말해 주듯이 가급적 말을 듣는 편을 먼저 생각하고, 그런 다음에 말을 신중히 해야 한다. 생각과, 말과, 일은 서로 연계되었다. 그렇기에 생각이 없는 말이 없고, 말없이 어떤 일이 이루어질 수 없다. 더구나 일은 시시각각으로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생각은 나름대로의 갖가지 말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아이들이 사용하는 말을 듣다 보면 정말 아찔할 때가 많다. 입말 중에 미처 여과되지 못한 상스런 말투가 툭툭 불거진다. 스펜서는 어린이는 부모의 행위를 비치는 거울이라고 했다. 분명 어린이는 어른의 씨앗이자 거울이다. 어린이 눈에 비친 어른의 모습 하나하나가 아이의 평생을 두고 또렷이 각인된다. 바쁘다고 귀찮다고 무심코 내뱉는 말 한 마디가 아이에게 심각한 폐해를 준다는 걸 명심해야한다.
물오리가 날 때부터 헤엄을 치듯이 어린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착한 일을 하고, 좋은 말을 하는 천성을 가졌다. 아이를 가르친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근데도 성급하게 아이를 가르치려 드는 부모가 많다. 아이가 하는 일을 일일이 간섭하는 건 물오리가 헤엄을 치는 걸 못하게 하는 옥죔과 다름없다.
단지 결과만을 바라는 조급함으로 학원 과외로 내몰아세우는 건 교육이 아니다. 그것은 엄청난 혹사에 불과하다. 결국 아이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교육을 고집하다보니 부모 말씨가 고울 까닭이 없다. 단지 돈이 아까워서 그러는 건 아니겠지만,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지 않은 교육은 어린이가 천성으로 지닌 모든 정서를 도외시하는 처사다. 아이는 어른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안고 태어났다. 또한 아이는 생명을 비롯한 모든 데서 가장 자유로울 권리를 부여받았다.
어떤 말을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이 말을 해도 괜찮은지를 충분히 생각한 다음 신중히 해야 한다. 특히 어린 아이에게는 한 치라도 상처를 안겨주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말은 곧 자신의 속마음을 꺼내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거울이다. 그러나 말은 일단 입을 떠나면 그때부터는 그 말을 다스릴 수가 없다. 어떤 말은 평생을 두고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기도 한다. 명심보감에 군평이 말하기를, “입과 혀는 화(禍)와 근심의 근본이요, 몸을 망하게 하는 도끼와 같으니 말을 삼가야 할지니라.”고 했다.
이처럼 말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좋은 말을 하는 천성은 거저 부셔지지 않는다.
_박종국또바기글
우리 세상 살만 합니다 (0) | 2018.02.12 |
---|---|
평창의 기운이 새롭다 (0) | 2018.02.12 |
낯짝 붉히는 일 많다 (0) | 2018.02.09 |
어느 면죄부 판결 (0) | 2018.02.09 |
참살이(웰빙, Well-being) (0) | 201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