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따뜻한 이야기 하나
일흔번째 생일을 맞이한 할아버지. 갑작스런 치통으로 치과를 찾았습니다. 급히 차를 몰아 갓길에 주차하고 치료를 받고 나오니 교통순경이 딱지를 떼는 중이었습니다.
할아버지는 경찰에게 통사정을 얘기했습니다.
"여보시오, 경찰관. 그참 오늘이 내 70회 생일이요. 아침부터 이빨이 아파서 정신을 차릴 수 없었소. 평생 법을 어긴 적이 없었는데, 하필이면 생일날 딱지까지 떼게 생겼군. 한번만 봐주시오. 안 그러면 오늘은 정말 가장 재수 없는 생일이 될 거요"
두 사람의 대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경찰이 법과 인정 사이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보았습니다.
그러나 한 번만 봐 달라고 사정하는 할아버지의 간곡한 하소연에도 경관은 표정 변화도 없이 고지서를 기록 한 후 무심하게 건네주고는 돌아섰습니다.
둘러선 사람들이 중얼거렸습니다.
"역시 법이야! 경관에게는 법이 우선이지. 그래야 세상이 굴러 가는 거야"
할아버지도 포기하고는 고지서를 받아들고 차에 올랐습니다.
"법은 법이지. 그래도 너무 하네. 젊은 사람이 냉정한 표정하고는…."
차에 올라탄 할아버지는 벌금이 얼마인지 확인하려고 고지서를 펼쳐 보았습니다. 그리고는 너털웃음을 지었습니다.
고지서에는 벌금 대신 '생신을 축하합니다. 어르신'이라고 쓰였습니다.
할어버지는 저만치 걸어가는 경관에게 손짓하자 경찰관이 손을 흔들어 주었습니다.
경찰은 사실 할아버지의 하소연을 들어 주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둘러선 사람들의 시선을 무시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내린 판단은 할아버지와 구경꾼 둘 다 만족시키는 이중 플레이를 생각 해냈습니다.
고지서를 끊기는 하되 벌금 액수 대신 축하 편지를 건네주는 생각이었습니다.
때로 우리는 대립 상태의 중간에 서게 됩니다.
양쪽을 만족시킬 수 없는 진퇴양난의 길에 서기도 합니다.
각박한 세상 살아가면서 때론 이런 아량과, 여유와, 지혜가 깃들인 삶이 우리 각자의 삶에서도 필요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