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마름’ 자처하는 MB정권 | |||||||||||||
[김주언의 언론레이더] 국민 대다수는 자본가 아닌 노동자 명심해야 | |||||||||||||
“노동현장에서 노동부 장관이 3명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책집행을 하고 최근엔 이명박 대통령이 노동부 장관을 대행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에게 ‘노동 3권’을 보장한 헌법은 종이 쪼가리에 불과할 뿐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자신이 ‘친 재벌’으로 불리는 데 대해 “오해”라고 말했으나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을 꼼꼼이 살펴 보면 기업의 이익을 위해 목숨을 걸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취임초 내세웠던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부가 아니라 ‘기업의 마름 정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섭단위를 사업 또는 사업장별로 한다는 것도 문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은 산별체제로 바뀌고 있있다. 따라서 산별교섭을 우선으로 한다. 단체교섭에서 산별노조를 제외하면, 노동조합의 단결권을 침해할 수밖에 없다. 사용자들은 산별교섭에 응하지 않고 산별교섭의 가능성을 없애버리므로 위헌적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복수노조 설립의 제한은 삼성그룹처럼 회사에서 유령노조를 만들어 놓으면 실제 노조를 결성하지 못하게 하는 전근대적인 독소 조항이다. 2년 6개월 뒤에 복수노조가 허용되리라고 보장하기도 어렵다. 게다가 ‘타임 오프제’는 회사가 인정하는 시간에만 노조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주는 사용자를 형사처벌하도록 하는 조항은 사용자의 의사결정 자유를 침해하기 때문에 위헌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임자에 대한 임금 지급여부는 노사교섭으로 이뤄질 합의 사항일 뿐이다. 이명박 정부가 우리나라를 30년 전으로 후퇴시키고 있다는 지적은 여러 차례 지적돼왔다. 이번 노동법 파동도 이러한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약자인 노동자를 보호해야 할 정부가 사회적 강자인 자본가를 위해 총대를 메고 나서는 모습은 안쓰럽기 짝이 없다. 그래야만 정권을 유지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걸까. 국민의 대다수는 자본가가 아닌 노동자라는 사실을 이명박 대통령은 잘 알아야 할 것이다. | |||||||||||||
| |||||||||||||
기사입력: 2009/12/13 [20:39] 최종편집: ⓒ 대자보 |
빈민층 돈 모아 중산층 지원? (0) | 2009.12.16 |
---|---|
MB정부 친서민 가면을 벗긴다 (0) | 2009.12.16 |
'광화문 광장' 입장 밝힌 오세훈, 논란만 부추겨… (0) | 2009.12.11 |
'MB식 인권' 사면초가…촘스키 등 맹성토 (0) | 2009.12.10 |
정치인 유시민의 진화와 희망 (0) | 200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