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자는 승리한다
박 종 국
얼마 전 미국 다국적 여론조사기관(NOP 월드)이 각국 인쇄매체 접촉시간을 조사 발표해 화제가 되었다. 조사국가 30개국 중 한국은 꼴찌였다. 물론 이 조사는 '독서량'이 아닌 '인쇄매체 접촉시간' 조사였기 때문에 인터넷이나 영상 환경이 발달한 선진국일수록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인이 책을 즐겨 읽지 않는다는 건 사실이다. 이는 OECD(경제 협력 개발 기구) 국가별 통계와도 그리 큰 편차가 나지 않는다.
우리나라 독서 현실은 암울하다. 국내 출판계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기준으로 월평균 0.8권을 읽는다. 거의 책을 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달에 문화비로 지출하는 비용도 너무나 밋밋하다. 언제부턴가 지하철이나 카페에서 책 보는 사람 찾기가 힘들어졌다. 그 대신 휴대폰을 만지작거리는 사람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또 외국 명문대학에 진학한 한국 학생들은 좋은 입학성적에도 창의성 부족으로 공부하는 데 애를 먹는다고 한다. 독서를 통한 사고습관과 읽고 쓰기가 바탕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서 나만큼이라도 학교에서 만나는 아이들에게 책 읽기를 권한다. 하지만 귀담아듣고 독서를 생활화하는 아이를 만나는 게 쉽지 않다. 그만큼 평소 책 읽는 습관이 길들여지지 않은 까닭이다. 그런데도 가끔 아이들 상담으로 학부모을 만날 때면 자녀가 책을 읽지 않는다고 볼멘 얘기가 높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데는 나이와 상관없다. 독서는 나이를 상관할 게 아니다. 오히려 학생들보다 어른이 먼저 책을 가까이 해야 된다. 매일처럼 인터넷 오락에만 매달린다고 다그칠 게 아니라 책을 읽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한다. 그런데도 성인이 되어서도 책 한 권 읽지 않는 이들이 수두룩하다. 대부분 대중매체를 통해 즐거움을 만끽하고, 기분풀이를 대신한다. 이러한 양육태도야말로 아이들로 하여금 책과 담을 쌓게 하는 바로메타다.
세계가 지식정보화 시대로 이행할수록 독서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세상은 언제나 책 읽는 사람들이 움직여왔다. 그러므로 당장에 책을 읽는 일이 이익 되는 그 무엇을 가져다주지 않는다고 해도 책 읽기를 게을리 하는 나라는 미래가 없다. 남의 지식을 읽고 이해하는 과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어떤 이유로든 책으로 둘러싸였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책은 지금 눈앞에 펼쳐진 문제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더 많은 생각가지를 뻗칠 신호를 우리에게 보내준다. 그래서 책 읽는 자는 승리한다는 진리는 언제나 유효하다.
선량한 책읽기 (0) | 2018.03.29 |
---|---|
책 읽으라는 다그침 (0) | 2017.10.18 |
어떤 책을 읽을까 (0) | 2017.09.12 |
책 읽으라는 다그침 (0) | 2017.09.12 |
책 읽는 자가 승리한다 (0) | 2017.05.25 |