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채화로 변하는 가을 산-단풍

요리조리쿡

by 박종국_다원장르작가 2005. 10. 13. 21:22

본문

728x90
단풍은 벌써 개울 따라 내려오고
[북한강 이야기 109] 수채화로 변해가는 산, 산, 산
텍스트만보기   윤희경(yhgg12) 기자   
강원도의 이름난 산들은 벌써 수채화로 옷을 갈아입느라 바쁘다. 가을은 하늘이 가까운 곳으로부터 산을 잠재우면서 내려온다. 개옻, 북나무, 단풍나무를 시작으로 갈참나무, 물푸레, 머루, 칡덩굴 등... 여름내 푸르렀던 영혼들은 간 곳 없고 산 전체가 수채로 변한다.

▲ 오대산 상원사, 적멸보궁 문수성지
ⓒ2005 윤희경

지난 주말, 글벗들과 함께 강원도 오대산을 다녀왔다. 단풍은 어느새 정상 우듬지를 떠나 골짜기를 넘어 개울을 건너가고 있다. 우리 일행만 서둘러 단풍 길을 찾아온 줄 알았으나, 월정사 입구부터 관광객들이 붐벼 단풍 숫자보다 더 많을 듯싶다. 관광버스, 승용차, 등산객들이 한데 어울려 산은 벌써부터 몸살을 앓고 있다. 아니나 다르랴, 버스는 가다 서다를 반복하더니 제자리에 머물러 앉아 옴짝달싹을 못한다.

▲ 천 년도 더 흘러내렸을 돌과 바위, 단풍과 아스라한 골안개, 속세가 저 멀리 보인다
ⓒ2005 윤희경

이제부터 산행이다. 상원사까지는 약 10킬로미터, 평일 같으면 상원사 입구까지 차가 올라가 편하게 도착하는데 오늘은 걸어가야 한다니 여간 다행스런 일이 아니다. 사실 단풍만 두고 본다면 계곡을 따라 내려온 풍광만큼 아름다운 순간을 어디에서도 볼 수 없겠기 때문이다.

상원사에 내려다보는 단풍 조망도 볼거리지만, 골짜기를 따라 전개되는 단풍의 멋이 훨씬 더하다. 맑은 물, 수천 년을 굴러 내려온 집채만한 바위와 돌들, 그리고 새소리, 물소리, 산골짝을 돌아 나오는 시원한 바람과 골안개... 이 원시림 속을 차를 타고 붕붕거리며 휙휙 지나가다니 산에 대한 모독이며 불손이다 싶게 마음이 부끄러워 오른다.

▲ 서럽도록 시리게 옷을 갈아입은 단풍나무의 처연한 모습
ⓒ2005 윤희경

잘 다듬어진 흙길을 오르노라니 가을 산행 정취가 훨씬 더하다. 흙길은 아스팔트를 깔지 않아 말랑말랑 부드러워 발바닥이 간질거리고 몸이 저절로 가벼워온다. 문명의 더덕이를 입히지 않고 산 맛을 그대로 살려낸 상원사 스님들께 감사하고 싶다. 내 생각 같아선 아예 초입부터 차량통제를 해 산이 옛 모습 그대로 살아 숨을 쉴 수 있었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 단풍은 온통 개울을 따라 내려와 노랑과 주황색으로 수채화를 수놓고 있다
ⓒ2005 윤희경

▲ 너럭 바위, 맑은 개울물, 아스라한 골짝 단풍에 넋을 잃어, 예서 그냥 죽어도 소원이 없을 듯
ⓒ2005 윤희경

▲ 상원사 입구에 오르막길, 이 길 들어서면 적멸보궁이련만 사람들이 하도 많아 정신이 없다
ⓒ2005 윤희경

▲ 사찰 밖은 소란스러우나 스님들이 수양하는 '청량선원'은 가을 햇살 한줌 마당으로 들어와 염불 소릴 듣고 있다
ⓒ2005 윤희경

▲ 선원 돌담에 곱게 물든 담쟁이 잎들, 스님들의 얼굴을 닮아 고즈넉하게 묵상중이다.
ⓒ2005 윤희경

▲ 상원사 도량 앞 마당에서 내려다 본 단풍의 절경
ⓒ2005 윤희경

하산하는 길에 '한암스님'을 찾아 뵙고 삼배를 올렸다.

1941년 초대 종정(宗正)으로 추대되어 4년 동안 조계종을 이끌었다. 1·4후퇴직전, 인민군들이 사찰을 근거지로 국군에게 많은 타격을 입히는 바람에, 오대산 안의 모든 사찰을 불태워버렸으나, 상원사만은 불에 타지 않았다.

밤중에 군인들을 이끌고 상원사로 와 절을 불태우겠다 했다. 스님은 잠깐 기다리라 하고 가사와 장삼을 갈아입은 뒤 법당으로 들어가 좌정하고 불을 질러도 좋다고 했다. 장교가 나올 것을 강요하자, "나는 부처님의 제자다. 부처님은 이런 경우 이렇게 하라고 말씀하셨다. 당신은 장군의 부하다. 그러니 당신은 장군의 명령대로 어서 불을 질러라"했다.

장교는 스님의 불심에 감화를 입어, 부하들에게 법당의 문짝만을 떼어 불사르게 한 뒤 돌아갔다. 1·4후퇴 때에도 오대산의 모든 승려가 피난하였으나, 스님은 남아 상원사를 지켜냈다.

▲ 조계정종 한암 선사의 비석
ⓒ2005 윤희경

스님의 '살신성인(殺身成仁)' 정신을 되뇌이며 가을 산을 되돌아 보니, 그만 내 온 몸에도 분홍색 단풍물이 곱게 물들어 걸음을 옮길 때마다 붉은 물이 툭툭 흘러내릴 것만 같다. 오대산은 단풍도 아름다운데 옛 스님의 고결한 숨결이 함께 숨쉬고 있어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는 추억을 우리들에게 안겨준다.
'10월 여행 이벤트 응모'기사입니다.

다음카페 '북한강 이야기' 윤희경 수필방에도 함께합니다.
2005-10-11 17:21
ⓒ 2005 OhmyNews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