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반 강의> 여러 가지 표현 방법 |
<강의 안내> 글짓는 순서와 방법
1. 생각 잡기(착상)
ꁒ 자기의 경험이나 생각 가운데 가장 글로 나타내고 싶은 것을 고릅니다.
ꁒ 자기만의 독특한 생각이나 느낌을 잡도록 합니다.(개성 있는 글쓰기)
2. 주제 정하기
ꁒ 주제란 글 전체를 통하여 글쓴이의 생각이나 의견이 하나로 묶여 나타난 글의 중심 이 되는 내용을 말합니다.
ꁒ 자신에게 흥미 있는 문제나 관심 있는 것으로 합니다.
3. 소재 고르기
ꁒ 글을 쓸 때는 주제를 나타내어 줄 이야깃거리(글감)가 있어야 합니다. 이 때 주제를 살리기 위하여 쓰이는 알맞은 글감이 ‘소재’ 또는 ‘제재’가 됩니다.
ꁒ 자기가 경험하고, 관찰하고, 독서하고, 생각한 것 중에서 고릅니다.
4. 글의 얼개 짜기
ꁒ 얼개는 글을 쓰기 위한 계획을 정리하여 작성한 것으로 ‘글쓰기의 설계도’와 같습니다.
ꁒ 얼개를 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5. 글쓰기
ꅻ 제목 정하기(사람의 얼굴과 같다) ꅼ 머리 부분 쓰기 ꅽ 본문 쓰기 ꅾ 끝부분 쓰기
ꅿ 퇴고(초고 고치기) ꆀ 정서(깨끗이 옮겨 쓰기)
6. 다 쓴 글다듬기
다 쓴 글(초고)을 다시 읽어보며 잘못된 곳을 고치고 다듬는 것을 ‘퇴고’라고 합니다.
<퇴고 요령> ①자기가 생각한 주제가 제대로 나타났는가? ②제목과 소재가 잘 어울리는가? ③글이 단계별로 잘 이어져 있는가? ④각 문장의 내용이 정확히 나타나 있는가? ⑤앞의 문장과 뒤의 문장과의 관계가 분명한가? ⑥용어가 정확하게 사용되었는가? ⑦독자에게 잘못 읽힐 만한 곳은 없는가? ⑧맞춤법에 어긋난 곳은 없는가? ⑨문장 부호는 바르게 쓰여졌는가?(원고지 고칠 때 쓰는 부호)
7. 정서하기
정서는 다 다듬은 글을 깨끗이 옮겨 쓰는 것을 말합니다.
정서를 하는 이유는 읽는 이가 원고를 힘들이지 않고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정서를 할 때는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사용법, 원고지 사용법에 주의하면서 틀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
글쓰기, 여러 가지 표형 방법
글을 쓸 때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 등이 그 한 예입니다.
1. 비유법
비유법이란 표현하려는 것을 읽는 이가 알기 쉬운 다른 대상이나 내용에 비유해서 나타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글을 비유법으로 쓰면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더 정확하고 새롭게 나타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힘있고 생생하게 느껴지게 하기도 합니다.
이런 비유법에는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의성법, 의태법 등이 있습니다.
① 직유법
직유법은 어떤 다른 사물과 다른 사물을 ‘~같이, ~처럼, ~듯이, ~인양, ~모양’ 등으로 직접 빗대어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직유법의 예>
● 구렁이같이 긴 기차가 산모퉁이를 돌아갑니다. 예)
● 동생이 축구 선수처럼 열심히 공을 찹니다. 예)
● 강 속에도 하늘이 있는 듯이 구름이 떠다닙니다. 예)
● 누나가 가수인 양 폼을 잡고 노래를 합니다. 예)
● 호박인 공 모양 데굴데굴 굴러갑니다. 예)
② 은유법
은유법은 어떤 사물과 다른 사물을 ‘~은 무엇이다.’와 같이 간접적으로 비유해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은유법은 직유법보다 두 사물의 거리를 좁히고, 인상이 깊어지게 합니다.
<보기> ● 팬지꽃은 한 마리 나비이다. 예)
● 하늘은 푸르른 호수 예)
●영수는 잘 달리는 한 마리 토끼다. 예)
③ 의인법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처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보기> ● 아기별이 오돌오돌 떨며 말했습니다. 예)
● 산에는 동물 가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예)
● 천둥 치는 소리에 바위는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논술반강의-논술문쓰기.1 (0) | 2006.02.03 |
---|---|
논술강의-여러 가지 표현 방법 (0) | 2006.02.02 |
논술강의-독서감상문 쓰기.2 (0) | 2006.01.31 |
독서감상문 쓰기-1 (0) | 2006.01.30 |
1월 24일 논술반 강의-기사문 쓰기 (0) | 2006.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